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도 자 료 |
|
|||
작 성 과 |
인재채용국 경력채용과 |
담당자 |
과 장 온준환(044- 201- 8370) |
||
서기관 김혜련(044- 201- 8371) |
|||||
보도일시 |
2017년 12월 1일(금) 조간(11.30. 오후 12:00 이후)부터 보도 부탁드립니다. |
||||
2017년도 시간선택제 국가공무원 최종합격자 발표 - 1일 09:00 사이버국가고시센터, 최종합격자 492명 - |
□ 인사혁신처(처장 김판석)는 「2017년도 시간선택제 국가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최종합격자 492명의 명단을 1일(금) 오전 9시 사이버국가고시센터(http://gosi.go.kr)에 발표한다.
○ 543명 선발에 총 7,361명이 응시해 평균 13.6:1의 경쟁률을 보인 이번 시험에서 492명이 최종합격하였으며, 합격자의 평균 연령은 36.5세로, 전년도(36.1세)보다 약간 높았다.
※ 계급별 합격자(명) : 6급 48, 7급 41, 8급 19, 9급 377, 연구사 7
※ 연령별 합격자(명) : 20대 9.3%(46), 30대 63.0%(310), 40대 26.2%(129), 50대 1.4%(7)
○ 전년도 합격자(2016년도)와 비교해 30~40대(89.2%)와 여성합격자(79.3%)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시간선택제 경력경쟁채용시험을 통해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이 단절되었던 여성들의 공직 진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시간선택제 국가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은 필기시험 없이 모집단위 관련분야 ‘자격증, 경력 또는 학위’로 응시할 수 있으며, 양질의 일자리 나누기에 기여하고 있다.
○ 특히, 경력단절여성 등 전일제 근무가 곤란한 구직자들에게 공무원으로서 신분과 정년을 보장하면서도 짧은 시간(주 20시간 내외, 1일 평균
- 1 -
4시간) 근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육아·부모봉양 등 가사를 병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공직사회의 일‧가정 양립 및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 합격자들은 임용예정부처의 신원조회 절차가 종료되면 임용될 예정이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충북 진천)에서 공무원으로서 기본소양과 근무자세 등 공직가치와 직무역량 함양을 위하여 2주간 기본교육을 받게 된다.
□ 박제국 차장은 “시간선택제 공무원 채용은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한 경력단절여성에게 공직에 진출하는 등용문이 되고 있다”면서 “앞으로는 공직사회 전반에 휴식 있는 삶을 위한 일‧가정 양립 구현을 위해 전일제공무원의 시간선택제 전환도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2 -
참 고 |
연도별 시간선택제 국가공무원 채용 현황 |
□ 연령별‧성별 「합격자」 현황
구 분 |
연 령 별 |
성 별 |
|||||||
계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계 |
남성 |
여성 |
||
2017년 |
492명 (100%) |
46명 (9.3%) |
310명 (63.0%) |
129명 (26.2%) |
7명 (1.4%) |
492명 (100%) |
102명 (20.7%) |
390명 (79.3%) |
|
2016년 |
461명 (100%) |
40명 (8.7%) |
319명 (69.2%) |
91명 (19.7%) |
11명 (2.4%) |
461명 (100%) |
101명 (21.9%) |
360명 (78.1%) |
|
2015년 |
353명 (100%) |
50명 (14.2%) |
236명 (66.9%) |
63명 (17.8%) |
4명 (1.1%) |
353명 (100%) |
79명 (22.4%) |
274명 (77.6%) |
|
2014년 |
366명 (100%) |
39명 (10.6%) |
259명 (70.8%) |
63명 (17.2%) |
5명 (1.4%) |
366명 (100%) |
87명 (23.8%) |
279명 (76.2%) |
|
상반기 |
200명 (100%) |
22명 (11%) |
138명 (69%) |
37명 (18.5%) |
3명 (1.5%) |
200명 (100%) |
51명 (25.5%) |
149명 (74.5%) |
|
하반기 |
166명 (100%) |
17명 (10.2%) |
121명 (72.9%) |
26명 (15.7%) |
2명 (1.2%) |
166명 (100%) |
36명 (21.7%) |
130명 (78.3%) |
□ 연령별‧성별 「응시자」 현황
구 분 |
연 령 별 |
성 별 |
|||||||
계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계 |
남성 |
여성 |
||
2017년 |
7,361명 (100%) |
744명 (10.1%) |
4,336명 (58.9%) |
2,023명 (27.5%) |
258명 (3.5%) |
7,361명 (100%) |
1,114명 (15.1%) |
6,247명 (84.9%) |
|
2016년 |
6,177명 (100%) |
781명 (12.6%) |
3,908명 (63.3%) |
1,327명 (21.5%) |
161명 (2.6%) |
6,177명 (100%) |
981명 (15.9%) |
5,196명 (84.1%) |
|
2015년 |
5,960명 (100%) |
806명 (13.5%) |
3,591명 (60.3%) |
1,383명 (23.2%) |
180명 (3.0%) |
5,960명 (100%) |
1,097명 (18.4%) |
4,863명 (81.6%) |
|
2014년 |
8,542명 (100%) |
1,152명 (13.49%) |
4,920명 (57.6%) |
2,139명 (25.04%) |
331명 (3.87%) |
8,542명 (100%) |
1,943명 (22.75%) |
6,599명 (77.25%) |
|
상반기 |
5,069명 (100%) |
637명 (12.57%) |
2,812명 (55.47%) |
1,395명 (27.52%) |
225명 (4.44%) |
5,069명 (100%) |
1,287명 (25.39%) |
3,782명 (74.61%) |
|
하반기 |
3,473명 (100%) |
515명 (14.83%) |
2,108명 (60.7%) |
744명 (21.42%) |
106명 (3.05%) |
3,473명 (100%) |
656명 (18.89%) |
2,817명 (81.11%) |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