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개방형 직위(중앙신체검사소장) 안내 자료 |
2022. 6.
병 무 청 |
Ⅰ. 병무청 일반현황
□ 조직 및 정원
❍ 조직
△ 본부 : 1관 3국(1대변인, 4담당관, 13개 과, 1팀)
△ 소속기관 : 11개 지방병무청, 3개 병무지청, 1개 센터, 2개의 소, 1개 위원회
❍ 정원 : 1,961명(본청 281명, 소속기관 1,680명)
❍ 병무청 미션 및 비전
□ 예산 : 2,730억원
□ 소관법령
법 률(3) |
대통령령(4) |
부 령(5) |
1. 병역법 2. 공직자 등의 병역 사항 신고 및 공개에 관한 법률 3. 대체역의 편입 및 복무 등에 관한 법률 |
1. 병역법 시행령 2. 공직자 등의 병역 사항 신고 및 공개에 관한 법률 시행령 3. 대체역의 편입 및 복무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4. 병무청과 그 소속 기관 직제 |
1. 병역법 시행규칙 2. 공직자 등의 병역사항 신고 및 공개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3. 대체역의 편입 및 복무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4. 병무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5. 병역판정 신체검사 등 검사규칙 |
- 1 -
Ⅱ. 중앙신체검사소장 주요 업무 내용
1 |
일반 현황 |
□ 중앙신체검사소
□ 인력현황
(현원/정원, ’22. 6. 20. 기준)
부 서 명 |
계 |
4급 |
4.5급 |
5급 |
6급 |
7급 |
8급 |
9급 |
관리 운영 |
계 |
28/29 |
1/1 |
0/1 |
5/4 |
6/5 |
9/5 |
5/4 |
2/8 |
0/1 |
운영지원과 |
12/12 |
1/1 |
0/1 |
1/0 |
2/1 |
2/2 |
5/2 |
1/5 |
- |
신체검사과 |
16/17 |
- |
- |
4/4 |
4/4 |
7/3 |
0/2 |
1/3 |
0/1 |
- 2 -
□ 예산규모 : 657,006천원
사 업 명 |
2022년(천원) |
총 계 |
657,006 |
가. 선병활동 |
|
① 병역판정검사 |
236,599 |
나. 기본경비 |
|
① 총액인건비 |
24,190 |
② 사회복무요원 운용 |
254,574 |
다. 운영지원 |
|
① 병무행정 운용 |
25,230 |
라. 병역의무자 지원 |
|
① 사회복무요원 운용 |
73,631 |
마. 청사확보 및 시설 관리 |
|
① 시설관리 |
25,000 |
바. 직원훈련 |
|
① 행정효율성 증진 및 능력 개발 |
900 |
사. 정보화 |
|
① 병무행정 정보화 |
16,882 |
□ 소관법률 : 병역법(시행령규칙 포함), 병역판정신체검사 등 검사규칙
- 3 -
2 |
주요내용 |
중앙신체검사소장은 병역의 공정성 강화와 투명한 신체검사 체계 확립을 위한 중앙신체검사소 업무 전반을 관리하는 역할 수행 |
□ 중앙신체검사의 계획 수립 및 실시
○ 정확한 신체검사를 위한 1일 적정 수검인원 유지
○ 개별 질환상태 사전 심층 검토 및 정밀 검진
□ 신체등급 판정사무
○ 지방병무청 5급·6급 판정 대상자에 대한 확인 신체검사
○ 지방청장이 재신검을 의뢰한 사람 등의 정밀 신체검사
□ 중앙신체등급판정심의위원회 운영
○ 대상 : 판정곤란자, 이의제기자, 의사면허 소지자 등
○ 구성 : 위원장(소장), 위원(전문의사, 민간의사, 의대교수 등)
□ 신체검사 판정에 대한 분석 및 병역면탈 예방
○ 이례적 과다 발생 질환자 추세 분석으로 병역면탈 사전 예방
○ 의료기술 발전 등 사회변화에 부응한 검사규칙 적기 개정
□ 지정병원 위탁검사 실시 및 관리
○ 민간전문 위탁검사 활용으로 신체검사의 전문·객관화
○ 민간 위탁검사 확대 개편으로 수검자 편의 제고
□ 병역판정검사 의료장비의 유지와 관리
○ MRI장비 등 정기점검을 통한 장애발생 사전 예방
- 4 -
Ⅲ. 중앙신체검사소장 당면 현안 과제
□ 엄정하고 정확한 신체검사
○ 1일 적정인원 수검조치 등 정밀하고 정확한 병역판정검사 추진
○ 제출 자료에 대한 사전 심층 검토 및 민간병원 위탁검사로 판정의 객관성 제고
□ 고객중심의 민원서비스 제고
○ 당일 One- Stop 신체검사 체계 확립으로 민원 불편・불만 Zero화
○ 판정 불만자 등 합의 기능 운영 활성화
○ 검사 진행과정 실시간 안내 및 심의회 가족 참여로 투명성 확보
□ 병역면탈 예방
○ 반복 수검자, 연예·체육인 질환자 등 집중 정밀 검사
○ 병역판정전담의사 예방 노력 및 심의위원회 기능 내실화
□ 의료 환경 변화 적극 대응
○ 소장 주관 검사규칙 적합성 토론회 개최
□ 자체 심리검사 기능 강화
○ 종합 심리검사 위탁 수요자 전원 자체검사로 예산절감,
신뢰성 및 능률성 제고
□ 작지만 강한 조직 만들기
○ 소통강화, 행복 나눔,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한 행복한 일터 조성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