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위안내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 |
2021. 10.
문화체육관광부 |
Ⅰ. 기관 일반현황
□ 조직 및 정원
ㅇ (기구) ① 책임운영기관으로, 기관장은 일반임기제(고위공무원단 “나”급)로 임용
② 기존 4개 부서를 7개 부서 조직으로 개편(‘21.9.24.)
ㅇ (조직도)
현 행 |
개편 후 |
|||||||||||||||||||||||||||||||||||||||||||||||||||||||||||||||||||||||||||||||||||||||||||||||||||||||||||||||||||||||||||||||||||||||||||||||||||||||||||||||||||||||||||||||||||||||||||||||||||||||||||||||||||||||||||||||||||||||||||||||||||||||||||||||||||||||||||||||||||||||||||||||||||||||||||||||||||||||||
<문화전당> 4과 48명(정원32, 전문임기제16)
|
<문화전당> 1관 7과 125명(정원122, 전문임기제3)
|
ㅇ (인력) 총 125명 (정원 122명, 전문임기제 3명)
구분 |
전당장 (고위“나” 일반임기제) |
기획운영관 (고위“나”) |
3・4급 |
4급 |
4‧5급 |
5급 |
6급 |
7급 |
8급 |
학예 연구관 |
학예 연구사 |
전문 경력관 나군 |
전문 경력관 다군 |
전문 임기제 |
계 |
정원 |
1 |
1 |
1 |
6 |
2 |
13 |
21 |
9 |
6 |
9 |
43 |
7 |
3 |
3 |
125 |
□ 소관법령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 1 -
□‘21년 예산 : 67,966백만원 (아특회계)
(단위: 백만원) |
||||
구 분 |
`20년 예산 (A) |
`21년 예산 (B) |
증 감 (B- A) |
|
% |
||||
합 계 |
57,094 |
67,966 |
10,872 |
19.0 |
사업비 소계 |
52,722 |
63,623 |
10,901 |
20.7 |
□ 아시아문화전당 콘텐츠 및 운영 |
51,471 |
62,714 |
11,243 |
21.8 |
ㅇ 콘텐츠 및 프로그램 운영 |
27,086 |
31,351 |
4,265 |
15.7 |
▪ 창제작·전시·공연 |
14,359 |
17,956 |
3,597 |
25.1 |
▪ 민주평화교류원 운영 |
900 |
677 |
△223 |
△24.8 |
▪ 교육 |
5,219 |
5,578 |
359 |
6.9 |
▪ 교류협력 및 조사연구 |
5,930 |
6,282 |
352 |
5.9 |
▪ 아시아창작스튜디오 운영 |
678 |
858 |
180 |
26.5 |
ㅇ 아시아문화전당 운영 |
24,385 |
31,363 |
6,978 |
28.6 |
▪ 전당 시설관리 |
11,470 |
17,981 |
6,511 |
56.8 |
▪ 아시아문화원운영 |
7,387 |
7,449 |
62 |
0.8 |
▪ 고객지원·수익·마케팅·홍보 |
4,668 |
4,916 |
248 |
5.3 |
▪ 전당 총괄운영체계 구축 |
860 |
1,017 |
157 |
18.3 |
□ 아시아문화역량강화 지원(ODA) |
342 |
- |
△342 |
순감 |
□ 아시아문화포털 구축(정보화) |
909 |
909 |
- |
- |
운영비 소계 |
4,372 |
4,343 |
△29 |
△0.7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인건비 |
