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도 자 료 |
|
|||
작성과 |
성과복지국 연금복지과 |
담당자 |
과 장 천지윤(2100- 6880, 010- 5288- 7519) |
||
사무관 윤희성(2100- 6890, 010- 8565- 6286) |
|||||
보도일시 |
2015년 5월 28일(목) 조간(5.27.12:00)이후 보도 부탁드립니다. |
||||
소설‘옥중별곡’, 공무원문예대전 대상 수상 - 제18회 공무원문예대전 시상식 개최(2015.5.28, 세종문화회관) - |
□ 소설 ‘옥중별곡’이 ‘제18회 공무원문예대전’에서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다.
□ 인사혁신처(처장 이근면)는 신유복(64, 전 경북 김천시청) 씨의 ‘옥중별곡(獄中別曲)’을 비롯한 시・시조・수필・동시・동화・희곡 60편을 수상작으로 선정하여, 28일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제18회 공무원문예대전 시상식을 연다’고 밝혔다.
□ 전·현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이번 공무원문예대전에는 3,419편(1,707명)의 작품이 접수돼 열띤 경쟁을 펼쳤다.
○ 대상 수상작 ‘옥중별곡(獄中別曲)’은 에이즈 환자였던 주인공이 교도소에 수감 돼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풀어낸 작품으로,
- 아내의 不貞과 이로 인한 에이즈 감염, 아내와 情夫를 죽이고 교도소에 수감돼 죽음에 이르면서도 결국 수양에 힘써 성불하고, 등신불이 된다는 내용을 탄탄한 구성과 문장으로 잘 표현한 수작이다.
- 신유복 씨는 “평생의 꿈이었던 신춘문예 당선을 육십 중반의 나이에 공무원문예대전 대상으로 이루게 돼 벅찬 감정을 억누를 수 없다”고 소감을 밝혔다.
- 1 -
○ 시 부문 금상 수상작인 ‘어느 저녁 반찬’(이효조, 40세, 김포시청 행정서기)은,
- 반찬으로 등장한 명태와 요양병원에 있는 외할머니가 서로 대화를 통해 각자의 삶을 뒤돌아보는 독창적 기법으로 풀어낸 장편시로써, 삶에 대한 연민과 역사의식을 잘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수필 부문 동상 수상작인 ‘절망이 찾아 준 또 다른 이름, 희망’은,
- 스키보드를 타다 사고로 하반신 불구가 된 장애인이 힘든 치료와 재활과정을 극복하고, 공무원이 되기까지의 경험을 생생하게 표현한 작품이다.
□ 이근면 인사혁신처장은 “바쁜 공직 생활 중에도 문학적 소양과 재능을 꾸준히 계발해 오늘 이 자리에 오신 수상자와 가족 여러분께 축하를 보낸다”면서 “갈고 닦은 예술적 역량을 마음껏 발휘해 창의적이고 활기찬 공직사회를 만들고, 정부 3.0과 국민행복 시대를 이끌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했다.
□ 제18회 공무원문예대전 시상식은 28일 오후 3시,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수상자와 가족, 심사위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며, 수상작들은 작품집과 e- book으로 만들어져, 전국 도서관, 지자체에 배부되고, 인사혁신처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 2 -
참고 1 |
제18회 공무원문예대전 개최 현황 |
□ 개최 개요 ※ ’98년부터 매년 개최
주최/후원 : 인사혁신처 / 한국문인협회
참가대상 : 전‧현직공무원
모집부문 : 시‧시조‧수필‧단편소설‧동시‧동화‧희곡(7개)
□ 개최 경과
개최 계획 공고 : 2. 13
작품 접수 : 3. 23 ~ 4. 6(15일간)
- 3,419편‧1,707명 참가(전년 2,864편 대비 19.4% 증가)
합계 |
시 |
수필 |
동시 |
시조 |
단편소설 |
동화 |
희곡 |
3,419 (비율) |
1,832 (53.6) |
734 (21.5) |
359 (10.5) |
195 (5.7) |
144 (4.2) |
138 (4) |
17 (0.5) |
심사위원회* 개최 : 1차(4. 14), 2차(4. 28)
