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직위(정보화기획담당관)

안내 자료









2022. 6.





방 위 사 업 청

. 기관 일반현황


□ 조 직(4관 3국 3소속기관 108과‧팀)  * 2022. 6. 1.기준

2과 22명

기반전력사업본부

6부 36팀 521명

방위

사업

교육

(2과 22명)<고공 나>

기반전력사업지원부

(7팀 146명)

기동사업부

(6팀 68명)

화력사업부

(5팀 59명)

함정사업부

(8팀 123명)

항공기사업부

(5팀 68명)

헬기사업부

(5팀 57명)

.기반전력사업총괄팀(30)

.기반전력사업전력운영계약팀(28)

.기반전력사업국제계약팀(25)

.기반전력사업전력화지원관리팀(13)

.기반전력사업표준자원관리팀(16

.기반전력사업지상공통원가팀(17)

.기반전력사업해상공중원가팀(17)

기동총괄계약팀(14)

.전차사업팀(10)

장갑차사업팀(10)

전투차량사업팀(10)

전투장비사업팀(12)

특수전사업팀(12)

화력총괄계약팀(13)

‧포병사업팀(13)

대화력사업팀(11)

‧탄약사업팀(12)

화생방사업팀(10)

.함정총괄계약팀(16)

.호위함사업팀(17)

.구축함사업팀(16)

.고속함사업팀(12)

.한국형구축함사업팀(13)

.상륙함사업팀(22)

.잠수함사업팀(10)

.지원함사업팀(17)

‧항공기총괄계약팀(10)

‧전투기사업팀(19)

공중기동기사업팀(15)

해상항공기사업팀(14)

‧탑재장비사업팀(10)


.헬기총괄계약팀(11)

한국형기동헬기사업팀(12)

소형무장헬기체계팀(18)

‧공격헬기사업팀(8)

.특수헬기사업팀(8)

.교육기획과(10)

.교육운영과(12)

청  장 (6명)

31과 533명

대변인

(12명)

방위사업감독관

(4과 54명)

.감독총괄담당관(10)

.감독지원담당관(19)

.개발사업담당관(14)

.구매사업담당관(11)

차  장 (2명)

.공직감사담당관(15)

.사업감사담당관(15)

감사관

(2과 30명)

기획조정관

(4과 86명)

.정책조정담당관(22)

‧혁신행정법무담당관(19)

.재정담당관(23)

.정보화기획담당관(22)

.국제협력총괄담당(16)

.유럽아시아협력담당관(9)

.중동아프리카협력담관(11)

.대외군사구매협력담당관(22)

국제협력관

(4과 58명)

조직인사담당관

(24명)

방위사업정책국

(5과 73명)

위산업진흥국

(5과 93명)

국방기술보호국

(4과 55명)

(40명)

.방위사업정책과(12)

.방위사업분석과(16)

.조달기획과(21)

.표준기획과(11)

.선행연구과(13) 

.방산정책과(27)

.방산일자리과(23)

.절충교역과(14)

.인증기획과(11)

.원가관리과(18)

.기술정책과(15)

.기술혁신과(13)

.기술보호과(17)

.기술심사과(10)






















미래전력사업본부

7부(단) 39팀 532명

미래전력사업

지원부(6팀 108명)

우주지휘통제통신

사업부(7팀 94명)

유도무기

사업부(6팀 68명)

감시전자

사업부(5팀 81명)

첨단기술사업단

(7팀 75명)

한국형전투기

사업단(4팀 60명)

한국형잠수함사업단(4팀 46명)

.미래전력사업총괄팀(28)

.미래전력사업전력운영계약팀(14)

.미래전력사업국제계약팀(20)

.미래전력사업전력화지원관리팀(11)

.미래전력사업표준자원관리팀(13)

.미래전력사업원가팀(22)

우주지휘통신총괄계약팀(10)

‧우주감시정찰사업팀(12)

‧우주통신항법사업팀(9)

합동지휘통제체계사업팀(13)

지상지휘통제체계사업팀(18)

해상공중지휘통제체계사업팀(17)

전술통제통신사업팀(15)

유도무기총괄계약팀(10)

지상유도무기사업팀(9)

방공유도무기사업팀(8)

해상유도무기사업팀(11)

항공유도무기사업팀(12)

다층방어유도무기사업팀(18)

감시전자총괄계약팀(11)

합전술데이터링크사업팀(15)

피아식별장비사업팀(27)

‧전자전사업팀(14)

‧레이더사업팀(14)

첨단기술총괄계약팀(9)

무인기사업팀(14)

인공지능로봇사업팀(9)

‧드론사업팀(10)

미래도전기술사업팀(7)

과학화체계사업팀(12)