3,346 |
3,283 |
△63 |
△1.9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기본경비 (총액인건비 대상) |
672 |
629 |
△43 |
△6.4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기본경비 |
18 |
18 |
- |
- |
□ 공무원연금기금 전출 (공무원연금 부담금) |
336 |
413 |
77 |
22.9 |
- 2 -
Ⅱ.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주요 업무 내용
1 |
아시아문화 연구의 교류‧협력 체계 마련 |
□ 현 황
○ 최근 우리나라와 아시아 국가와의 통상 및 교류 등 거래 증가와 세계 정치경제 지형에서 아시아의 비중이 커짐에 따라, 사회적·역사적 맥락으로서의 아시아문화에 대한 이해 필요
□ 주요 내용
○ (아시아 문화연구 및 담론 생산의 장 마련) 아시아에 의한 아시아 문화를 재발견, 재해석하고 재창조하는 상호 주체성과 파트너십에 의한 아시아 국가 간 상생과 협력모델을 제시하는 아시아 문화 교류‧협력의 기지 역할
- 동시대 아시아문화 관련 국내외 아시아 각 국의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논의에 참여하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공공의 연구플랫폼 구축
⇒ 다양한 시각과 배경을 지닌 아시아 연구자들 간의 교류와 학제적 연구를 통해, 새로운 아시아 연구 주제와 담론을 생산
* 아시아문화 연합 학술대회 개최, 정기 학술지 발간, 국내외 대표 연구자 초빙 등 동 분야 세계 최고의 연구기관화
○ (아시아 문화예술인들의 창작과 교류의 장 마련) 문화전당 내 연구‧교류, 창제작 기획 및 구현까지 일원화된 창작 공간 및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아시아문화 기반 창‧제작 콘텐츠 개발의 플랫폼 역할
- 아시아창작스튜디오(국내‧외 20팀 내외 수용) 활용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 창작자 대상 레지던시 프로그램 추진
- 아시아 권역별 예술 커뮤니티 구축을 통해 전통음악, 무용, 스토리 등 예술 장르별로 공동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추진
- 아시아 문화 소개와 가치 확산, 국제교류의 다각화를 위해 국내외 기관과 연계, 아시아문화 교류·협력 프로그램 운영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태지역위원회 협력사업, ACC 창작공간네트워크, 주한아시아대사관 협력회의, 아시아컬쳐네트워크 등
- 3 -
2 |
아시아 문화콘텐츠 창·제작과 유통 플랫폼 구축 |
□ 현 황
○ 『UN 창조경제 보고서』에서 개도국의 경제발전 전략으로 창조 산업을 제시하고 성공사례로 한국의 문화산업을 드는 상황에서, 아시아의 창조산업*의 허브이자, 상생‧협력의 플랫폼 기능 선도
* UN 창조산업 분류 : 문화유산, 공연, 시각예술‧공연, 출판, 쌍방향미디어, 디자인 등
□ 주요 내용
○ (융복합 문화예술 콘텐츠의 창‧제작 플랫폼 기능 수행) 단순 문화소비 공간이 아닌 아시아문화 연구, 아시아 국가 간 교류‧협력, 아시아 문화콘텐츠 개발, 창제작 및 유통 등을 통해 창의적인 문화발전소로서의 역할 수행
- 국가 간 교류협력,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아시아 스토리, 예술, 인문학에 문화기술(CT)을 결합한 융복합 콘텐츠 개발과 유통으로 기존 문화예술 기관과 차별화