* 한국문인협회 문효치 이사장(심사위원장) 및 대학교수, 작가 등 17명
심사결과 발표 : 5. 4
□ 입상 내용 ※ 60명 수상, 상금 총 44백만원
구 분 |
작 품 제 목 |
입 상 자 |
시 상 내 역 |
대 상 |
옥중별곡(소설) |
前 경북 김천시 신유복 |
대통령상 (상금 300만원) |
금 상 |
어느 저녁 반찬(시) 등 6편 |
경기도 김포시 이효조 등 6명 |
국무총리상 (상금 각 200만원) |
은 상 |
회초리(수필) 등 13편 |
서울남부교도소 채규보 등 13명 |
인사혁신처장상 (상금 각 100만원) |
동 상 |
성공남녀(희곡) 등 30편 |
창원선관위 이진선 등 30명 |
인사혁신처장상 (상금 각 50만원) |
입 선 |
기특이(동화) 등 10편 |
천안우체국 박지희 등 10명 |
증 서 (상금 각 10만원) |
- 3 -
참고 2 |
제18회 공무원문예대전 입상내역 |
대 상 (1) : 대통령상, 상금 300만원
부 문 |
작 품 명 |
소 속 |
성 명 |
소설 |
옥중별곡(獄中別曲) |
전) 경북 김천시 |
신유복 |
부 문 |
작 품 명 |
소 속 |
성 명 |
시 |
어느 저녁 반찬 |
경기도 김포시(행정서기) |
이효조 |
수필 |
봄날은 간다 |
삼천포중앙여자중학교(교사) |
김도숙 |
동시 |
반구대 암각화 |
전)옥현초등학교 |
송명숙 |
시조 |
아름다운 접점(接點) |
충청북도(보건사무관) |
이승우 |
동화 |
칸 이야기 |
완도여자중학교(교사) |
정재학 |
희곡 |
WHO여? Me랑께! 누구여? 나랑께! |
서울남명초등학교(교사) |
류호선 |
은 상 (13) : 인사혁신처장상, 상금 각 100만원
부 문 |
작 품 명 |
소 속 |
성 명 |
시 |
창 |
강원대학교(교원) |
김태인 |
시 |
춤추는 남녀무늬 항아리 |
울진소방서(소방장) |
김일하 |
시 |
어미의 돌절구 |
대전교도소(교정8급) |
김기범 |
수필 |
회초리 |
서울남부교도소(교정7급) |
채규보 |
수필 |
옥탑방의 겨울 |
서울 강서구(사회복지주사보) |
최경숙 |
- 1 -
부 문 |
작 품 명 |
소 속 |
성 명 |
수필 |
꽃 |
서라벌여자중학교(교사) |
서형숙 |
동시 |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났어요 |
천안시 동남구보건소(간호주사보) |
채나연 |
동시 |
항아리 |
대전체육고등학교(운전서기보) |
김계석 |
동시 |
3월 4일 |
진성초등학교(교사) |
김애영 |
시조 |
중년, 페달을 밟다 |
서대문경찰서(경위) |
홍순열 |
소설 |
치매 시대 |
부산시 부산진구(세무주사보) |
임문호 |
동화 |
바위의 창 |
전)진실화해과거사위원회 |
권재록 |
희곡 |
담장 밖 인성교육 |
목포교도소(교정8급) |
김현중 |
동 상 (30) : 인사혁신처장상, 상금 각 50만원
부 문 |
작 품 명 |
소 속 |
성 명 |
시 |
대화 |
화성동화중학교(교사) |
김진대 |
시 |
석쇠 |
강원도 춘천시(4급) |
고순용 |
시 |
일상 |
경상남도교육청(전산주사보) |
문기훈 |
시 |
양파 |
부산광역시(시설사무관) |
윤명호 |
시 |
온기를 좇아 뒷걸음치는 지우개의 순애보 |
경남도 통영시(행정서기보) |
서영호 |
시 |
Her |
솔개초등학교(교장) |
이동백 |
시 |
뽕짝의 바다 |
전)익산시 |
김미숙 |
시 |
편지 |
경남도 거창군(행정주사보) |
이병두 |
시 |
어머니와 트로트를 |
서변중학교(행정서기보) |
심영호 |
수필 |
내 유년의 여름 |
전)울산광역시 |
김갑주 |
- 2 -
부 문 |
작 품 명 |
소 속 |
성 명 |
수필 |
달챙이 숟가락 |
전)전주송북초등학교 |
정성수 |
수필 |
첫사랑 |
경주우체국(행정주사) |
조정임 |
수필 |
겨우살이 |
태백시(행정사무관) |
남궁 증 |
수필 |
일상예찬 |
수륜초등학교(교사) |
서동숙 |
수필 |
절망이 찾아준 또 다른 이름, 희망 |
중앙공무원교육원(공업주사보) |
신인교 |
수필 |
두근두근 심장소리는 희망입니다 |
심창초등학교(행정주사보) |
진병국 |
동시 |
꼬마와 우체국 |
순천우체국(행정주사보) |
김수미 |
동시 |
외할머니의 계산법 |
신안군(사회복지주사보) |
이병언 |
동시 |
강아지도 공부하고 싶을까? |
