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도 자 료 |
|
|||
작성과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기획협력과 |
담당자 |
과 장 정지만(500- 8520) |
||
사무관 강경호(500- 8523) |
|||||
보도일시 |
2016년 1월 15일 조간(1.14.12:00이후) 보도 부탁드립니다. |
||||
- 공무원교육 67년 만의 변화, “자기주도형 인재개발”로의 대전환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으로 개편해 대한민국 이끈다! |
⃞ 대한민국 공무원교육이 67년 만에 ‘자기주도형 인재개발’로 대전환한다.
○ 1949년 국립공무원훈련원으로 출발한 우리나라 공무원의 산실(産室) 중앙공무원교육원이 단순 교육훈련에서 직무현장학습, 자기개발 개념이 종합된 인재개발(HRD) 중심의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원장 옥동석, 이하 국가인재원)으로 개편 출범하는 것이다.
○ 국가인재원은 15일 오전 이근면 인사혁신처장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같은 국가인재원의 비전을 대내‧외에 선포하고, 현판제막식 및 출범 기념식을 연다.
<대한민국 공무원의 산실, 1949∼2015>
□ 신생 대한민국은 정부수립 이후 ‘사람만이 유일한 자본’이라는 인식하에 역점적으로 공무원 교육훈련기관의 설립을 추진했다.
- 1 -
○ 1949년, 대통령령인「국립공무원훈련원직제」고시와 함께 현(現) 국가인재원의 효시(嚆矢)인 ‘국립공무원훈련원’이 개원했다.
* (대통령령 69호, 국립공무원훈련원직제) 정부 직원이 될 자에 대해 공무원으로서 필요한 교육과 훈련을 시행하여 자질의 향상을 도모하며, 참된 국가의 공무원을 육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 공무원 교육훈련의 중요성은 이후 정부에서도 다르지 않았다.
- 1961년, 국립공무원교육훈련원이 중앙공무원교육원으로 개편되었고, 과천시대를 연 1981년 이후에도 국정과제세미나 등 대통령이 28차례 방문*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였다.
* 박근혜 대통령, 2015. 8.13. 방문 (국정과제 세미나)
□ 국가인재원은 최빈곤국으로 시작해 글로벌 리더그룹으로 발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중추적 역할을 맡았던 공무원을 양성해 왔다.
○ 국가인재원의 교육은 1950년대 신생국가에 필요한 지식‧기술교육에서 시작해, 경제개발‧새마을교육(1960∼70년대), 선진조국 창조(1980년대), 1990년대 이후 세계화‧민주화 추세에 따른 글로벌 역량 함양 교육 등으로 발전해 왔다.
○ 1949년 설립 초기 3명이었던 교직원은 현재 144명으로 48배 늘었고, 67년 간 국가인재원이 길러 낸 공무원은 29만 6,000명에 이른다.
○ 특히, 1967년 개설된 신임관리자과정*은 50여 년간 1만 2,500여 명의 국정운영 핵심인재를 양성하여 많은 장‧차관을 배출했다.
* 5급 신규공무원 대상의 대표 교육과정으로 이기권 고용노동부장관, 김영석 해양수산부장관 등 9명의 현직 장관(급) 수료
□ 국가인재원은 국내 공무원뿐만 아니라 외국 공무원의 인재개발, 교류협력도 활발히 추진해 오고 있다.
○ 1984년 말레이시아 공무원 10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4,800여 명의 외국공무원이 국가인재원을 거쳐 갔으며,
- 2 -
○ 국가인재원 출신 말레이시아공무원 상당수가 정부 요직에 진출해 친한파로 활동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등 외교적으로도 중요한 대한민국의 인적자원 역할을 하고 있다.
* 2015년까지 수료생(1,468명)의 경우 자발적으로 동창회 조직해 유지 중
<GK22(Great Korea 22c) 인재양성을 위한 혁신(2016∼)>
□ 국가인재원은 GK22(22세기 위대한 대한민국)를 이끌 국가인재개발의 허브기관으로서「공직가치 교육의 혁신」,「역량개발체계의 혁신」,「인프라의 혁신」등 3대 혁신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1) 공직가치 교육 혁신 |
○ 국가관‧공직관‧윤리관 등 공직가치에 대한 주기적‧반복적‧역할별 교육을 강화하여 위국보민(爲國保民)의 공직가치를 가진 공직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 공무원이 되고 싶은 사람(직업인으로서의 공무원)이 아닌 공무원을 하고 싶은 사람(소명의식을 지닌 공무원)을 배출하기 위해 합숙교육을 강화하고, 선배 공무원에게 바람직한 공직자상(像)을 전승받는 지도직원제도 도입된다.
