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도 자 료 |
|
|||
작성과 |
중앙공무원교육원 스마트교육과 |
담당자 |
과 장 온준환(500- 8550) |
||
사무관 강은숙(500- 8660) |
|||||
보도일시 |
2015년 10월 14일(수) 조간(10.13, 12:00)이후 보도 부탁드립니다. |
||||
제16회 공무원 사이버교육협의회 개최 - 중앙·지방·국립대학, 사이버교육 혁신을 위해 머리를 맞대다 - |
□ 사이버교육 발전방향과 공동활용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협업과 소통의 장이 마련된다.
□ 인사혁신처(처장 이근면) 소속 중앙공무원교육원(원장 옥동석, 이하 중공교)은 14일 해양경비안전교육원(전남 여수시)에서 제16회「공무원 사이버교육협의회」를 개최한다.
❍ 공무원 사이버교육협의회는 중앙행정기관 및 시·도 교육훈련기관, 국립 대학 등의 사이버교육 담당자의 관련 정보 공유, 시스템 및 콘텐츠 공동 활용* 등을 위한 목적으로 2001년 4월 시작해, 매년 열고 있다.
* 콘텐츠, 시스템을 중공교의 단일 시스템에서 공동 운영‧관리 <붙임 참고>
□ 특히 이번 협의회에서는 중공교가 추진 중인 사이버교육 중장기 발전방향 및 정보시스템 전략계획 등에 대해 집중 토론이 이뤄진다.
❍ 최신 스마트러닝 동향 제공으로 사이버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의 하영자 교수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 사이버교육 중장기발전방향 및 전략체계 설계 보고, 시범시스템 구축 추진경과와 시연, 분임토의 등을 통해 공동활용기관 간 소통과 협의의 시간도 진행*된다.
* 제 16회「공무원사이버교육협의회」개최 계획 참고
- 1 -
□ 옥동석 원장은 “사이버교육을 위한 아이디어의 산실이었던 사이버교육협의회가 공동활용기관 실무전문가들이 차세대 통합 사이버교육시스템 구축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앞으로 중공교는 공동 활용기관과의 협업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사이버교육 혁신 모델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2 -
붙임1 |
공무원사이버교육협의회 연혁 |
회차 |
주 요 내 용 |
일 시 |
참석자 |
15회 (2014) |
•정보기술의 발전과 사이버교육의 발전방향 •안전한 모바일 서비스 구현을 위한 보안방안 |
10.21(화) ~22(수) |
68기관 105명 |
14회 (2013) |
•창의적 집단지성 창출을 위한 스마트러닝 •클라우드 컴퓨팅 동향 과 정보보호 이슈 등 |
9.26(목) ~27(금) |
66기관 102명 |
13회 (2012) |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혁신방안으로서의 스마트러닝 •스마트러닝의 진정한 안착을 위해 필요한 것들 |
11.28(수) ~29(목) |
62기관 96명 |
12회 (2011) |
•스마트워크시대, 효과적인 HRD전략 기조강연 •사이버교육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활용방안 |
12.6(화) ~7(수) |
61기관 104명 |
11회 (2010) |
•스마트워크에 대비한 스마트러닝 추진전략 기조강연 •글로벌 HRD 동향 및 소셜미디어의 이러닝 활용방안 •이러닝 관련 민간업체의 전시 및 기술 소개 등 |
12.2(목) ~3(금) |
66기관 117명 |
10회 (2009) |
•녹색성장 시대 공공이러닝 및 글로벌 신기술 등 이러닝 최신기술 공유 •학점은행제 기상청 원격교육연수원 사례발표 등 |
12.3(목) ~4(금) |
51기관 92명 |
9회 (2008) |
•이러닝의 다차원적인 품질향상 방안, 웹2.0과 이러닝의 만남 등 특강 •사이버외국어 교육의 효과 및 향후 발전방안(사례) 등 |
12.23(화) ~24(수) |
42기관 76명 |
8회 (2007) |
•역량기반의 이러닝 도입 및 운영방안, 구축사례 공유 •고품질 이러닝 콘텐츠 개발방법론 •와이브로(WiBro) 러닝 도입 및 운영(KT) 등 |
12.20(목) ~21(금) |
51기관 79명 |
7회 (2006) |
•최근 이러닝 기술 동향 •혼합형 학습(Blended Learning)의 재구성 •교육훈련제도 관련 소개 및 질의응답 등 |
12.19(화) ~20(수) |
36기관 64명 |
6회 (2005) |
•코스웨어 품질 이대로 좋은가(패널토의) •교육훈련제도 관련 소개 및 질의응답 •사이버교육운영시스템 소개 및 개선사항 보고 등 |
12.21(수) |
36기관 74명 |
5회 (2004) |
•학습효과 촉진을 위한 e- learning 운영 방안 및 신기술 동향 소개 •공무원사이버교육지침 소개, 사이버교육 운영사례 발표 등 |
10.6(수) ~7(목) |
41기관 57명 |
4회 (2003) |
•Blended Learning 전략탐색 및 e러닝 설계의 현황과 운영자의 역할 •공무원사이버교육지침 소개, 사이버교육 운영사례 발표 등 |
6.3(화) ~4(수) |
36기관 63명 |
3회 (2002) |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하는 사이버교육 담당자의 역량 •사이버교육제도 관련 사항 소개(국가, 지방) •공동활용관련 현안업무 전달 등 |
12.27(금) |
27기관 52명 |
2회 (2002) |
•공무원 사이버교육의 성공적인 확산 방안 •효과적인 코스웨어 개발전략 •사이버교육 운영사례 발표 및 분임토의 등 |
4.23(화) ~24(수) |
31기관 60명 |
1회 (2001) |
•공무원사이버교육협의회 운영 발전방향 및 지침, 공동활용 기관간 활성화 방안 등 |
4.27(화) |
30기관 54명 |
- 3 -
붙임2 |
제 16회 「공무원 사이버교육 협의회」 개최 계획 |
□ 개요
○ 일시/장소 : 2015.10.14.(수)~15.(목)/해양경비안전교육원(전라남도 여수시)
○ 참 석 자 : 약 120명 내외
- 중앙 행정기관 및 시·도 교육훈련기관, 국립대학 등의 사이버교육 관련자
※ 관련규정 : 공무원사이버교육센터 공동활용지침(중공교 훈령 제281호)
□ 주요 내용
○ 기조강연 : 최신 스마트러닝 등 동향 제공으로 사이버교육 경쟁력 강화
- 사이버교육 최신 기술 동향 및 발전방향
※ 하영자 교수(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
○ 사업보고 : 차세대 통합사이버교육 시스템 구축(1단계) 사업 진행사항 보고
- 사이버교육 중장기 발전 방향 및 전략 등 BPR/ISP* 결과, 사이버교육 및 학사관리 시범 시스템, 실시간 교육방송을 지원하는 교육운영 포털 등
* 「교육운영 과정 재설계(BPR·Business Process Re- engineering)」와 「정보화전략계획(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 분임토의
- 스마트교육 기법 및 글로벌 교육 트렌드에 맞는 교육운영 개선을 위한 BPR/ISP 전략 수립 방향에 대한 고려사항
- 차세대 통합 사이버교육시스템 개발 사업에 반영되어야할 사항
· 공동활용 시스템 개선 요구사항 및 법·제도 개선
· 학습자의 역량 제고를 위한 시스템 구축 시 개선 사항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