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67.82.94:1935/vod/mp4:.mp4
공무원인사제도-공직박람회-직무소개-사진으로보기의 조회 테이블로 작성자,작성일,조회수,내용,,자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목 산림청 임업 서선하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19-04-24 조회수4521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19-04-24
조회수4521
서선하

직무소개

  • 소속 : 산림청 북부지방산림청
  • 직급(직렬·직류) : 임업서기(임업∙산림자원)
  • 성명 : 서선하

자기소개

  • 저는 북부지방산림청 인제국유림관리소에 근무하는 서선하입니다. ’11년 국가직 9급 공채시험에 합격하여 3년째 공직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현 근무지에 처음 임용되어 산림문화업무를 3개월 담당하고, 이듬해 자원조성팀으로 배치되어 현재까지 조림, 숲가꾸기, 임업기계장비 관련업무를 담당하며 숲을 가꾸고, 아름답게 보전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공직지원동기

  • 저는 강원도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를 따라 강원도 산간오지로 여러 번 이사를 다녔습니다. 생활이 불편한 오지에 근무하시면서도 사명감을 갖고, 학생들을 가르치시는 아버지를 보며 공직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특히 어려서부터 자연스레 자연과 친화되었던 저는, 강원도 동해안 일대의 아름다운 산림이 대형 산불로 벌거숭이가 된 현장을 접하며, ‘저 산을 어떻게 다시 아름답게 만들 수 있을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 궁금증을 계기로 산림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임업직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직무소개(주요업무 및 성과·보람)

  • 산림청 소속기관인 국유림관리소에서는 어떤 일을 하나요?
    • 국유림관리소에서는 우리나라 국토의 64%인 산지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효율적 이용과 훼손의 방지, 공익기능 강화를 통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림재해(산불, 병해충, 산사태 등) 예방과 안전망 구축으로 건강한 산림생태계를 유지함으로써 산림의 경제적 · 공익적 · 생태적 가치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관리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국유림관리소는 임업직렬 공무원과 행정직렬 공무원이 ‘자원조성’, ‘산림경영’, ‘산림보호’, ‘국유재산 관리’ 등 업무분야별 팀을 이루어 산림현장 제일선에서 정책을 집행하기 때문에 현장근무가 많은 편입니다. 특히 계절별로 봄과 가을에는 산불비상근무, 여름에는 산사태비상근무, 겨울에는 폭설에 의한 피해목 조사 등으로 국유림관리소 전 직원이 연중 바쁘게 근무하고 있습니다.
  • 자신이 담당하는 일은 어떤 것인가요?
    • 저는 자원조성팀에서 종자채취, 조림, 숲가꾸기, 임업기계장비 운영, 사업의 홍보 및 행사 등 자원조성 업무를 전반적으로 담당하고 있습니다. 각 업무를 간단히 소개하자면 ‘조림’이란 매년 4월 이용가치가 적은 불량림 벌채지, 산불피해지, 사유토지 매수지 등에 경제수종을 심어 산림을 녹화하고 경관을 조성하는 일로써 산림공무원의 가장 기초적이며 중요한 임무입니다. ‘종자채취’는 조림을 실행하기에 앞서 묘목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매년 7~9월 종자를 예찰하고, 채취하여 우수종자를 양묘장에 공급하는 일입니다.

      ‘숲가꾸기’는 인공조림목과 천연림이 건강하고 우량하게 자랄 수 있도록 숲을 가꾸는 작업으로, 조림 후 나무의 생애 주기별로 풀베기, 덩굴제거, 어린나무가꾸기, 솎아베기 작업을 실행하여 양질의 목재로 육성하는 일입니다. 이 일을 실행하기에 앞서 산림공무원은 산림조사 등을 위해 험준한 산을 4계절 내내 자주 올라야 합니다. 또한 사업 추진 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기에 안전교육을 실행하고 작업장 내 안전수칙 준수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등 항상 육체적, 정신적으로 긴장해야 합니다. 그 외 임업기계장비를 활용하여 목재산물 수집을 극대화 하며, 각종 식목 행사 및 숲가꾸기 행사, 땔감 나누어 주기 등 체험행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해당 직종(직렬) 업무에 유리한 전공·경험·자질(성격)이 있다면?
    • 임업직렬은 산림 관련 고등학교, 대학교에서 학업을 하였다면,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산림공무원이 되었을 때 업무에 빨리 적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관련분야 전공보다 중요한 것은 업무현장에서 배우고자 하는 노력입니다. 비전공자라 해도 노력을 통해 얼마든지 전공자보다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근무지가 오지인 곳도 있고, 산으로 출장을 다녀야 하며, 비상근무와 순환근무를 해야 하기에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담당업무와는 별개로 자신의 업무에 대한 책임감이 투철하고, 조직에 잘 융화될 수 있는 사람, 대인관계가 원만한 사람이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해당 업무를 하면서 보람을 느낀 경험은?
    • 자원조성 업무를 담당하면서 가장 보람을 느끼고, 마음이 뿌듯한 경험은 첫 조림사업을 실행한 벌거숭이 산에 나무가 조금씩 자라며, 푸르게 변하는 것을 확인했을 때 입니다. 또한 업무 틈틈이 책과 보고서, 선배공무원 자문 등을 통해 담당업무를 공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궁금한 사항을 문의하는 민원인, 학생, 일반인에게 제가 알고 있는 지식을 전달해 주고, 감사의 인사를 받았을 때 보람을 느꼈습니다.

후배들에게 하고 싶은 말

  • 공직선배로서 후배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은?
    • 공직자가 되면 작은 일이라도 그 일이 국가를 위해 도움이 되는 일인지 생각하고, 판단해야 합니다. 특히 산림공무원은 산림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기여하고, 임업인과 산주, 국민과 미래세대 모두가 경제, 환경, 사회적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기에 힘든 일도 많지만 그만큼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공무원 시험 합격을 위해서는 열심히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명감을 갖고 일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자신의 적성이나 진로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해보고, 정말로 국가와 국민을 위해 일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면 산림청 공무원에 한번 도전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일반행정직 공무원을 준비하는 후배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 임업직렬의 경우 산림현장에서의 전문성을 중요시합니다. 그렇기에 공개경쟁채용시험 외에도 산림분야 자격증 소지자 또는 경력자를 대상으로 경력경쟁채용 등을 통해 공직에 입문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무원 시험 준비를 하는 과정은 힘이 듭니다. 그러나 산과 들을 좋아하고 대인관계 또한 원만하다면 한번 도전해 볼 것을 권하며 저 또한 그런 후배들과 같이 일하고 싶습니다. 산림청은 자부심을 갖고 도전하는 후배들을 언제든 환영하고 있습니다. 후배 여러분, 산림청에서 공직 임용의 푸른 꿈을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다음글,이전글 목록
다음글 ▲ 환경부 환경직 박판규
이전글 ▼ 외교부 남궁탁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