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자료

 


보도시점

배포 즉시 보도 가능

배포

2024.8.20.(화) 09:00



단절 위기의 국가무형유산 작품들, 덕수궁에서 만난다(9.3.~9.22.)

-  전승취약종목 특별전시 ‘시간을 잇는 손길’(덕수궁 돈덕전·덕홍전)… 차세대 전승자와의 이야기 콘서트·공예 체험도 운영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최영창)과 함께 덕수궁 돈덕전 1층 기획전시실과 덕홍전(서울 중구)에서 오는 9월 3일부터 9월 22일(휴궁일 9.9, 9.19. 제외)까지 국가무형유산 전승취약종목 활성화 특별전시 <시간을 잇는 손길>을 개최한다.


국가무형유산 전승취약종목은 대중성이 낮고 사회적 수요가 감소하여 전승 단절의 위기에 처해 국가유산청이 우선지원 대상으로 선정한 종목이다. 인적 기반·자립도·전승환경·발전 가능성·종목 활성화 노력도 등을평가해 3년마다 선정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총 25개 종목(전통기술 20, 전통공연·예술 5)을 선정하였다.

* (전통기술 20종목) 갓일, 나주의 샛골나이, 낙죽장, 낙화장, 두석장, 망건장, 매듭장, 바디장, 배첩장, 백동연죽장, 사경장, 선자장, 악기장(편종·편경 제작), 윤도장, 장도장, 전통장, 조각장, 탕건장, 한산모시짜기, 화각장

(전통공연·예술 5종목) 가곡, 가사, 발탈, 서도소리, 줄타기


이번 특별전시에서는 전승취약종목 중 ‘전통기술’ 20개 종목 보유자 등 전승자 46명의 작품 150여 점을 선보인다. 전시는 작품뿐만 아니라, 각 종목에 담긴 역사와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는 도구와 영상을 활용하여 전승취약종목에 대해 이해하고 국가무형유산의 가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특히, 올해는 국가무형유산을 처음 지정(종묘제례악, 1964년)한 지 60주년을 맞이하는 해로, 이번 전시를 통해 국가무형유산의 명맥을 잇기 위해 노력해온 전승자들의 노력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로 더욱 의미를 더한다.


전시는 덕수궁 돈덕전과 덕홍전 두 곳에서 나뉘어 진행된다. 지난해 

- 1 -

100여 년 만에 재건되어 국민에게 공개된돈덕전에서는 2023년 지정된 전승취약종목 20종목의 보유자 작품 등 80여 점이 전시된다. 오랜 시간 전통을이어온 전승자들의 작품과 함께 제작도구, 제작 과정 영상을 함께 관람할 수 있으며, 지금은 고인이 되신 보유자 4인(나주의 샛골나이 노진남 보유자, 백동연죽장 황영보 보유자, 배첩장 김표영 보유자, 바디장 구진갑 보유자)의 작품도 함께 전시된다.


고종황제의 접견실로 사용되었던 덕홍전에서는 국가무형유산 전승자들 11명이 전통기법으로 제작한 작품과 함께 전통공예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탄생한 생활 공예품 등 70여 점이 전시될 예정이다. 이 작품들은 ‘전승공예품 디자인 협업 사업’의 결과물로, 오래된 삶의 지혜를 담은 전통공예품들과 현대의 디자인 감각을 입힌 작품들을 나란히 전시하여 과거와 현대의 생활상을 동시에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 전승공예품 디자인 협업 사업: 국가무형유산 공예 종목 전승자와 디자인 전문가(컨설턴트)가 협업하여 현대화된 전승공예품을 선보이는 사업


한편, 전시 기간 중에는 전시와 관련된 다양한 참여형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 9월 8일 오후 2시 돈덕전 2층 아카이브실에서는 이야기(토크) 콘서트 <이어가다>가 열린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김주일 전시감독과 두석장 박병용 이수자, 선자장김대성 이수자, 매듭장 장은 전수교육생 등 국가무형유산의 맥을 이어가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 젊은 전승자들이 만나 다양한 삶의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 9월 11일~9월 16일에는 하루 2회씩(오후 2시, 4시) 전승취약종목 공예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참가자들은 갓일, 두석장, 매듭장, 배첩장, 나주의 샛골나이 등 5개 종목의 생활 소품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다. 일자별로 체험할 수 있는 종목은 상이하다.


참여형 프로그램은 온라인 사전 예약제로 운영되며, 8월 20일부터 네이버 예약(https://booking.naver.com/booking/12/bizes/1074132)을 통해 선착순(이야기 콘서트: 30명, 공예 체험: 회차별 10명씩 총 120명)으로 신청할 수 있고, 참가비는 무료이다. 자세한사항은 국가유산진흥원 누리집(www.kh.or.kr)을 참고하거나, 국가유산진흥원 무형유산팀(☎

- 2 -

02- 3011- 2157)으로 문의하면 된다.


국가유산청은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앞으로도 전승취약종목을 비롯한무형유산의 활성화와 전승기반 확대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붙임  1. <시간을 잇는 손길> 특별전시 개요.

2. <시간을 잇는 손길> 특별전시 부대 프로그램. 

3. <시간을 잇는 손길> 특별전시 포스터.

4. <시간을 잇는 손길> 특별전시 작품사진.  끝.