① 국가인재원 기본교육에 공직가치 교육비중을 30% 이상으로 확대 (종전 25%)
② 5급 신규자 과정의 공직가지 이해‧실천 등 내재화 합숙교육을 현행 3일에서 3주로 크게 확대‧강화, 모범(Role Model) 선배 공무원으로부터 바람직한 공직자 DNA를 전승받는 ‘지도직원제’ 도입
③ 봉사활동‧민생체험 확대, 역할극 등 체득‧실천형 교육기법 도입, 「이해→공감→체험→실천」 등 ‘공직가치 신념화 프로세스’에 기초한 교육 강화
④ 각급 공무원교육훈련기관에 100명의 공직가치 핵심강사를 양성‧지원 및 표준 교육프로그램‧교재 개발‧보급
- 3 -
(2) 역량개발체계 혁신 |
○ 성과중심 인사혁신과 연계해 전문역량 개발과 교육성과에 대한 평가절차 강화를 통해 교육을 성과중심으로 재편한다.
○ 쉬러 가는 교육, 단순히 받으면 좋은 교육이 아닌, 교육받을 만한 인재를 선발해 핵심리더로 양성하는 ‘조직의 성과 창출과 연계되는 교육’으로 전환해 나간다.
① ‘신임고위공무원단 과정’ 및 ‘신임과장과정’을 신설, 5급 공무원에서 고위공무원까지의 직급별 교육체계(리더십 파이프 라인) 완성<붙임 3>
② 5급 신규자 교육과정의 평가 강화 및 임용과 연계, 향후 전 직급으로 단계적 확대
* 교육과정에서 정성‧정량평가를 통한 교육성적과 임용을 연계, 교육성적 최상위 5% 교육생을 특별 관리하여 부처 핵심인재로 양성
③ 공직채용 경로 다양화를 고려한 특성화‧차별화 교육 운영
5급 신규자의 경우 공채합격자, 민간경력 채용자 합동교육에서 분리교육 운영
민간 개방형 임용자 등의 공직 안착을 위한 별도 교육과정 운영
④ 개인성장 중심에서 조직성과와 연계한 목적형 교육 강화
직무전문교육 강화를 통해 순환보직제 단점 보완
OA 기능 위주의 정보화교육 → SW 등 정보화마인드 함양교육(초‧중등 교육 SW교육 의무화 및 민간부문의 SW산업 활성화 등 SW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 기반 마련)
(3) 인프라 혁신 |
○ 국가 인재개발(HRD) 자원의 전략적 활용을 통한 인재개발 개방‧공유‧협업의 ‘인재개발 3.0’을 확산‧추진한다.
○ 공무원의 자기 주도적 학습 인프라*를 확충하고, 기반을 마련해 GK22를 이끌 대한민국 공무원의 글로벌 경쟁력과 시장가치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 4 -
① 공무원교육기관 간 개방‧공유‧협력으로 공무원이 언제, 어디서나 교육받을 수 있는 All- in- one 교육시스템 구축
교육기관협의회를 기관장‧과장급‧실무자 등 계층별로 상반기 집중 개최해 개방‧공유‧협력 분위기 확산 조성
② 민‧관‧학‧연 지식공유 생태계 조성 및 인재개발 R&D센터 설치를 통해 국가공무원 인재상 정립, 표준교육프로그램 개발‧보급, 교육평가 체계 정립‧확산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등 국책연구기관‧민간교육기관 등과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각급 교육기관 인재개발 컨설팅 등 지원
③ 이러닝교육시스템 통합 플랫폼 구축, 교육기관 간 공동 활용‧지원 등
④ 공무원 HRD 국제교류‧협력 강화를 통한 국가글로벌 리더십 강화
외국공무원교육 대상국가, 내용‧방식 다각화 등 교육확대를 통해 국가브랜드가치 제고(현재 연간 교육인원 200~400명 → 2020년 연간 1,000명까지 확대)
2017년에 EROPA(동부지역공공행정기구) 제26차 총회 개최 등을 통해 공공HRD분야의 글로벌 컨퍼런스를 주도,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을 개발하여 한국의 성공사례 등을 개도국에 전파
□ 옥동석 원장은 “국가인재원은 공직가치가 바로 선 「신뢰받는 공직사회」, 전문성 기반의 리더십역량 강화를 통한 「앞서가는 공직사회」, 세계와 경쟁하는 글로벌 리더 양성을 통한 「글로벌 공직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인재개발 체계를 혁신해 나갈 것”이라며 “국가공무원 인재개발 허브로서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공무원을 양성하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 갈 공무원의 산실이 되겠다”말했다.
