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67.82.94:1935/vod/mp4:.mp4
공무원인사제도-공직박람회-직무소개-사진으로보기의 조회 테이블로 작성자,작성일,조회수,내용,,자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목 국토교통부 항공 최정민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19-04-24 조회수3439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19-04-24
조회수3439
최정민

직무소개

  • 소속 : 항공교통센터 관제과
  • 직급(직렬·직류) : 7급(항공주사보)
  • 성명 : 최정민

자기소개

  • 국토교통부 항공교통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최정민입니다.
    저는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교통학과(현재 항공교통물류학과)에 입학하여, 항공분야에 대한 견문을 넓히고자 미국 Embry-Riddle Aeronautical University에 1년간 교환학생을 다녀왔으며(1998년), 재학 중 항공교통관제사, 운항관리사, 무선통신사 자격증을 취득 후 2001년 국가기술직 채용시험을 통해 항공교통센터에 입사하였습니다.
    입사 후 항공교통관제 업무, 항공영어교육업무 관리,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점검 준비 업무 등을 거쳐 현재는 관제실에서 대한민국의 하늘 길을 열어가는 항공교통관제사로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공직지원동기

  • 저는 어렸을 때부터 항공분야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한 기회에 대중매체를 통해 접하게 된 항공교통관제사라는 직업에 관심을 가지고 알아보던 중, 항공교통관제사가 국토교통부 소속 공무원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관련대학 학과에 진학해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국토교통부 국가기술직 채용시험(2001년)에 지원하여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직무소개(주요업무 및 성과·보람)

  • 항공교통센터에서는 어떤 일을 하나요?
    • 국토교통부 항공교통센터는 우리나라 비행정보구역을 관할하는 국내유일의 항공로 관제기관으로서 항공기가 안전하고 효율적인 비행을 할 수 있도록 최상의 관제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하루 평균 1900여대의 항공기에 대한 항공안전을 확보하고,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비행공역 관리 및 항행시설의 유지 관리 업무 등 대한민국의 항공안전을 책임지는 제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자신이 담당하는 일은 어떤 것인가요?
    • 제가 담당하는 업무는 대한민국의 비행정보구역의 항공로를 비행하는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 할 수 있도록
      첫째, 조종사와의 교신을 통한 항공교통관제업무와 항공기의 비행 허가 발부
      둘째, 인접국가(중국, 일본 북한)와의 항공기 관련 정보 교환업무
      셋째, 국방부(공군)와 접근관제소와의 협조업무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해당 직종(직렬) 업무에 유리한 전공·경험·자질(성격)이 있다면?
    • 항공교통관제사는 국가기술직 채용시험을 통해 채용되는 만큼 규정된 요건을 충족시키는 사람만이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따라서 한국항공대 항공교통물류우주법학부 혹은 한서대 항공물류학부를 전공하거나 별도의 교육기관(항공기술훈련원)을 이수, 혹은 공군 실무 경력을 통해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증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또한 모든 업무가 영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국제민간항공기구에서 규정한 항공영어구술능력시험에서 4등급 이상을 취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관제업무는 시시각각 변하는 기상 및 항공교통상황을 파악하여 신속하게 항공기 안전운항을 위한 지시를 발부하여야 하는 직업의 특성상 높은 집중력과 정확한 판단력이 요구되며, 순간적인 판단 착오 혹은 작은 실수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고도의 스트레스를 감당 할 수 있는 성격을 가진 분들에게 유리할 것입니다.
      항공기 운항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경력(항공기 조종, 정비, 운항관리)이 있을 경우 업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해당 업무를 하면서 보람을 느낀 경험은?
    • 항공교통관제업무는 여러 가지 요인(해당지역의 기상, 공항상황, 항공기 장비 및 조종사의 인적 요소 등)에 의해 다양한 상황 하에서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업무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는 부분은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입니다. 항공기들이 내가 담당하는 구역을 안전하게 비행하게 인도하여 다음 관제사에게 인수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데요, 이런 업무의 특성상 의무감과 스트레스를 동반하는 동시에 성공적인 업무 수행 후에 큰 보람을 안겨주게 됩니다.
    • 예를 들면 시시각각 변하는 기상상황은 비행기들의 안전운항에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특히 악기상 발생 시 항공기들이 정해진 항로와 고도를 이탈하여 비행하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렇게 위험한 구역을 지나 안전한 지역으로 항공기를 인도 한 후에 받는 조종사들의 감사인사 한마디는 업무의 피로를 잊게 하여 주고, 제 업무에 큰 보람을 느끼게 합니다.

후배들에게 하고 싶은 말

  • 공직선배로서 후배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은?
    • 공직자로서 주어진 업무만을 수행하는 사람이 아니라, 국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마음가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내 업무를 처리함으로 인해 국민들이 받는 즐거움을 생각하는 서비스 정신을 가지고 업무에 임하면, 단순 업무 수행에서 오는 의무감을 벗어나, 즐거운 직장생활과 함께 업무 효과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해당 직종(직렬) 공무원을 준비하는 후배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 항공 산업이 발전하며 항공분야의 직업이 각광을 받고 있는 요즘 항공교통관제사란 직업은 유망한 직업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 직업을 준비하는 많은 분들이 의외로 잘 모르고 막연한 동경을 가지고 지원하는 분들도 많을 것 같습니다. 이 직업은 항공안전을 책임지고 작은 실수도 큰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고도의 스트레스를 받고, 집중을 요하는 업무강도가 높은 직업입니다. 따라서 적성이 맞는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직업을 준비하기 전에 일단 본인의 적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고도의 스트레스와 책임감이 동반되는 이 직업을 수행하는 우리가 있기에 안전한 하늘길이 있다는 것 알아주시고, 항공교통관제사에 꿈과 열정을 가지신 분들이 많이 지원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필기시험 및 면접 등 준비 방법 또는 나만의 공부방법이 있다면?
    • 필기시험은 위해 항공법과 항공영어에 대한 충분한 학습을 기본적으로 하고, 면접을 위해서는 평소에 항공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예상 질문과 답변을 준비하여야 합니다. 특히 영어를 사용하는 직업이다 보니 영어면접에 대한 비중이 높은 것을 감안하여 면접 예상답변을 작성 시 영어로도 가능하도록 준비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음글,이전글 목록
다음글 ▲ 농촌진흥청 연구 류수현
이전글 ▼ 국토교통부 항공 박연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