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의 취지
고위공직자가 직무 관련 주식을 보유한 경우 공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사적 이해 충돌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
대상 및 요건
재산공개대상자, 기획재정부의 금융 사무 관장 국 4급 이상, 금융위원회 소속 4급 이상 공무원 본인 및 이해관계자 (배우자, 직계존비속) 보유 주식의 총 가액이 3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주요내용
- 원칙적으로 해당 주식을 매각하거나 백지신탁계약을 체결함
- 다만, 매각 또는 백지신탁의 의무를 면하고자 할 경우에는 주식백지신탁심사위원회에 보유 주식의 직무관련성 심사를 청구하여 직무관련성이 없다는 결정을 받아야 함
주식가액의 산정방법
- 상장주식 : 재산등록 기준일의 최종 거래가격
- 장외거래되는 주식 중 증권시장과 유사한 방법으로 거래되는 주식 : 신고기준일의 기준가(거래량가중평균가)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6조
* K-OTC시장 거래 주식은 거래량 가중평균가로 산정
- 그 외의 비상장 주식 : 재산등록 기준일의 액면가
주식백지신탁 의무이행 기준일
- 3천만 원을 초과한 날(기존 주식이 상승하여 3천만 원을 초과한 날 포함)
- 공개대상자등이 된 날
- 변동사항 신고 유예사유(법 제6조의3 제1항·제2항)가 소멸된 날
- 직무관련성 심사 결과 직무관련성 있다는 결정을 통지받은 날
- 백지신탁계약 체결 후, 상속·증여 등의 사유(영 제27조의9)로 주식을 신규 취득한 날
- 공개대상자등의 직무(상임위원회, 보직 등)가 변경된 날
예) 국회의원과 지방의회의원은 위원회(상임위 및 상설특위)가 변경된 날, OO지방경찰청장이 △△지방경찰청장으로 전보된 날, □□부의 ○○실장이 △△실장으로 전보된 날, 조직개편으로 □□부 ○○실장의 관할 부서에 변동(업무 추가 등)이 생긴 경우 등
업무처리 절차
주식백지신탁심사 처리 절차
공개대상자 등 본인 및 이해관계자의 보유주식이 3천만원을 초과한 경우
매각 또는 백지신탁 계약 체결. 백지신탁 시 수탁자가 해당주식 처분
매각 또는 백지신탁 계약 의무 면제 희망 시
주식백지신탁심사 위원회에 직무관선성 심사 청구
- 심사 결과 직무관련성이 없는 경우
- 주식보유가능
- 심사 결과 직무관련성이 있는 경우
- 매각 또는 백지신탁 계약 체결
- 콘텐츠 담당부서 :
- 윤리정책과
- 전화 :
- 044-201-8456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