* 창제작센터(디지털AV, 기계조형, 복합 스튜디오의 기자재 및 연구인력), 극장 1(개폐‧가변형 다목적 공연시설), 복합전시관 1~5관(대형 융복합 전시관) 등 차별화된 공간/시설활용 가능
○ (기획‧창제작‧시연에 이르는 창제작 선순환 시스템 구축) 랩(LAB)기반의 창‧제작센터 구축‧운영, 통합 레지던시(ACC_R) 운영으로 아시아 문화 기반의 융복합 콘텐츠 창제작의 생산 거점화
- 창‧제작센터 랩, 레지던시의 아이디어를 다양한 전시, 공연,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시연으로 창제작 성과 실체화
아시아문화 연구‧교류 (아시아문화전당) |
⇒ |
프로그램 기획‧발굴 (아시아 각국) |
⇒ |
레지던시 연계 콘텐츠 창‧제작 (아시아 각국) |
⇒ |
전시, 공연, 교육 등 시연 (전 세계) |
⇒ |
사업화 및 상품화 |
* ACT 센터 : 인적조직인 랩(Lab)을 통해 아시아 문화를 기반으로 한 융복합 콘텐츠를 개발‧구현하여 문화전당의 콘텐츠 창‧제작의 핵심적 역할 수행
- 4 -
3 |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확산 및 지역 연계 강화 |
□ 현 황
○ 현 정부는 초저출산‧고령화, 사회경제적 양극화 등 사회적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 실현을 국정 운영의 핵심 이념으로 제시한 상황에서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 등 문화전당 사회적 가치 실현
□ 주요 내용
○ (어린이 대상 콘텐츠의 기획‧확산) 글로벌 시대와 다문화사회에 대비, 어린이의 문화다양성과 창의성, 감수성 함양을 위해 아시아문화 기반 다양한 어린이 콘텐츠의 창‧제작 및 보급 추진
- 공연, 전시‧체험, 교육 등 모든 콘텐츠가 집적된 ‘어린이문화원’을 기반으로 미래형 융복합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모델의 개발, 콘텐츠 기획‧확산 추진
* 한국‧키르기스스탄 협업 뮤지컬 <술루우수우>, 한국‧필리핀 협업 뮤지컬 <거인 앙갈로> 등 아시아 스토리 창‧제작 공연
** 창작 공연, 새로운 방식의 교구재, 다양성 교육프로그램 등 개발, 어린이문화원 모델의 확산
○ (지역 문화예술 창작 역량 육성) 단순 문화예술기관을 넘어 지역 문화예술 역량 강화, 지역 소상공인, 예술가 등과의 상생을 위해 다양한 협력사업 발굴 추진
- 다양한 지역 거점의 국내외 창‧제작 레지던시 및 랩(Lab) 등을 활성화, 지역 문화예술 역량 제고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전당 창제작 센터를 중심으로 국제적 기관 및 전문가와 지역 예술가, 연구기관 및 산업체 등과의 협업을 통해 지역- 전당 간 선순환 구조 확립
- 동명동상생협의회 상호 교류협력 협약, 호남‧제주권 대학 업무협약을 통한 청년 창업자 발굴 지원, 우수 지역문화상품 선정 등 다양한 협력사업 발굴‧확대
Ⅲ.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당면 현안 과제
1 |
아특법 개정(‘21.9.24. 시행)에 따른 문화전당 조직개편 진행 |
□ 문화전당 조직개편 현황
ㅇ (내용) 4과 32명(전문임기제 16명 별도) → 1관 7과 122명(전문임기제 3명 별도)
【개편 후 문화전당 운영체계 】 |
||||||||||||||||||||||||||||||||||||||||||||||||||||||||||||||||||||||||||||||||
(문화전당/소속기관) 콘텐츠 창·제작, 연구, 교류, 교육사업 및 전당시설 운영·관리 |
