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직위 안내자료 <국립종자원장> |
2021. 12.
농림축산식품부 |
Ⅰ. 기관 일반현황
< 조 직 >
❍ 6지원·1사무소(충남, 전북 등) : 벼, 보리, 콩 등 보급종 생산‧보증‧공급
❍ 3개 지원(제주, 동부, 서부) : 신품종 보호를 위한 재배심사
❍ 1개 지원(경남) : 보급종, 품종보호 업무 병행
|
|||||||||||||||||||||||||||||||||||||||||||||||||||||||||||||||||||||||||||||||||||||||||||||||||||||||||||||||||||||||||||||||||||||||||||||||||||||||||||||||||
< 정 원 >
(‘21. 11. 현재)
구분 |
계 |
고 위 공무원 |
4급 |
4.5급 |
일반직 |
연구직 |
관리운영 직군 |
||
5급 |
6급 이하 |
연구관 |
연구사 |
||||||
정 원 |
221 |
1 |
13 |
2 |
25 |
142 |
6 |
25 |
7 |
현 원 |
214 |
13 |
2 |
25 |
136 |
6 |
25 |
7 |
* 6급 이하 일반직에 방호, 운전 등 7명과 시간선택제 공무원 4명 포함
- 1 -
(단위 : 백만원)
구 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
【 합 계 】 |
전체 |
112,613 |
130,593 |
122,806 |
104,929 |
106,445 |
기금 제외 |
49,220 |
70,370 |
62,583 |
44,706 |
46,656 |
|
< 일반예산 > |
14,853 |
15,545 |
15,842 |
16,615 |
17,445 |
|
인건비 |
11,964 |
12,625 |
13,479 |
13,534 |
14,249 |
|
기본경비 |
2,889 |
2,920 |
2,363 |
3,081 |
3,196 |
|
< 사업예산 > |
34,367 |
54,825 |
46,741 |
28,091 |
29,211 |
|
시설현대화 / 품질관리 |
9,396 |
25,543 |
23,299 |
6,064 |
5,240 |
|
품종심사 / 재배시험 |
18,314 |
21,947 |
15,870 |
14,214 |
16,399 |
|
원원종 / 원종생산 |
4,809 |
5,692 |
5,692 |
5,692 |
5,724 |
|
국제협력(ODA) |
419 |
87 |
87 |
87 |
78 |
|
정보화 |
1,429 |
1,556 |
1,793 |
2,034 |
1,770 |
|
< 기금운용 > |
63,393 |
60,223 |
60,223 |
60,223 |
59,789 |
|
종자수매·공급(농안기금) |
63,393 |
60,223 |
60,223 |
60,223 |
59,789 |
❍ 종자정선‧저장시설 : 9개소, 면적 46천㎡ * 충북지원 이전신축(‘20년 10월)
- 처리능력 : 27.7천톤(벼 22.2, 맥류 4, 콩 1.5)
❍ 품종심사 재배시험시설 : 5개소(김천, 평창, 익산, 밀양, 제주)
- 재배시험 포장 18.3ha, 온실 등 시설 4.1ha, 기타 17ha
❍ 종자검정연구센터 : 지하 1층 및 지상 2층(연면적 2,039㎡)
❍ 종자산업법
❍ 식물신품종보호법
- 2 -
Ⅱ. 국립종자원장 주요 업무 내용
1) |
종자산업 육성 및 국제경쟁력 강화 |
❍ 종자(육묘)산업 발전기반 강화를 위해 「국내 채종기반 구축사업」추진
- 유전자원(원종)의 해외 유출 방지 및 종자전염병원균 유입 차단을 위하여 국내 채종기반을 확대함으로써 안정적인 종자공급·생산 기반을 확보
* 작물(12개) : 고추, 멜론, 수박, 오이, 참외, 호박, 대목, 양파, 무, 배추, 양배추, 청경채
