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도 자 료 |
|
|||
작성과 |
인사관리국 성과급여과 |
담당자 |
과 장 남주현(044- 201- 8390) |
||
사무관 윤지희(044- 201- 8404) |
|||||
보도일시 |
2016년 10월 12일(수) 석간 보도 부탁드립니다. |
||||
공정한 성과평가를 위한 첫 걸음, 평가자 교육 강화한다 - 평가자의 책임성과 평가역량 강화를 위한 평가자 성과평가 교육 강화 - |
□ 공정하고 객관적인 공무원 성과평가를 위해 앞으로 평가자급(과장급 이상)으로 임용되는 모든 공무원은 성과평가 역량향상 교육을 받게 된다.
ㅇ 인사혁신처(처장 김동극)는 기존의 연공적·온정적 평가 관행을 바꾸는 첫 걸음을 ‘평가자의 책임성과 평가역량 강화’로 보고 평가자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공직 내 성과중심 인사관리의 정착을 위해서는 평가자의 성과평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ㅇ 이에 인사혁신처는 직접 성과평가를 수행해야하는 과장급 이상을 대상으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성과중심 인사관리의 이해와 평가방법 등에 대한 기본교육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 신임과장 과정(’16.8월부터 기운영), 개방형직위 민간임용자(국·과장급) 공직입문과정(‘16.9월부터 기운영) 등에 교과목을 편성하여 성과관리 기본교재(PPT 등)를 통해 교육 실시
□ 또한 각 부처에서는 평가자가 실제 성과평가를 실시하기에 앞서 해당 기관의 고유한 평가기준 및 올바른 성과면담, 평가방법 등을 되새길 수 있도록 리마인드 교육을 자체적으로 실시한다.
- 1 -
ㅇ 대표적으로 고용노동부는 지난해부터 전국 지방관서 부서장을 대상으로 성공적 성과면담 기법 등에 대한 사례중심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성과면담 실시율이 높아지고* 평가가 내실화되는 효과를 거둔 바 있다.
* 성과면담 실시율 : (교육 전) 41.9% → (교육 후) 79.7%
□ 인사혁신처는 이에 앞서 성과평가에 대한 공무원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전 부처에 ‘손에 잡히는 성과중심 인사관리’ 리플릿을 제작·배포(약 1만부)하였고,
ㅇ 각 부처의 다양한 평가제도 운영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전 정부적으로 노하우를 공유하는 등 공직 내 성과주의 문화 확산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 인사혁신처 블로그, SNS 등을 통해 성과평가 우수사례 연재 게시 중(붙임)
□ 앞으로도 전 공무원이 쉽게 알고 활용할 수 있도록 성과평가 내용, 성과면담 방법 등에 대한 동영상을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하여 다각적·자발적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것이다.
* 인사혁신처 홈페이지, 정부정책포털(정책브리핑), 나라배움터 홈페이지 등 게재, 전국 스마트워크센터 내 상영 등
ㅇ 박제국 인사혁신처 차장은 “공정한 성과평가의 첫 번째 책임은 평가자에게 있다고 본다. 앞으로 제도·문화적으로 다양한 접근을 통해 공직 내 성과주의의 정착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2 -
붙임 |
성과평가 운영 관련 우수사례 |
※ 인사혁신처 블로그(http://blog.naver.com/mirae_saram),
SNS(http://facebook.com/miraesaram) 통해 연재 게시 중
고용부: 평가자 교육 우수기관
|
ㅇ 성과면담·코칭 과정 - 대상 : 지방관서 과장급 및 고용센터 팀장 * ’16년 상반기 과장급 총 291명(총 10회), 팀장급 총 162명(총 6회) 교육 - 내용(2일 과정): 성과면담 프로세스(개념 및 중요성), 피드백‧코칭(실습, 토의) 등 |
관세청: 평가자 교육 우수기관
|
ㅇ 관리자 역량강화(평가스킬업) 과정 - 대상 : 5급 이상 과장급 * ‘16년 총 120명 교육 - 내용(2일 과정) : 성과평가 의의와 이해, 성과평가 Skill- Up(실습, 토의) |
국가인권위원회: 성과면담 우수기관
|
ㅇ 성과면담 및 기록관리 우수 - 평가자 성과면담 실시율 약 98% - 주기적 성과면담 진행 ·기록, 평가결과를 축적하여 인사관리에 활용 |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