담당 부서

국가유산청 

책임자

사무관 

김영미

(063- 280- 1661)

무형유산국 전승지원과

담당자

주무관

윤수경

(063- 280- 1662)

담당 기관

국가유산진흥원 

책임자

팀  장

조성태

(02- 3011- 2151)

전승지원실 무형유산팀

담당자

담  당

윤희정

(02- 3011- 2157)

 
 
 




- 3 -

붙임 1

<시간을 잇는 손길> 특별전시 개요


 전시개요

○ 전 시 명: 국가무형유산 지정 60주년 기념
2024년 전승취약종목 활성화 지원 사업 특별전시
「시간을 잇는 손길」

○ 전시기간: 2024. 9. 3.(화) ~ 9. 22.(일)  * 휴궁일[9. 9.(월), 9. 19.(목)] 제외

 전시장소: 덕수궁 돈덕전, 덕홍전

 전시관람: 무료(덕수궁 입장료 별도)

 전시작품: 전승취약종목 등 국가무형유산 작품 150여 점 내외

1) 돈덕전: 전승취약종목 20종목 29명 전승자 작품 80여 점 등

종 목 명

참여 전승자

비 고

갓일

강순자, 장순자, 정춘모, 박창영 

4

한산모시짜기

방연옥

1

매듭장

정봉섭, 김혜순, 박선경 전승교육사

3

나주의 샛골나이

고(故) 노진남

1

낙죽장

김기찬

1

조각장

김용운, 곽홍찬

2

악기장(편종,편경)

김현곤

1

장도장

박종군, 한상봉

2

두석장

박문열, 김극천, 박병용 이수자

3

백동연죽장

고(故) 황영보

1

망건장

강전향

1

탕건장

김혜정

1

바디장

고(故) 구진갑

1

전통장

김동학

1

배첩장

고(故) 김표영

1

화각장

이재만

1

윤도장

김희수

1

선자장

김동식

1

낙화장

김영조

1

사경장

김경호

1


- 4 -

2) 덕홍전:국가무형유산 전통기술종목 전승공예작품 및 현대적 상용화 작품 등 70여 점

종 목 명

참여 전승자

비 고

국가무형유산

전통기술종목

전승공예작품

금박장 김기호 보유자

나전장 이형만 보유자

나전장 고(故) 양옥도 전승교육사

누비장 유선희 전승교육사

누비장 김은주 이수자

옹기장 김창호 이수자

완초장 유선옥 전승교육사

입사장 승경란 전승교육사

채장상 김영관 전승교육사

채상장 김승우 이수자

칠장 박만기 이수자

종 목 명

참여 전승자 및 디자이너

비 고

현대적 상용화

작품

금박장 박수영 이수자

누비장 김은주 이수자/김재경 디자이너

누비장 김은주 이수자/신예선 디자이너

누비장 최재희 이수자/서현진 디자이너

옹기장 정영락 이수자/김주일 디자인컨설턴트

옻칠장 박강용 전북무형유산 명예보유자

완초장 허성자 이수자, Francesco Faccin 디자이너

완초장 허성자 이수자, 스튜디오 워드(조규형, 최정유)

입사장 승경란 전승교육사/정호연 디자이너

채상장 김승우 이수자/한규익 디자이너

침선장 김영은 전수교육생





- 5 -

붙임 2

<시간을 잇는 손길> 특별전시 부대 프로그램


 전승취약종목 토크 콘서트 <이어가다>

○ 운영일시: 2024. 9. 8.(일) 14:00 

○ 운영장소: 덕수궁 돈덕전 2층 아카이브실

○ 참여인원: 30명

○ 진 행 자: 김주일 전시감독

○ 출 연 자: 국가무형유산 두석장 박병용 이수자

국가무형유산 선자장 김대성 이수자

 국가무형유산 매듭장 장  은 전수교육생

 전승취약종목 체험 프로그램

○ 운영기간: 2024. 9. 11.(수) ~ 9. 16.(월)

○ 운영장소: 덕수궁 돈덕전 2층 아카이브실

○ 참여인원: 1일 2회(오후 2시, 4시) / 회차별 10명 총 120명 

구분

9.11.(수)

9.12.(목)

9.13.(금)

9.14.(토)

9.15.(일)

9.16.(월)

오후

(14:00)

갓일

말총팔찌

만들기

(10명)

두석장

박쥐장석

소품만들기

(10명)

매듭장

(매듭

가방장식

만들기)

(10명)

배첩장

능화지체험

(10명)

나주의

샛골나이

(컵받침

만들기)

(10명)

매듭장

(매듭목걸이

&팔찌만들기)

(10명)

오후

(16:00)

갓일

말총팔찌 

만들기

(10명)

두석장

박쥐장석

소품만들기

(10명)

매듭장

(매듭

가방장식

만들기)

(10명)

배첩장

능화지체험

(10명)

나주의

샛골나이

(컵받침

만들기)

(10명)

매듭장

(매듭목걸이

&팔찌만들기)

(10명)

강사

양윤희 이수자

김진환 이수자

김시재 이수자

강성찬 이수자

원경희 이수자

박선경 전승교육사

※ 체험 프로그램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말총팔찌 만들기

박쥐장석 소품 만들기

매듭 목걸이&팔찌 만들기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