||||||||||||||||||||||||||||||||||||||||||||||||||||||||||||||||||||||||||||||||
(조직) 전당장, 1관, 7과 122명, 전문임기제 3명 |
||||||||||||||||||||||||||||||||||||||||||||||||||||||||||||||||||||||||||||||||
|
□ 향후 계획
ㅇ (채용·인사) 전당장 채용(인사처), 신규채용(전당) 및 고용승계(재단), 공무직 재배치 등 절차 추진
ㅇ (재단 설립) 임원 선임(~11월), 설립이사회 및 법인설립 허가(12월) 등 설립절차 진행(법인설립 ‘22.1월)
※ 아시아문화원이 현 체계를 유지하며 연말까지 전당 보조사업 수행
- 5 -
2 |
콘텐츠 창제작 및 유통 선순환 체계 구축 |
□ (현황) 전당의 선순환 구조에 따른 콘텐츠 개발‧유통
ㅇ 전당은 국제교류, 연구‧수집, 콘텐츠 창‧제작, 콘텐츠 구현(전시, 공연, 교육, 축제 등), 유통에 이르는 선순환적 체계 확보
* 아시아문화의 연구‧자원 수집 → 창‧제작센터(ACT센터)의 콘텐츠 기획‧개발 → 전시‧공연‧교육 등을 통한 콘텐츠 구현 → 국내외 유통‧사업화
→ (한계) △전당에 대한 다양한 요구, △단년도 사업 운영, △콘텐츠 개발의 중장기적 전략 부재 등으로 단기적 성과 치중, 부서 간 유기적 선순환 구조 작동의 어려움 야기
□ (대안) 콘텐츠 개발 기본방향 설정
ㅇ 이원적 선순환 체계 마련으로 실행력 담보(조직 전체/각 원별 구분)
- (조직 전체) 선순환적 구조에 따른 중장기(3~5년) 특화 콘텐츠 기획·개발
* (예시) 뉴트로 뮤지컬(~22년 아시아 음악 연구 → ~23년 쇼케이스 → ~25년 본 공연)
- (각 원별) 아시아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연도별 콘텐츠 개발 기본방향 설정
* (예시)
(21년~22년) 코로나일상 시대 대응 : 포스트휴머니즘(‘21), 에코비즈니스(’22)
(23년~25년) 전당 특화콘텐츠 고도화 : 아시아 도시문화- 거점도시(‘23),
아시아 공예품- 디자인, 문양(’24), 아시아 생활양식- 생로병사 관련 의례(‘25)
- 6 -
□ 연도별 핵심테마 * 문화전당 콘텐츠 개발 5개년 계획 연구(‘20. 경희대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참고
ㅇ (코로나 일상시대 대응) ‘21년~22년
- (‘21년) 포스트휴머니즘
문화정보원 |
문화창조원 |
예술극장 |
어린이문화원 |
아시아 문화교류사 |
포스트휴머니즘(Post- humanism) (미래사회 적합한 휴머니즘 재탐색) |
기후위기와 우리의 삶 1 |
- (‘22년) 에코비즈니스
문화정보원 |
문화창조원 |
예술극장 |
어린이문화원 |
아시아 기후난민, 재해건축 |
에코비즈니스 (Eco business) (문화기술(CT) 기반 친환경 비즈니스 모델 발굴) |
기후위기와 우리의 삶 2 |
ㅇ (아시아문화 특화콘텐츠 고도화) ‘23년~25년
- (‘23년) 도시문화 ’아시아 거점도시‘
문화정보원 |
문화창조원 |
예술극장 |
어린이문화원 |
아시아 거점도시 철학 도시 디자인 |
디지털헤리티지(Digital heritage) (정보재로서의 문화유산 활용 비즈니스 모델 발굴) |
아시아 거점 도시, 건축물 |
- (‘24년) 문화예술 ’아시아 공예품‘
문화정보원 |
문화창조원 |
예술극장 |
어린이문화원 |
아시아 공예품 |
디지털헤리티지(Digital heritage) (정보재로서의 문화유산 활용 비즈니스 모델 발굴) |
상징, 문양, 패턴 |
- (‘25년) 생활양식 ’아시아 생노병사‘
문화정보원 |
문화창조원 |
