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직위 안내자료

(통계개발원장)









2024. 4.




통 계 청

Ⅰ. 기관 일반현황


 조직 및 정원


1. 조직: 3실 1팀


통계개발원장


























연구기획실


통계방법연구실


경제사회통계연구실


정책통계연구팀






[참고] 통계청 조 직 도

본 청: 1관‧5국‧1정책관‧1심의관, 4담당관‧35과‧4팀

























청  장


































대 변 인






























차  장































감사담당관












개혁추진팀




























































운영지원과

기획조정관

통계정책국

통계데이터

허브국

통계서비스

정책관

경제통계국

경제동향

통계심의관

사회통계국

조사관리국

소속기관: 2원‧5지방청‧1지청, 30과‧3실‧1팀, 34사무소


























l









통계교육원

통계개발원

경인지방통계청

동북지방통계청



호남지방통계청

동남지방통계청

충청지방통계청




강원지방통계지청

2. 정원

(’24. 1. 31. 기준, 단위: 명)

합계

공무원

공무직

소계

고위

3・4급

4급

4・5급

5급

6급

7급

8급

9급

54

53

1

1

2

2

21

20

5

0

1

1


[참고] 통계청 정원                           (’24. 1. 31. 기준, 단위: 명)

구  분

총  원





본청

교육원

개발원

지방관서 

정  원

2,172

685

32

53

1,402

◦ 5급 이상

376

227

11

27

111

◦ 6급 이하

1,796

458

21

26

1,291



 예   산 : 60억 원


○ 인 건 비 : 43억 원

○ 기본경비 :  3억 원

○ 사 업 비 : 15억 원


 주요기능


○ 통계의 개발‧개선‧분석에 관한 연구계획 수립 및 시행

○ 경제‧인구‧사회‧정책분야 통계 개발‧개선‧분석

○ 국가통계작성 방법 선도 및 공공데이터 등 데이터 활용방법 연구

○ 사기획ㆍ방법 등에 관한 연구 및 통계생산처리 등에 관한 연구

○ 국제기구ㆍ외국과의 공동연구 등에 관한 사항


 소관법령


○ 통계개발원 기본운영규정(훈령)

○ 통계개발원 연구사업 관리 규정(훈령)

○ 통계개발원 위임전결 규정(훈령)

○ 통계청 논문 공모전 표창규정(훈령) 등 

Ⅱ. 통계개발원장 주요업무 내용


◇ 통계개발원장은 국가통계의 개발‧개선을 위한 연구계획 수립,통계작성방법 및 데이터 활용방법의 연구, 경제ㆍ사회ㆍ인구 통계개발ㆍ개선 및 분석,미래대비 핵심연구 관리 강화 및 연구성과 공유ㆍ확산 등에 관하여 총괄 역할 수행


1


국가통계 품질향상 및 통계활용성 제고에 관한 연구


□ 조사설계·추정방법 및 다출처 자료 활용방법 연구


○ 비대면조사, 공공데이터 활용 등 자료수집 방식의 다양화에 따른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최적 조사표 설계 연구 강화


○ 국가통계 품질 향상 및 신뢰성 제고를 위해 전문화ㆍ체계화된 조사방법 연구 강화


□ 데이터 과학 및 조사표 개선‧개발 연구


○ 데이터 품질 향상 및 시의성 있는 국가통계 생산을 위한 데이터과학 방법론 국가통계 적용방안 연구


○ 조사 불응률 증가, 조사도구 다양화 등 조사환경 변화에 따라 조사표 개선 노력 및 응답자 친화적 조사표 구성


2


데이터 기반 경제ㆍ사회ㆍ인구정책 지원을 위한 연구


 경제통계 개선ㆍ개발 연구


○ 경제 구조ㆍ환경을 시의성 있게 반영하여 경제통계 현실 관련성및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경제통계 개선ㆍ개발 연구 추진


○ 다출처 자료 활용성 제고를 위한 통계자료, 행정자료, 민간자료 간 연계 기반 연구 수행

 인구위기 대응 지원을 위한 통계 연구


○ 저출산, 고령화 등 인구구조 급변에 대비하는 정책 지원을 위한 인통계 개선ㆍ개발 연구


○ 지역인구 위기, 통계적 지역분류체계 활용 및 인구와 산업 등 인구위기 대응 정책 지원을 위한 연구 수행


국민 삶의 질, 지속가능발전지표 생산·관리

○ 증거기반 정책 지원을 위해 정책 맞춤형 지원을 위해 생애주기별 삶의 질 변화 측정을 위한 지표 프래임워크 구축 연구


○ 국내 SDG 데이터 책임기관으로서의 위상 강화 및 국제 리더십발휘를 위한 데이터 거버넌스 운영 전략 수립과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


3


미래대비 핵심연구 관리 강화 및 연구성과 공유ㆍ확산


 연구과제 품질관리 체계 내실화


○ 효율적ㆍ객관적 연구수행ㆍ평가 체계 구현 및 운영


통계개발원 도약ㆍ선진화를 위한 미래대비 핵심연구 추진전략 수립


○ 중장기 연구 분야 지속 관리 및 선진통계 연구환경 구축


 국가통계연구 선도를 위한 연구성과 소통ㆍ공유 확산


○ 국가통계방법론 심포지엄 및 주제별 포럼, 논문공모전 등을 통한 통계연구 발전과 확산을 위한 노력


○ 학술지 통계연구, KOSTAT 통계플러스, 다양한 주제의 보고서 등 발간을 통해 통계 리터러시 제고 및 소통강화 노력


Ⅲ. 통계개발원장 당면 현안 과제


1


국가통계 발전 선도를 위한 새로운 비전 제시


 배경 및 필요성


○ 통계 연구직렬 도입 및 명칭변경 등에 따른 국가통계 연구 전문기관으로서의 위상에 부합하는 비전 제시 및 기관발전 전략 수립 필요


 주요 내용


○ (역할 재정립 및 비전 제시) 통계개발원의 미션이 반영된 비전 제시를 통해 구성원 공감을 통한 적극적인 참여로 국가통계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기관운영의 방향 제시


○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본청의 단기 수요과제 수행과 함께 국가통계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지속적 추진이 필요한 중장기 연구 분야 선정 및 실행을 위한 추진전략 수립 


2


통계생산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자체 연구역량 강화


 배경 및 필요성


○ 행정 및 공공데이터 개방에 따른 활용성 확대로 데이터 융・복합을 통한 국가통계 보완 및 새로운 국가통계 생산 기반 확대


○ 포괄범위 감소, 무응답 및 조사비용의 증가, 시의성 요구 증대 등으로 확률표본에 기반한 전통적인 통계 생산은 한계 봉착


 주요 내용


○ 행정자료 및 조사자료 결합을 통해 국가통계의 정확성 및 활용을 통한 국가통계 생산방안 연구로 국가통계 생산 패러다임 전환 선도


○ 국가통계 생산에 활용을 위한 선택편향을 제어를 통해 행정자료, 웹조사자료, 빅데이터 등 비확률표본의 활용성 연구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