- 5 -
<붙임2>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인재개발 전략
Ⅰ. 기본방향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을 일류공무원 양성의 산실로 역할 재정립
- 글로벌 경쟁, 복잡한 이해관계 등 다원화된 환경에서 국민이 신뢰하는 공직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지향적 교육체제 구축
- 공직가치 강화, 국정운영의 중추 리더 양성, 글로벌역량배양을 중심으로 역량‧자원의 전략적 재편
○ 인사혁신방향과 HRD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교육체계 개편
- 공직가치 확립 및 전문성‧성과중심의 인사관리 체계 강화 지원
- 대상별‧직급별 차별화된 목적형 교육과정 개발‧운영
○ 공공 HRD 컨트롤타워 구축을 통한 국가 지식자원의 통합 활용
Ⅱ.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운영체제
- 6 -
Ⅲ. 추진전략 및 과제
【전략 1】 「신뢰받는 공직사회」 실현을 위한 공직가치 교육 고도화
∘과제 1 : Role Model 기반의 미래지향적 국가공무원 인재상 정립
∘과제 2 : 공직가치 신념화 프로세스에 기반한 교육체계 구축
* 공직가치 내재화‧실천을 위한 주기적‧반복적‧역할별 교육
∘과제 3 : 공직가치교육 표준 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
【전략 2】 「앞서가는 공직사회」 실현을 위한 리더양성체계 재편
∘과제 4 : 경력단계별 체계적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재정립
* 직급별(5급~고공단) 기본교육 체계(리더십Pipeline) 구축
∘과제 5 : 성과중심의 관리직 교육 강화
* 고위정책과정‧신임관리자과정 혁신, 저성과자 교육 신설
∘과제 6 : 목적형 직무역량 교육 강화
【전략 3】 「글로벌 공직사회」 실현을 위한 글로벌교육 강화
∘과제 7 :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교육체계 정립
∘과제 8 : 국가 브랜드가치 제고를 위한 외국공무원교육 강화
∘과제 9 : 글로벌 위상강화를 위한 국제 교류‧협력 확대
【전략 4】 통합 시너지 창출을 위한 국가공무원 인재개발 허브 구축
∘과제 10 : 민‧관‧학‧연 협력거버넌스 구축
∘과제 11 : 공무원교육훈련기관 HRD Hub 역할 정립
∘과제 12 : e- 러닝 공동활용 및 자기주도적 학습 인프라 확충
【전략 5】 세계 최고 수준의 Public HRD 역량 확보
∘과제 13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조직 역량 강화
∘과제 14 : 진천 이전에 따른 효율적 이원체제 구축
∘과제 15 : HRD 전문성 제고 및 인적 역량 강화
- 7 -
<붙임3> 교육체계 개편(안)
구분 |
공직가치 (신뢰받는 공직사회) |
공직리더십 (앞서가는 공직사회) |
글로벌 (글로벌 공직사회) |
직무/ 전문성 |
|||||||||||||||||
주요 내용 |
∙국가관∙공직관∙윤리관 등 공직가치 이해∙실천 ∙국정철학, 국정방향 공유∙확산 |
∙직급별 역할 인식 및 핵심 공통역량 배양 ∙직무수행 지식 등 전문역량 제고 |
∙글로벌환경 이해 및 글로벌사고∙정책마인드 함양 ∙국제업무 수행능력 등 글로벌 전문역량 강화 |
∙국정시책 및 직무 ∙정보화 및 조직활성화 |
|||||||||||||||||
실∙국장 (고공단) |
국정과제 세미나 |
||||||||||||||||||||
고위정책과정 |
|||||||||||||||||||||
공직가치 심화과정 |
글 로벌마인드향상과정 |
글로벌전문가과정 |
장기국외훈련자과정 |
외국공무원과정 |
국정시책 공통핵심직무 조직활성화 |
정 보 화 과 정 |
|||||||||||||||
신임고공단과정(신설) ∙ 승진자/민간채용 |
|||||||||||||||||||||
과장 (3∙4급) |
|||||||||||||||||||||
고공단후보자과정 (리더십스쿨) |
|||||||||||||||||||||
신임과장과정(신설) ∙ 승진자/민간채용 |
|||||||||||||||||||||
4∙5급 |
|||||||||||||||||||||
과장후보자과정 (리더십스쿨) |
|||||||||||||||||||||
5급신임과정 ∙ 5급 공채/경채 5급승진후보자과정 |
|||||||||||||||||||||
6급 이하 |
|||||||||||||||||||||
7급신규자 및 지역인재과정 |
|||||||||||||||||||||
9급지역인재과정 |
|||||||||||||||||||||
∙시간선택제과정 ∙장애인경력채용자과정 ∙일반직경력채용자과정 |
|||||||||||||||||||||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