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자료

 


보도시점

배포 즉시 보도 가능

배포

2024.11.5.(화) 09:00



국보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13년 만에 고향에 다시 서다

-  일제강점기 반출된 후, 탑 부재 보존처리와 복원 공사 거쳐 다시 제자리로… 복원 기념식 (11.12.)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원주시(시장 원강수)와 국보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이하 ‘지광국사탑’)의 복원 공사를 완료하고, 11월 12일 오전 11시 법천사지 유적전시관 앞 광장(강원 원주시)에서 복원 기념식을 공동 개최한다.

* 지광국사탑: 고려 승려 지광국사 해린(984~1070)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고려 시대를 대표하는 석탑으로, 장식이 매우 화려하고 빼어남.


이번 행사는 지광국사탑이 113년 만에 원위치였던 원주시 부론면 법천사지에 다시 서는 것을 기념하고, 훼손되었던 탑의 보존처리와 복원의성과를 알리는 뜻깊은 자리이다. 식전 공연(창작음악극)을 시작으로, 본 행사인 제막식과 지역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부대 행사도 진행한다.


법천사지에 있었던 지광국사탑은 일제강점기인 1911년 처음 반출된 뒤, 1,975㎞에 달하는 길고 긴 유랑생활을 시작했다. 서울 명동(1911년~1912년)과 일본 오사카(1912년)를 거쳐 경복궁 경내(1912년~2016년)에 있다가, 오랜 세월 훼손된 탓에 보존처리를 위해 2016년에는 해체되어 국립문화유산연구원(대전 유성구)으로 옮겨졌다. 이후 이곳에서 2020년까지 약 5년간 부재 29점에 대한 보존처리를 받은 끝에 2023년 8월 부재 상태로 강원 원주시로 옮겨가면서 긴 유랑을 마무리했다.


2023년 12월 복원 위치가 원주의 법천사지 유적전시관으로 확정된 이후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센터장 박종서)는 지난 8월부터 약 3개월간 유적전시관 내에 탑의 하중과 지진 진도 7의 충격에도 버틸 수 있는 면진대(免震臺)를 설치하고, 그 위에 높이 5.39m, 무게 39.4톤에 달하는 탑을 올렸다.

- 1 -

* 면진대: 구조물(석탑)과 전시관 바닥 사이에 지진 진동의 전달을 경감시키도록 설치한 장치


지광국사탑은 탑이 지닌 원형의 가치를 되찾기 위해 수많은 전문가들의 검토를 받았고, 레이저세척법 등 과학적인 보존처리 방법과 전통 기술을 지닌 장인과의 협업이 있었으며, 도상 및 문양 연구, 복원 석재의 산지 연구 등 여러 분야의 공동연구를 종합적으로 거쳐 보존처리와 복원에성공한 사례이자 해외로 무단 반출된 석조 문화유산이 제자리로 복원된 모범 사례로, 강원특별자치도와 원주시를 대표하는 훌륭한 국가유산이자 역사관광자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는 보존처리 사업 기간 동안 4권의 보고서를 발간한 데 이어 내년에 지광국사탑의 복원 과정을 담은 최종 보고서를 발간함으로써 전체 사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앞으로도 지광국사탑 복원 사례와 같이국가유산의 보존과 복원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한 협력 체계를 유지하고 지원을 강화하는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다.



붙임  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주요 연혁.

2. 행사 홍보물. 

3. 사진 자료.  끝.


담당 부서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책임자

연구관 

이경민

(042- 860- 9372)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

담당자

연구사

이태종

(042- 860- 9381)

 
 
 


- 2 -

(붙임 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주요 연혁



시기

내용

1070년(고려 문종 24년)

법천사에서 지광국사 해린 입적

1085년(고려 선종 2년)

지광국사탑 건립

1911년

일본인에 의해 

법천사지에서 무단 반출

1912년

일본 오사카로 반출 및 반환

1951년

한국전쟁 기간 중 폭격으로 파손

1957년~1958년

지광국사탑 수리

1990년 

현 국립고궁박물관 앞으로 이전

2016년~2020년  

지광국사탑 해체 및 보존처리

2023년

지광국사탑 복원 위치 결정

2024년 

지광국사탑 복원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