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시점

배포즉시

배포

2025. 2. 25.(화) 16:00


일본 해상 소액화물 간이통관제도, 

전자상거래 수출 도약의 기회로

-  관세청, 2월 25일 「일본 해상 소액화물 간이통관제도 설명회」 개최

-  제도 시행 시기, 적용 대상 품목, 이용 절차 등 관련 정보제공


□ 관세청은 2월 25일(화) 전자상거래 해상 수출 주요 통관지인 용당세관에서지역 소재 전자상거래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일본 해상 소액화물 간이통관제도」 설명회를 개최했다.


ㅇ 일본 관세당국은 올해 10월부터 1만엔 이하전자상거래 해상운송 화물 대해 품목분류 코드 등 특정 신고 항목을 생략하여 간이하게 수입 신고하는 제도*를 시행할 예정이다.


* 우리나라는 특송화물에 대해 항공·해상운송 구분 없이 간이통관절차를 허용하였으나, 일본은 그간 특송화물 중 항공화물에 대해서만 간이통관절차를 허용했음


ㅇ 이번 설명회에서는 일본이 도입하는 해상 소액화물 간이통관 제도 관련 적용 대상 품목, 제도 이용을 위한 사전 신청 및 이용 절차, 시행시기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우리 전자상거래 수출기업이 동 제도를 적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왔다.


□ 일본은 전체 전자상거래 수출액의 약 1/3을 차지하는 최대 수출시장으로, 금번 간이통관 제도 도입은 저렴한 해상운송을 활용한 수출 도약의 기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① 대일본 전자상거래 수출액(백만불) : (‘21년) 796 → (‘24년) 1,044 (약 31% 증가) 
② 일본 주요 전자상거래 수출 품목 : 화장품, 의류, 식품, 음반 등 


ㅇ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수출입 규모는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수출금액은 ’21년 대비 ’24년 약 50% 확대되어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 ① 전체 전자상거래 수출실적 : (’21년) 1,956백만불 → (’24년) 2,903백만불 (증 약 48%) 
② 전체 전자상거래 수입실적 : (’21년) 4,665백만불 → (’24년) 6,001백만불 (증 약 29%)


□ 더 많은 전자상거래 수출기업들이 일본 해상 소액화물 간이통관 제도를활용하여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상반기 중 경인 지역에서도 추가 설명회를 개최한다. 


□ 관세청은 지난해 발표한 ‘전자상거래 수출기업 관세행정 지원방안’에 발맞추어, 앞으로도 통관 규제를 완화하고 맞춤형 정책 지원을 강화하는 등 전자상거래수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붙임. 전자상거래 수출 관련 주요통계


담당 부서

관세청

책임자

과  장 

노지선

(042- 481- 7840)

전자상거래통관과

담당자

사무관

민경욱

(042- 481- 7832)

 
 
     


붙 임

전자상거래 수출 관련 주요통계


□ 전자상거래물품 수출신고 방법별 실적


(단위 : 천건, 백만불)

구 분

일반수출신고

간이수출신고

목록통관*

합 계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20년

996

210

3,560

199

22,331

781

26,887

1,190

’21년

1,281

543

7,970

377

31,269

1,037

40,520

1,957

’22년

1,263

674

11,456

405

30,924

954

43,643

2,033

’23년

1,173

806

13,751

499

34,197

998

49,121

2,302

’24년

1,506

1,178

18,649

619

41,017

1,106

61,172

2,903

* 200만원 이하 전자상거래 물품에 대해 정식수출신고(신고항목 다수)를 수출목록 제출로 갈음


수출신고별 비중(‘24년 금액 기준) : 일반수출(40.6%) > 목록통관(38.1%) 〉 간이수출(21.3%) 


□ 전자상거래물품 국가별 수출실적


(단위 : 천건, 백만불)

구 분

일본

중국

미국

싱가포르

기타

합계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20년

11,034

453

8,672

362

1,810

141

1,669

64

3,702

171

26,887

1,190

’21년

20,749

796

6,858

390

2,212

341

3,461

100

7,239

329

40,520

1,957

’22년

23,322

790

6,332

399

1,857

376

3,454

107

8,678

362

43,643

2,033

’23년

25,128

846

7,716

453

1,954

468

3,101

71

11,221

464

49,121

2,302

’24년

33,719

1,044

6,004

439

2,249

748

3,608

83

15,592

589

61,172

2,903

 국가별 비중(‘24년 금액 기준) : 일본(36.0%) 〉 미국(25.8%) 〉 중국(15.1%) 〉 싱가포르(2.9%) 

[일본 주요 수출품목은 ① 향료·화장품, ② 의류(편물제), ③ 기타 조제 식료품이 상위를 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