예술극장 |
어린이문화원 |
아시아 생노병사 |
디지털헤리티지(Digital heritage) (정보재로서의 문화유산 활용 비즈니스 모델 발굴) |
결혼, 장례, 의례 |
* 민주평화교류원의 경우 총 사업비 타당성 재조사, 전시 기본계획 수립 등 진행 중으로 향후 선정 필요
ㅇ (콘텐츠 수집·연구 단계별 절차)
- 7 -
□ 연도별 로드맵
영역 |
구분 |
업무별 주요 내용 |
2021 |
핵심테마 |
- 포스트 휴머니즘(미래사회 적합한 휴머니즘 재탐색) |
수집·연구·교류 |
- (문화전당의 아시아성 공표) <아시아문화테마위원회>와의 공동연구·협의체 활용 - (아시아문화연구 국제학술대회) 아시아 국가 별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담론 공유 - (환경주제 아시아 영화 수집·연구) 미세먼지, 기후난민·재해건축 등 - (국제교류협력) 플랫폼 역할 중심의 단계적 세부전략 세워 국제파트너 지원·협력 |
|
창·제작 |
- (문화전당의 문화기술(CT) 재개념화) 사회문제 해결에 중점을 둔 아시아문화가치 구현 기술 - (상설 공간 조성 1) 상설체험관 신설, 전당 브랜드 성립에 중추역할 제고 - (온라인콘텐츠 성과분석) 중요성 감안 온라인 콘텐츠 기획총괄 및 통계 운영 |
|
2022 |
핵심테마 |
- 에코비즈니스(문화기술(CT) 기반 친환경 비즈니스 모델 발굴) |
수집·연구·교류 |
- (환경주제 아시아 영화 수집·연구 확대) 아시아 환경 영화제 개최 준비 - (환경주제 스토리 발굴) 전시·공연 콘텐츠 개발 자원 확보 |
|
창·제작 |
- (상설공간 조성 2) 랩(Lab) 물리적 공간 마련, 매개자 시스템 도입 - (디지털헤리티지 비즈니스 모델 기획) 아시아문화지도 프로토타입 고도화, 유통방식 관련 외부 컨설팅 활용해 전문화 도모 - (아시아 대표축제 지역연계) 지역 주민들 주도 기획, 학교·학생 참여 역할 부여 * 일본 스키야키 미츠 더 월드뮤직 페스티벌 사례 - (환경주제 아시아 영화제 개최) |
|
2023 |
핵심테마 |
- 특화콘텐츠 1단계 <아시아 거점도시> (도시 철학·디자인, 건축물) |
수집·연구·교류 |
- (거점도시 연구조사) 거점도시별 건축철학, 특징 등 심층 조사 - (ACC형 ODA 사업 추진) ODA 사업 자체 기획전환, 전담 담당자 추가 배치 |
|
창·제작 |
- (친숙한 일상 콘텐츠로 유도) 도시건축 관련 캐릭터, 일상생활 등 연계 - (아시아권역 뉴미디어아트(넷아트, 웹아트)) 전년도 발굴한 환경 주제 활용 |
|
2024 |
핵심테마 |
- 특화콘텐츠 2단계 <아시아 공예품> (상징, 문양, 패턴) |
수집·연구·교류 |
- (문화·예술 연구조사) 아시아 결혼, 장례 등 의례 관련 심층 조사 * 공예품 관련 업무체결 기관(이란 타브리즈이슬람예술대학교), ACC 창작공간네트워크, 아시아컬처네트워크, 연합학술대회 등 활용 |
|
창·제작 |
- (디지털헤리티지 유통) 전년도 발굴한 아시아 거점도시 활용 - (아시아·지역사회 공예품 유통) 전당 문화상품점(온·오프라인) 활용한 유통 지원 - (아시아 도시소재 아시아 영화제 개최) |
|
2025 |
핵심테마 |
- 특화콘텐츠 3단계 <아시아 생노병사>(결혼, 장례 등 의례) |
수집·연구·교류 |
- (생활문화 연구조사) 결혼·장례 등 의례 관련 자료 심층 조사 - (통합리포트 성과 가시화) 특화콘텐츠 1~3단계 총괄한 도시문화, 문화에술, 생활양식에 이르는 결과물 연구보고서 제작 |
|
창·제작 |
- (디지털헤리티지 유통) 전년도 발굴한 아시아 공예품 활용 - (수공예 장인 등 소재 아시아 영화제 개최) |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