보도자료

 


보도일시

2024. 4. 18.(목) 18:00



제주도 찾은 인사처장, 공직 희망 고교생과 현장 소통

-  제주 마음건강센터 개소, 찾아가는 정부인사 정책 토론회 ‘청년공감’ 진행 -

공무원 마음건강 증진, 청년세대 공직 유치 등 최근 정책 현안에 대한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김승호 인사혁신처장이 제주도를 찾았다.

김승호 인사처장 18일 제주특별자치도 일원에서 제주지역마음건강센터 상담사, 고교생·교육청 관계자 등을 만나 현장 의견을 듣고 관련 정책을 점검하는 한편 제주도 관내 특성화고 재학생 대상으로 공직 특강·간담회를 개최했다.

먼저 김승호 인사처장 지난 1월 제주지방합동청사에 개소한 제주 마음건강센터를 찾아 상주 상담사 등 실무직원들과 소통의 자리를 갖고 운영현황을 점검했다.

< 인사처장 제주도 현장 방문 일정 >

시간

행사 구분

내용

오전

마음건강센터 방문

운영현황 점검, 실무직원 소통·격려 등

오후

<청년공감> 진행

특성화고 8개교, 학생 약 200명 등 참여


-  현장 간담회

공무원 준비생·진로 교사 등과 소통


-  청년과의 대화

‘취업 현장의 인재상’ 강의, 질의응답


-  제주교육청 관계자 접견

부교육감·교육국장 등과 관련 현안 의논

춘천에 이어 전국 9번째로 개소한 제주 마음건강센터에는 지난 3월까지364명의 공무원이 센터를 찾아 다양한 심리검사와 치유·체험행사 등에 참여했다.

김 처장은 최근 공무원의 감정노동·심적 부담 등의 문제가 지속됨에 따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진료를 연계하고, 외래진료비와 약제비 등을 지원하는 ‘공무원 마음건강 진료비 지원사업’의 안정적 운영을 당부했다.

현재 시범운영 중인 ‘공무원 마음건강 진료비 지원’ 사업은 마음건강센터 상담 및 진단 심리검사 등을 거쳐 전문의 진료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외래진료비 중 본인 부담금과 원외처방 약제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어 관내 8개 특성화고의 재학생 200여 명과 교사 등을 만나 청년세대의 공직 진출, 공무원 채용의 미래 등을 주제로 ‘찾아가는 정부인사 정책토론회 청년공감’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지역 내 공직에 접근할 수 있는 창구 마련을 요청했고, 고교인재 공직 진출과 적응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ㄱ 교사는 “고교인재가 공직에 원활히 진출·적응하기 위해 인사처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소통의 자리가 많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처장은 “정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혜를 가진 누구나가 우리 정부와 하나(One- Team)”라며 “현장의 지혜를 구하기 위해 한반도 최남단에서 북단까지 어디든 달려가 현장 소통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사처는 청년과의 현장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오는 6월까지 전국 대학과 고교를 대상으로 ‘청년공감’을 운영하고, 인사처장을 비롯한 본부 국장급 이상 공무원이 현장을 찾고 있다. 

청년공감’은 현재까지 총 12회 개최,1,000여 명의 학생이 참여했고, 이들의 행사 만족도가 88.3점에 달하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 (붙임1) 공무원 마음건강센터 운영 현황

(붙임2) 심리재해 예방을 위한 전문의 진료비 지원 사업 

(붙임3) ’24년 <청년공감> 운영 개요 및 포스터


담당 부서

인사혁신처

책임자

과  장 

이은경

(044- 201- 8210)

<총괄>

인재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지은성

(044- 201- 8204)

담당 부서

인사혁신처

책임자

과  장 

구혜리

(044- 201- 8531)


재해보상정책담당관

담당자

사무관

임미영

(044- 201- 8194)


붙임1


공무원 마음건강센터 운영 현황


□ 운영 개요 


(운영현황) 총 9개소(서울‧과천‧대전‧세종·대구‧광주·인천·춘천·제주)

※ (설립현황) 서울센터(’08) → 과천센터(’12) → 대전센터(’13) → 세종센터(’14) → 대구‧광주센터(’20) → 인천‧춘천센터(’23)→ 제주센터(’24)

○ (운영대상) 공무원 및 그 가족, 순직공무원 유족 등

○ (운영시간) 평일 10:00∼19:00(월·수·금 10:00∼20:00, 마지막 토 10:00∼15:00)

○ (운영방법) 민간 심리상담 전문기관 위탁 운영

구분

서울

과천

대전

세종

대구

광주

인천

춘천

제주

상담사

3명

3명

3명

3명

2명

2명

2명

2명

2명

2명

장소

본관

209호

후생동

B1

4동

204호

5- 3동

302호

13- 2동

433호

B동 B1

본관

3층

206호

417호

335호



□ 주요 내용 

○ (상담분야)직무 스트레스‧직장 내 갈등 등 직무수행 과정에서의 어려움, 개인심리 및 가족관계 갈등 

-  개인상담, 찾아가는 심리상담, 집단상담, 전문의 상담 운영

구 분

내    용

시 기

상 담

• 개인 : 대면/비대면(전화, 화상, 이메일 등)

