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도 자 료 |
|
||||
작 성 과 |
인사관리국 인사정책과 |
담 당 |
과 장 조성주(044- 201- 8370) |
|||
사무관 김흥로(044- 201- 8386) |
||||||
보도일시 |
2016년 6월 30일(목) 조간부터(6.29.(수) 12시 이후) 보도 부탁드립니다. |
|||||
“육아휴직 활용한 남자 공무원 5년간 2배로” - 인사혁신처 2015 행정부 국가공무원인사통계 발표(6.30)- |
□ 지난해 육아휴직을 쓴 남성 국가직 공무원이 처음으로 15%를 돌파했다. 여성 국가직공무원은 전체 공무원 현원의 49.4%로 집계 돼 조만간 남성을 추월할 것으로 보인다.
○ 인사혁신처(처장 김동극)는 이같은 내용의 ‘2015 행정부 국가공무원 인사통계’를 홈페이지(mpm.go.kr)에 공개했다.
□ 남성 육아휴직 : 2015년 말 현재 정부 부처에서 육아휴직을 쓴 남성공무원은 전체(7,993명)의 15.9%인 1,269명으로 집계됐다.
○ 남성 공무원 육아휴직 비율은 2011년 11.9%에서 2012년 11.3%, 2013년 13.2%, 2014년 14.5%, 2015년 15.9%로 매년 늘고 있으며, 내년에는 2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연도별 육아휴직 남성공무원 현황 (단위 : 명,%)>
구 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전 체 |
5,218 |
6,671 |
7,050 |
7,602 |
7,993 |
남 성 (비 율) |
623 (11.9%) |
756 (11.3%) |
928 (13.2%) |
1,100 (14.5%) |
1,269 (15.9%) |
※ 대상 : ’11~’12년 : 42개 중앙부처 / ’13~15년 전체 중앙부처(교육공무원 제외)
- 1 -
○ 과장 등 정부 부처의 중추 역할을 맡고 있는 4급 관리직 공무원 중 남성공무원의 육아휴직 비율도 2011년 31.7%(13명)에서 2015년 48.4%(31명)으로 꾸준한 증가세다.
< 연도별 4급 남성공무원 육아휴직 현황 (단위 : 명,%)>
구 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육아휴직 인원 |
41 |
45 |
60 |
51 |
64 |
(남성) |
13 |
15 |
23 |
16 |
31 |
(남성비율) |
31.7% |
33.3% |
38.3% |
31.4% |
48.4% |
※대상 : ’11~’12년 : 42개 중앙부처 / ’13~15년 전체 중앙부처의 일반직공무원
□ 여성공무원 : 2015년 말 현재 국가직 여성공무원 수는 전체(637,654명)의 49.4%인 31만 5,290명이었다.
○ 여성공무원은 매년 0.4%〜1.0%P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곧 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연도별 여성공무원 현황 (단위 : 명,%)>
구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전체 |
621,313 |
622,424 |
621,823 |
634,051 |
637,654 |
(여성) |
292,038 |
299,593 |
299,101 |
310,860 |
315,290 |
(여성비율) |
47.0% |
48.1% |
48.1% |
49.0% |
49.4% |
※ 교육공무원 포함
○ 4급 이상 관리직 여성공무원은 2011년 8.4%(684명)에서 2015년 12.1%(1,067명)로 많아졌다.
< 4급이상 여성공무원 현황 >
(단위 : 명, %)
구 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여성인원 |
684 |
783 |
840 |
949 |
1,067 |
비율 |
8.4% |
9.3% |
9.9% |
11.0% |
12.1% |
※ 43개 정부 부처 , 일반(연구·지도직, 일반임기제포함)·외무·별정직
- 2 -
□ 이정렬 인사관리국장은 “여성공무원 비율이 50%대를 앞두고 있고 육아휴직이 증가하는 인사환경 변화에 발 맞춰,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정친화적 인사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공직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3 -
참고 |
□ 행정부 국가공무원 육아휴직 사용 현황
(단위 : 명, %)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합 계 |
5,218 |
6,671 |
7,050 |
7,602 |
7,993 |
여성 인원 |
4,595 |
5,915 |
6,122 |
6,502 |
6,724 |
(여성비율) |
88.1% |
88.7% |
86.8% |
85.5% |
84.1% |
남성 인원 |
623 |
756 |
928 |
1,100 |
1,269 |
(남성비율) |
11.9% |
11.3% |
13.2% |
14.5% |
15.9% |
※ 교육공무원 제외
□ 2015년 행정부 국가공무원 중 여성공무원 비율 추이
(단위 : 명, %)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행정부국가공무원 합계 |
전체 |
621,313 |
622,424 |
621,823 |
634,051 |
637,654 |
(여성) |
292,038 |
299,593 |
299,101 |
310,860 |
315,290 |
|
(여성비율) |
47.0% |
48.1% |
48.1% |
49.0% |
49.4% |
|
일반직·특정직 등 (교육제외) |
소계 |
268,632 |
270,189 |
272,424 |
276,383 |
282,509 |
(여성) |
56,656 |
58,683 |
60,010 |
62,843 |
66,198 |
|
(여성비율) |
21.1% |
21.7% |
22.0% |
22.7% |
23.4% |
|
교육공무원 |
소계 |
352,604 |
352,153 |
349,399 |
357,668 |
355,145 |
(여성) |
235,381 |
240,855 |
239,091 |
248,017 |
249,092 |
|
(여성비율) |
66.8% |
68.4% |
68.4% |
69.3% |
70.1% |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