❍ 해외현지 마케팅 및 적응성 시험을 위한 해외 품종전시포 설치 및 운영
- 8개국(중국, 인도, 베트남, 미국, 멕시코, 이집트, 카자흐스탄, 터키)
❍ 종자(육묘)산업 육성정책에 필요한 기초통계 자료 생산
❍ 민간육종가의 신품종 육성의욕 고취를 위한 지원 강화
- 신품종 개발비, 해외 출원·등록비, 특수검정비용 등 지원
❍「대한민국우수품종상」시상을 통한 신품종 육성 및 수출활성화 제고
❍ 종자유통조사 및 특별사법경찰관 제도 운영으로 종자 유통질서 확립
❍ 고품질 종자 유통기반 조성을 위한 유통종자 품질검사 실시
2) |
식물신품종 보호제도 운영 및 선진화 |
❍ 품종보호 출원품종 심사품질 강화 및 신뢰성 제고
- 출원인의 품종 육성과정부터 재배심사까지 단계별 정밀심사 추진
- 최신 육성기술·동향 및 수집 정보를 활용하여 품종심사 능력 고도화
- 심사서류 자동발송 및 수수료납부 시스템 개선 등으로 고객 편의성 제고
❍ 심사인력 교육 및 기관 간 업무협력을 통한 전문성 제고
- 표준화된 심사업무 수행을 위한 심사인력 교육 훈련
- 품종보호제도 운영기관 간 표준화를 위한 합동회의 및 심사관 합동심의회(연 2회) 개최를 통한 협업 강화
❍ 품종보호권 침해분쟁 대응력 제고 및 분쟁해결 적극 지원
❍ 과학적인 검정기법을 활용하여 재배심사 신뢰도 제고
- 특성조사기준 제·개정으로 조사기준의 표준화 및 객관성 유지
- 3 -
3) |
주요 식량작물의 정부 보급종 생산·공급 |
❍ 주요 식량작물의 고품질 정부보급종 공급으로 농업생산성 향상
- (벼) 다수확 품종 축소, 고품질 품종 공급 확대, (두류) 기계수확, 논 재배적합 품종 공급 확대, (맥류) 농업정책, 시장의 수요변화 등을 고려하여 공급 조절
❍ 농업인 종자소독 여건 변화를 반영한 벼 정부보급종 공급체계 개선
- 소독종자의 농업인 추가소독, 약제 과다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방지 등을 위해 미소독 종자 공급을 확대
❍ 정부보급종 정선시설 현대화·자동화 및 시설물 안전관리 강화
- 노후장비 교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시설 보완공사 및 안전교육 강화 등
❍ 첨단기술을 활용한 검사업무 추진 및 단계별 품질관리 내실화
- 드론을 활용한 영상분석(도복, 키다리병), 종자검사, 종자품질관리실 운영 등
4) |
종자 품질검정에 관한 서비스 제공 및 연구∙기술개발 |
❍ 수출입종자 및 내수종자 품질에 대한 국제인증종자검정서비스 제공
❍ 보급종, 품종보호 및 종자유통 등 종자관리 기술 지원
❍ 과수 무병화묘 생산·유통 활성화 관리 총괄
❍ 유전자 분석 및 병리검정 기술 개발 활용
❍ 법정보관 대상 종자의 안전 보관 관리 및 강화
5) |
종자·생명산업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
❍ 종자산업 가치사슬 단계별 실습 중심의 전문교육 과정 운영
- 종자산업종사자, 공무원, 학생(중고생~대학원생), 일반인 대상 과정 설치
*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이론과정은 온라인 실시간 교육으로 개편 운영
❍ 종자 전문 인력양성 총괄 관리 및 교육기관 간 협력
❍ 교육수요 확대를 위한 네트워크 형성 및 홍보
- 4 -
Ⅲ. 국립종자원 당면 현안 과제
1) |
품종보호제도 운영 |
□ 현 황
❍ 품종보호 출원건수는 지속 증가,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감소 후 회복세
* (`16) 657 → (`17) 693 → (`18) 715 → (`19) 645→ (`20) 672 (누적 11,287)
❍ 품종심사의 정밀도‧신뢰성 제고를 위한 특성조사 기법의 고도화
