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도 자 료

 

작성과

인사

혁신처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스마트육과

담당자

인사

혁신처

과  장온준환(02- 500- 8550)

사무관 강은숙(02- 500- 8660, 010- 6223- 3791)

보도일시

2016년 1월 29일(금) 조간(1.28.12:00)이후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최고 대학의 명품 강좌, 공무원 누구나 온라인으로 배운다

-  국가인재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과 K- MOOC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공무원 자기개발 학습 지원 -

□ 국내 유수의 대학, 최고의 교수진이 진행하는 명품 강좌를 공무원 누구나 들을 수 있게 된다.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원장 옥동석, 이하 국가인재원)은 서울대, 연세대, 포항공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국내 10개 대학의 명품 강좌로 구성된‘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 MOOC)* 서비스를 올해 상반기부터 차세대 이러닝 포털’**에서 시작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 경희대, 고려대, 부산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포항공대, KAIST, 한양대 등 10개 대학의 강좌로 구성된 한국형 MOOC 서비스

※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s, 온라인 대중 공개수업):  대학 강의를 웹 기반으로 시청하고, 숙제와 퀴즈, 정기 평가를 온라인으로 수행하는 대규모의 무료 교육 서비스

** 공무원이 학습시간, 과목을 선택해 수강하는 온라인 맞춤형 교육서비스, 공무원의 자기개발 학습 지원을 위해 활용 중 

○ K- MOOK를 통해 공무원에게 제공되는 강좌는 ‘경제학 들어가기’(서울대 이준구 교수), ‘우주의 이해’(연세대 손영종 교수), ‘기계공학개론’(포항공대 박성진 교수) 등 27개다. <붙임 참고>

- 1 -

□ 국가인재원은 원활한 서비스 운용을 위해 29일 국가평생교육진흥원(원장 기영화)과 「공무원 자기개발학습 지원을 위한 K- MOOC서비스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공무원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공동 연구고, 공무원 이러닝 콘텐츠 개발 과정에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 특히, 모든 공무원은 차세대 이러닝 포털에서 K- MOOC를 편리하게 이용하고, 수강한 강좌는 상시학습으로 인정 받는다. 

□ 옥동석 국가인재원장은 “현재 공무원 이러닝 시스템은 85개 기관이 콘텐츠를 공동 활용하고 있는데, 이번 협약체결 계기로 활용 범위가 공공기관으로 확대하게 됐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확보해 공무원의 자기개발학습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기영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은 “한국형 무크(K- MOOC)는 평생교육차원에서 국민의 학습 욕구를 충족하고, 고등교육 지식을 공공재화하기위한 것”이라면서, “이번 협약을 계기로 우리 프로그램이 공무원의 량 강화에 기여해 국가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화답했다. 









- 2 -

붙임

K- MOOC 시범서비스 개설강좌 목록

연번

대학명

과목명

교수명

1

경희대

호모 폴리티쿠스: 우리가 만든 세계

유정완

2

세계시민교육, 지구공동사회의 시민으로 살기

김  현

3

고려대

일반인을 위한 일반상대성 이론

이종필

4

Quantum Mechanics For IT/NT/BT

김대만

5

민법학 입문

명순구

6

고전문헌과 역사문화

심경호

7

부산대

생명의 프린키피아

김희수

8

사회적 기업 : 아름다운 경영이야기

조영복

9

서울대

경제학 들어가기

이준구

10

우주와 생명

김희준

11

성균관대

논 어 : 사람의 시야를 트는 지혜

신정근

12

창의적 발상 : 손에 잡히는 창의성

박영택

13

연세대

문학이란 무엇인가

정명교

14

서비스디자인

김진우

15

우주의 이해

손영종

16

이화여대

현대물리학과 인간사고의 변혁

김찬주

17

영화 스토리텔링의 이해

류철균

18

인간행위와 사회구조

함인희

19

건축으로 읽는 사회문화사

임석재

20

포항

공과대

기계공학개론 : 연속체 역학과 유한요소해석 

박성진

21

디지털 통신시스템 : 변복조와 전력 스펙트럼

조준호

22

한국과학

기술원

동역학

김양한

23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김기응, 오혜연

24

한양대

건축공간론

서  현

25

정책학 개론

김정수

26

경영데이터마이닝

김종우

27

정보사회학 입문

윤영민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