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도 자 료

 

보도 일시

2023. 1. 31.(화) 조간 / (인터넷 보도) 2023. 1. 30.(월) 12:00

담당 부서

소방청

책임자

과  장 

이중기

(044- 205- 7470)

화재대응조사과

담당자

소방령

이희완

(044- 205- 7474)


소방청,‘노인가구 화재안전망 더욱 두텁게’

`22년 화재사망자 56%가 60세 이상 

-  수면 또는 음주상태인 경우 많아‥피난약자 맞춤형 대응전략 추진 -



소방청(청장 직무대리 남화영)은 2022년 화재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 가구 대상 화재안전망을 더욱 두텁게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발생한 화재는 총 40,114건으로, 2,662명(사망 341명, 부상 2,321명)의 인명피해(사상자)와 12,04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이는 전년(`21년) 대비 화재 건수 10.6%(3,847건), 인명피해 24.9%(479명), 재산피해는 9.5%(1,049억원)가 각각 증가한 수치다.

< 2022년 화재발생 현황 >

구  분

화재발생(건)

인명피해(명)

재산피해(억)

소계

사망자

부상자

2022년

40,114

2,662

341

2,321

12,040

2021년

36,267

2,130

276

1,854

10,991

증감

3,847

479

65

467

1,049

비율

󰀺10.6%

󰀺24.9%

󰀺23.5%

󰀺25.2%

󰀺9.5%

※ 2022년 최종 통계는 일부 변동될 수 있음

 
                     
 

- 1 -

 




지난해 남부지방 가뭄 장기화 등 지속된 이상기후와 건조한 날씨로 인해 화재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며,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지침 완화에 따른 야외활동 및 여가활동 증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화재발생 장소별로는 비주거시설 14,929건(37.2%), 주거시설 10,497건(26.1%), 차량 4,669건(11.6%) 순이었다.

[출처: 국가화재정보시스템]

< 2022년 화재발생 장소별 화재현황 >

< 장소별 화재건수 >

 

< 장소별 사망자수 >

 

특히, 주목할 점은 화재사망자 현황이다. 야외활동 증가로 인해 전체적인 화재건수는 비주거시설에서 높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화재사망자 대부분은 주거시설에서 발생했다.


※ 주거시설 216명(63%) > 비주거시설 66명(19.3%) > 차량 29명(8.5%) 순


이 가운데 70세 이상 105명(30.8%), 60~69세 86명(25.2%), 50~59세 76명(22.3%) 순으로 노인 사망률이 높았으며, 유독가스 흡입 및 화상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2 -

 





< 2022년 60세이상 화재 사망자 현황 >

구  분

60 ~ 69세

70세 이상

2022년

86

105

2021년

51

101

증감

35

4

비율

󰀺68.6%

󰀺4%

※ 2022년 최종 통계는 일부 변동될 수 있음

< 2022년 화재 사망자 현황 >

< 연령대별 >

< 장소별 >

사망 전 상태는 수면 중 또는 음주 상태인 경우가 많았으며, 연기(화염)으로 피난에 어려움을 겪거나 출구가 잠겨 사망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 사망 전 상태 >

< 인적 피해 >
 



< 물적 피해 >
 


 
                     
 

- 3 -

 




이에 소방청은 화재 감정‧감식 과학화를 통해 화재원인을 정확히 규명‧분석하여 대응 및 예방대책을 강화하는 한편,

노인 등 취약계층 화재위험 노출 및 인명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재난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 취약계층 맞춤형 소방안전교육 체계를 정립하고 주택용 소방시설 무상보급 확대와 자율설치 문화를 확산하는 등 다양한 시책으로 노인 등 피난약자 맞춤형 대응전략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소방청 이일 119대응국장은 “혼자 사는 노인가구가 증가하는 등 사회 환경적 변화에 따라 화재 패턴과 피해 추이도 달라지고 있다”며 “급변하는 사회‧자연 환경에 기민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화재통계분석에 입각한 선제적 화재예방대책 및 시행을 통해 화재 발생 및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소방청 대변인실 문현주(☎044- 205- 701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4 -

 




참고 1

장소별 화재발생 통계

□ 발생장소별

구 분(건)

주거

비주거

차량

위험물.

가스제조소 등

선박,

항공기 등

임야

기타

2022년

40,114

10,497

14,929

4,669

40

156

2,014

7,809

2021년

36,267

10,005

13,992

4,530

22

125

1,063

6,530

전 년

대 비

건수

3,847

492

937

139

18

31

951

1,279

증감

(%)

10.6

4.9

6.7

3.1

81.8

24.8

89.5

19.6

※ ① 비주거 37.2%(14,929건), ② 주거 26.1%(10,497건), ③ 차량 11.6%(4,669건)

 ④ 임야 5%(2,014건) 순, ⑤  선박 등 0.4%(156건) 순


참고 2

화재 사망자 분석결과

󰊱 장소별

구 분(명)

주거

비주거

차량

위험물.