전북도 장수군(농업주사) |
김현호 |
시조 |
글자에 색을 입히며 - 형광펜 |
전)경주초등학교 |
윤상근 |
시조 |
심해 새우 |
고양시 덕양구(5급) |
정광우 |
시조 |
지구촌 삽화1 - 우간다 오누이 |
경복고등학교(교사) |
고윤석 |
소설 |
빈 배 |
전)강원영동병무지청 |
이상성 |
소설 |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
대구광역시교육청(사무관) |
김칠구 |
소설 |
젊음이 없는 도시 |
의정부 민락중학교(교원) |
김영완 |
소설 |
새가 앉은 동안 |
경상남도 교육연구정보원(연구사) |
서행련 |
동화 |
얼토당토 있는 토요일 |
옥동초등학교(교사) |
심진규 |
동화 |
파보는 내 친구 |
인천공항세관(관세서기) |
이정희 |
동화 |
돌아온 망구아저씨 |
통영두룡초등학교(교사) |
강우성 |
희곡 |
성공남녀 |
마산회원구선관위(행정주사보) |
이진선 |
- 3 -
입 선 (10) : 증서, 상금 각 10만원
부 문 |
작 품 명 |
소 속 |
성 명 |
시 |
귀의 위치 |
전)부천시 |
정수경 |
시 |
나를 찾아서 |
서울구치소(교정7급) |
박현준 |
시 |
난청 |
광주광역시 동부소방서(소방장) |
고경자 |
수필 |
큰형님 |
강원도 인제군(행정주사) |
손미정 |
수필 |
아가, 넌 누구다냐? |
동두천양주교육청(교육행정주사) |
이영표 |
동시 |
암탉은 괴로워 |
수락고등학교(교사) |
이용호 |
시조 |
연필을 깎다가 |
전)평창군 |
이우식 |
소설 |
솜사탕 |
교육부 교원소청심사위(행정주사보) |
박은지 |
동화 |
숨은 별자리 찾기 |
광주지방국세청 익산세무서 (세무주사보) |
최현선 |
동화 |
기특이 |
천안우체국(행정주사보) |
박지희 |
- 4 -
참고 3 |
제18회 공무원문예대전 시상식계획 |
□ 시상식 개요
일 시 : ‘15. 5. 28.(목) 15:00~16:00
장 소 : 세종문화회관 예인홀
참석 대상 : 처장님, 수상자, 심사위원 등 약 100명
주요 내용 : 시상 및 격려말씀(처장님), 기념촬영, 작품 관람 등
< 총 입상 내역 : 60편 > * 접수작품 : 총 3,419편 ▪ 대 상 (1) : 대통령상, 상금 300만원 (단편소설) ▪ 금 상 (6) : 국무총리상, 상금 200만원 (시, 시조, 동시, 동화, 수필, 희곡) ▪ 은 상 (13) : 인사혁신처장상, 상금 100만원 ▪ 동 상 (30) : 인사혁신처장상, 상금 50만원 ▪ 입 선 (30) : 증 서, 상금 10만원 |
진행 순서
시 간 |
소요시간 |
행 사 내 용 |
비 고 |
15:00~15:05 |
5분 |
◦ 국민의례 |
사회자 |
15:05~15:10 |
5분 |
◦ 심사평(심사위원장) |
문효치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
15:10~15:30 |
20분 |
◦ 시 상 |
처장님, 수상자(23명) |
15:30~15:35 |
5분 |
◦ 격려말씀 |
처장님 |
15:35~15:40 |
5분 |
◦ 시 낭송 |
수상자 (이효조) |
15:40~15:45 |
5분 |
◦ 기념촬영 |
처장님, 수상자 |
15:45~16:00 |
15분 |
◦ 작품 관람(수상자 설명) |
처장님, 수상자 |
※ 수상 작품집 배부 및 주요 작품 전시
- 5 -
참고 4 |
시상식 대표 수상자 명단 |
구분 |
성 명 |
출품작 (분야) |
소 속 |
직 급 |
|
대상 |
신유복 (65세) |
|
옥중별곡 (소설) |
전) 경상북도 김천시청 |
행정주사 |
금상 (6명) |
이효조 (40세, 女) |
|
어느 저녁 반찬 (시) |
경기도 김포시청 |
행정서기 |
김도숙 (57세, 女) |
|
봄날은 간다 (수필) |
삼천포중앙여자중학교 |
교사 |
|
이승우 (56세) |
|
아름다운 접점 (시조) |
충청북도 |
지방보건사무관 |
|
송명숙 (60세, 女) |
|
반구대 암각화 (동시) |
전)울산옥현초등학교 |
교사 |
|
정재학 (61세) |
|
칸 이야기 (동화) |
완도여자중학교 |
교사 |
|
류호선 (42세, 女) |
|
Who여? Me랑께! 누구여? 나랑께! (희곡) |
서울남명초등학교 |
교사 |
- 6 -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