- 계측‧색채 자동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업무 활용으로 조사시간 30~50% 단축, 개발된 프로그램은 종자업체, 대학 등 46개 기관에 보급
❍ 육종추세, 소비 트렌드 등을 반영한 기능성‧내병성 심사기준 신설(‘20~‘21)
- (기능성 8종) 캡시에이트(고추), 라이코펜(토마토·수박), 단백질(콩) 등
- (내병성 17종) 바이러스병(고추·오이·토마토), 흰가루병(멜론), 시들음병(토마토), 흰잎마름병(벼) 등
❍ UPOV 기술협력회의 대응 등 국제 협력 강화
- 총회, 분야별 기술협력회의(연 6회) 등 참여, 우리나라 입장 대변 등
❍ 품종보호 침해예방 홍보 및 특사경의 전문성과 수사 역량 제고
* 우리원 처리현황(102건) : (’15) 2 → (’16) 1 → (’17) 29 → (’18) 12 → (’19) 32→ (’20) 26
□ 추진계획
❍ ‘22년도 품종심사 및 재배시험 기반 확충 계획 수립
* 부서별 심사 계획 수립, 재배 온실 등 노후 시설 개보수 및 리모델링
❍ ‘22년도 작물 특성조사 기준 제‧개정 계획 수립
❍ ‘22년 디지털육종 R&D 사업과 연계하여 영상분석 프로그램 고도화 및 노지 영상 자동 분석 시스템 개발 등 신규 예산 확보 대응(`22. 상반기)
❍ 기능성‧내병성 심사기준 확대를 위한 현장 의견 수렴 및 결과 반영
* 형질별 과학적‧기술적 타당성 검토, 재배조건 및 분석방법 등 표준화된 조사기준을 설정
❍ ‘22년도 UPOV 기술협력 등 국제회의 대응 계획 수립(‘22. 상반기)
❍ 침해 예방을 위한 농업인 등 홍보, 유전자분석 등 판별기법 개발 등 역량 강화
- 5 -
2) |
주요 식량작물 종자 수매 추진 |
□ 현 황
❍ 주요 식량작물의 정부 보급종 생산 업무 추진
- (벼‧콩) 종자수매(10~12월) 및 공급(~4월), (맥류) 파종 및 생육관리(~12월)
□ 추진계획
❍ 고품질의 정부 보급종 생산을 위해 주요 작물별 업무 추진
< 작물별 보급종 생산 추진 현황(11.18. 기준) > |
||
(벼 수매) 계획량 23,890톤의 54% 수준인 13,007톤 수매 추진(12월 중순 완료) (콩·팥 수확) 채종면적 939ha의 63% 수준인 594ha 수확 완료(11월 말 완료) (맥류 파종) 채종면적 888ha의 89% 수준인 795ha 파종 완료(11월 말 완료) |
❍ 벼 도복 검사 결과 자동판독프로그램 고도화 추진(유저인터페이스 개발)
3) |
과수화상병 관련 사과·배 묘목 생산업체 관리 및 교육 |
□ 현 황
❍ 과수화상병이 묘목에 의해 전파된 사례는 확인된 바 없으나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고, 묘목으로 전파될 경우 전국 확산 위험이 있으므로 집중관리 필요
- `20년~`21년 사과·배 묘목 생산업체 대상 관계기관 합동예찰 조사 추진 결과 과수화상병 발생 없음(‘20년 3회, ‘21년 3회)
- 행정조사(지자체)를 통해 사과·배 묘목(대목·모수 포함)업체 정보파악 및 예찰 조사 시 묘목 생산지 지번 확인 등 DB정보 업데이트 완료(148업체)
* 과종별 묘목‧대목‧모수의 생산지번, 생산면적, 생산계획량, 위탁생산 현황 등
□ 추진계획
❍ 사과·배 묘목 주산지 생산업체 대상 과수화상병 방제 교육 추진(’21. 11~12월)
- 과수화상병의 이해 및 방제 대책, 과수 무병화 효과에 대한 전문가 교육 실시
- 묘목 판매기록부 배부 및 기록 방법 교육을 통해 묘목 관련 과수화상병 발생 시 신속한 전파경로 파악 및 대처 가능토록 조치(묘목 판매기록부 250부 배부)
* (대상,일정) 경산/영주·봉화(11.24- 26), 옥천(12.1), (주관) 국립종자원, (협조) 검역본부, 농진청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