가스제조소등

선박.

항공기등

임야

기타

2022년

341

216

66

29

3

10

5

12

2021년

276

190

50

22

0

0

6

8

전 년

대 비

명수

65

26

16

7

3

10

- 1

4

증감

(%)

23.5

14

32

32

-

-

- 17

50

※ ① 주거 63.3%(216명), ② 비주거 19.3%(66명), ③ 차량 8.5%(29명)

   ④ 선박, 항공기 등 2.9%(10명) ⑤임야 1.5%(5명) 순

󰊲 원인별

구 분(명)

전기

기계

화학

가스

누출

부주의

교 통

사 고

자연적

방화

방 화

의 심

미 상

제품결함

기 타

2022년

341

48

6

6

7

66

9

0

42

35

102

2

18

2021년

276

42

4

2

1

67

13

0

25

23

97

0

2

전 년

대 비

건수

65

6

2

4

6

- 1

- 4

0

17

12

5

2

16

증감

(%)

23.5

14.3

50

200

600

- 1.5

- 30.8

0

68

52.2

5.1

-

800

※ ①미상 29.9%(102명), ②부주의 19.3%(66명), ③전기적요인 14.1%(48명),

 ④방화 12.3%(48명), ⑤방화의심 10.3%(35명) 순

 
                     
 

- 5 -

 




󰊳 연령별

구분

2022년

2021년

전년 대비(명)

증감 비율(%)

연령별(소계)

341

276

65

23.5

0~7세

2

2

0

0

8~13세

2

4

- 2

- 50

14~19세

0

2

- 2

- 100

20~29세

14

6

8

133.3

30~39세

20

13

7

53.8

40~49세

32

30

2

6.7

50~59세

76

66

10

15.1

60~69세

86

51

35

68.6

70세 이상

105

101

4

4

미상

4

1

3

300

※ ①70세 이상 30.8%(105명), ②60~69세 25.2%(86명), ③50~59세 22.3%(76명),

 ④30~39세 5.9%(20명), ⑤20~29세 4.1%(14명) 순

󰊴 연령별 사망원인

구분

연기,유독가스 흡입 및 화상

화상

피난 중 뛰어내림

갇힘

열상

복합원인

미상

기타

341

221

28

2

1

1

11

55

22

0~7세

2

2

0

0

0

0

0

0

0

8~13세

2

2

0

0

0

0

0

0

0

14~19세

0

0

0

0

0

0

0

0

0

20~29세

14

9

1

0

0

0

1

0

3

30~39세

20

13

0

0

0

0

2

3

2

40~49세

32

19

5

1

0

0

1

3

3

50~59세

76

54

1

1

0

0

3

9

8

60~64세

44

30

7

0

0

0

0

6

1

65~69세

42

21

5

0

0

0

1

14

1

70세 이상

105

69

8

0

1

1

3

19

4

미상

4

2

1

0

0

0

0

1

0

 
                     
 

- 6 -

 




󰊵 사망 전 상태별 현황

구분

사망자(명)

비율(%)

인적(소계)

382

100

인적

수면중

62

16.2

음주상태

31

8.1

약물복용 상태

9

2.4

관리자부재

2

0.5

지체장애

15

3.9

시각장애

4

1

뇌병변장애

12

3.1

청각장애

1

0.3

정신장애

20

5.2

신장장애 

4

1

발달장애(자폐증)

0

0

언어장애

5

1.3

기타

94

24.6

해당없음

123

32.2

물적(소계)

335

100

물적

출구잠김

27

8.1

출구 장애물

4

1.2

출구위치 미인지

3

1

연기(화염)로 피난불가

83

24.8

출구 혼잡

1

0.3

방범창(문)

2

0.6

차량충돌, 전복

7

2.1

미상

152

45.4

기타

56

16.7

※ 사망 전 상태는 ‘중복체크’ 대상으로 실제 인명피해현황 합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7 -

 




󰊶 지역별

구분

2022년

2021년

전년 대비(명)

증감 비율(%)

연령별(소계)

341

276

65

23.5 

서울특별시

37

37

0

0

부산광역시

33

16

17

106.2 

대구광역시

18

5

13

260

인천광역시

15

10

5

50

광주광역시

3

8

- 5

- 62.5

대전광역시

16

6

10

166.7

울산광역시

6

5

1

20

세종특별자치시

3

0

3

-

경기도

76

66

10

15.1 

강원도

29

19

10

52.6 

충청북도

9

11

- 2

- 18.2

충청남도

16

17

- 1

- 5.9

전라북도

11

10

1

10

전라남도

30

21

9

42.9

경상북도

22

21

1

4.8

경상남도

11

21

- 10

- 47.6

제주특별자치시

6

3

3

100

※ ①경기 22.3%(76명), ②서울 10.8%(37명), ③부산 9.7%(33명), ④전남 8.8%(30명), 

⑤강원 8.5%(29명) 순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