상시

• 찾아가는 심리상담 : 상담사가 기관을 직접 방문‧상담

-  기관 특성에 맞는 재해 예방 및 회복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상시

• 집단 : 대면/비대면(수요조사 및 개별요청에 따라 지원)

상시

진단 및 심리검사

• 대면 / 비대면

상시

단체 

프로그램

일 반

• 일반 단체프로그램

-  재해 예방 프로그램, 신규공무원 직무 적응, 개별 부서 요청에 따른 기획 프로그램 등

월 1~2회

맞춤형

• 민원담당공무원 특별관리

• 고위험임무 수행자 PTSD 예방지원 

• 긴급 위기지원

• 공상공무원 직무복귀 지원 

• 신임공무원 직무적응

상시

(개별 요청에 

따라 조정)


□ 연도별 이용실적

(단위: 명, 건)

구분

개인상담

진단 및 심리검사

단체프로그램*

인원

건수

인원

건수

인원

건수

인원

건수

2019년

22,116 

20,079 

6,704 

11,065 

5,693 

8,468 

9,719 

546 

2020년

20,852

23,423

6,152

12,000

6,557

10,645

8,143

778

2021년 

34,039

32,279

9,111

15,047

10,659

16,046

14,269

1,186

2022년

27,533

25,643

8,333

12,527

5,855

12,169

13,345

947

2023년

35,510

75,938

7,355

13,886

12,412

60,993

15,743

1,059

* (일반) 전문가 특강, 체험형 힐링 프로그램, (맞춤형) 민원담당자를 위한 직무스트레스 점검 및 관리, 신임공무원 대상 대인관계 소통, 부처별 수요에 맞는 직무소진예방 프로그램 등


□ 공무원 마음건강센터 제주센터 운영현황

○ (개인상담/전문의 상담) 104건(58명) / 3건(3명)

○ (진단 및 심리검사) 138건(127명)

○ (단체프로그램) 11건(176명)

구분

개인상담

진단 및 심리검사

단체프로그램

전문의 상담

전체

전체

104건(58명)

138건(127명)

11건(176명)

3건(3명)

256건(364명)

붙임2 


심리재해 예방을 위한 전문의 진료비 지원 사업


□ 추진 배경

○ 공무원의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나 특이 민원 대응 등으로 인한 심리적 부담이 공무상 재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적극적 마음건강 관리 지원 필요


□ 사업 개요

○ (지원 대상) 「공무원 재해보상법」상 국가・지방직 공무원

○ (지원 요건)공무원 마음건강센터의 상담 및 진단 심리검사 등을 거쳐 전문의 진료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 (지원 내용)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외래진료비 중 본인 부담금, 원외처방 약제비

○ (지원 규모)50백만원(1인 최대 50만원 한도)

※ ’24년 시범사업으로 추진, 추진 결과 분석 등을 통해 지원 규모 확대 필요성 검토 예정

○ (지원 기간) : ’24. 3월 ~ 


□ 추진 체계

○ ‘인사처 -  공단 – 공무원 마음건강센터’ 협업

구분

세부 역할

인사처

 사업추진 기본계획 수립, 지원계획 배포, 사업관리

연금공단

 마음건강 자가진단 서비스 제공, 마음건강센터 상담 및 진료비 지원 안내, 진료비 지원 신청 접수・확인・지급, 개인정보 수집・관리

마음건강센터

 상담 등을 통해 심리재해 위험군 조기 발견 → 전문의 진료 연계(진료비 지원 안내 및 상담 확인서 발급* 등)  * 발급 일련번호 관리를 통해 지원 현황 파악

붙임3 


24년 <청년공감> 운영 개요 및 포스터


□ 운영 개요


○ (운영)3월~6월(약 3개월간),29개 시·군·구에서 35회 개최


-  (학교) 사회과학대 14회, 이공대 9회 / 특성화고 11회


-  (기타) 자립준비청년 행사 1회


< ‘24년 개최 현황 >

전체

사회과학대

이공계 등

특성화고

자립준비청년

35회(100.0%)

14회(40.0%)

9회(25.7%)

11회(31.4%)

1회(2.9%)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7회(20.0%)

10회(28.6%)

6회(17.1%)

7회(20.0%)


○ (방식)청년세대 정책토론회 + 현장 관계자 간담회


-  (토론회)정책 담당자가 정책 현안 소개 후 청년 의견수렴


※ 실시간 설문 프로그램(QR코드 활용)을 통해 익명으로 참가자들이 의견을 공유


- (간담회) 본부 국장급 이상 공무원이 현장에 동행해 학교 관계자·지역공무원 등을 만나 청년들의 공직 진출에 대해 논의


○ (토의 주제)인사처의 국정과제, 연두 업무계획 중 청년 의견이 필요한 과제 선별


토의 주제

내용 (예 시)

① 국민이 바라는 공무원상(像)

 공무원은 어떤 태도·자세와 역량을 갖춰야 하는지?

 공무원 인재상을 인사제도에 반영하는 방안은?

② 공무원 채용의 현재와 미래

 어떻게 최적의 인재를 선발하는가?

 효율적으로 인력을 충원하는 방법은?

③ 청년이 일하고

싶은 공직

 청년 인재를 유치·유지하기 위한 방안은?

 청년은 어떤 조직문화를 원하는지?

□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