첨단기술신속사업팀(14)

‧체계총괄계약팀(21)

‧국제협력팀(9)

체계개발관리팀(22)

지원체계관리팀(8)

연구개발총괄계약팀(14)

‧체계개발1팀(12)

‧체계개발2팀(14)

‧체계개발3팀(6)










- 1 -

□ 정 원

(단위 : 명)

구  분

본부장이상

국‧부장

과 장

담 당

총  원

1,608

4

21

108

1,475

공무원

1,140

4

17

73

1,046

군  인

468

-

4

35

429


□ 예산 현황

□ 방위사업청 집행예산 : 20조 2,631억원(국방비의 37.1%)

ㅇ 방위력개선비 16조 6,917억원, 국방부 위탁집행예산 3조 5,714억원

 

구 분

’22년 예산

비중

방위력

개선비 

16조 6,917억원

100%

국방R&D

4조 8,310억원

28.9%

무기체계개발

1조 8,918억원

11.3%

국방기술개발

2조 1,362억원

12.8%

출연기관 운영비 등

8,031억원

4.8%


방위력개선비

16조 6,917억원

(30.6%)

병력운영비

21조 7,843억원

(39.9%)



국방비

54조 

6,112억원






전력유지비

16조 1,352억원

(29.5%)

위탁집행

3조 5,714억원

(6.5%)









□ 방위사업청 소관법령(총 5개)

○ 방위사업법/시행령/시행규칙

○ 군용항공기 비행안전성 인증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

○ 방위산업기술 보호법/시행령/시행규칙

○ 방위산업 발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국방과학기술혁신 촉진법

- 2 -

Ⅱ. 정보화기획담당관 조직 및 주요 업무


1

일반 현황


□ 조직도 (4과 86명)

기획조정관

22명

19명

23명

22명

정책조정담당관

혁신행정법무담당관

재정담당관

정보화기획담당관


 정보화기획담당관실 인원

(단위 : 명)


구 분

공   무   원

군   인

소계

4급

4・5급

5급

6급

7급

8급

9급

소계

대령

소령

대위

정 원

22

21

1

1

6

8

3

1

1

1

1

-

-

현 원

19

18

1

1

4

3

7

2

-

1

1

-

-

부 족

- 3

- 3

-

-

- 2

- 5

+4

+1

- 1

-

-

-

-


2

주요 업무


 정보화 기획·조정·통제


ㅇ 청 정보화기본계획(매 5년) 수립 및 연간 정보화 시행계획 작성


ㅇ 정보화 법‧제도, 국회, 예산 및 내‧외부 기관평가* 등 정보화 업무 총괄

* 행정관리역량평가(행안부), 정보보안관리실태 평가(국정원) 등

- 3 -

 정보화 사업 추진


ㅇ 방위사업 환경변화에 따라 정보시스템 신규구축 및 고도화 추진

* 정보화사업 프로세스 : 사업계획 수립 → 발주 및 제안요청 → 사업자선정 및 계약 
 사업수행 → 사업검수 및 인수 → 성과평가 → 환류


ㅇ 청 타부서 주관 정보화 사업에 대해서도 사업계획 수립부터 최종 산출물 검토까지 전담인원 편성, 단계별 기술지원 제공 


정보자원 운영 관리


ㅇ IT서비스데스크를 운영하여 사용자 요구사항 및 개선을 지속 반영,정보시스템 및 장비 유지보수, 보안관제 등

*시스템개선 프로세스 : 旣 운영시스템 영향성 평가 → 프로그램 수정 적정성 및보안성 검토 →  테스트참여 → 구현확인 → 형상관리



ㅇ 서버 등 전산장비, 네트워크, 사무장비, 통신장비* 등 각종 정보 인프라에 대해 소요제기부터 폐기까지 수명주기 전반을 관리

* 통신센터 운영 : 내선전화관리, FAX 업무 수행 


사이버 보안 및 정보보호


ㅇ 24시간 보안관제 체계를 운영하여 지능화되어 가는 사이버 공격 및 해킹으로부터 청 정보시스템 보호


ㅇ 업무 간 생산되는 내부자료에 대해 다양한 유출방지체계* 구축·운영

* 업무용 PC 문서 암호화, 인터넷 PC 자료저장방지, 복합기관리시스템 등 

- 4 -

3

당면 과제


□ 정보화 정책 수립


청 및 범정부 정책을 반영한 정보화시행계획 및 중기계획수립 추진

-  4차산업혁명 신기술을 접목하여 업무혁신이 가능한 정보화계획 수립

* 빅데이터, 인공지능(챗봇), RPA, 클라우드, 모바일 등 기술을 융합하여 업무혁신에 기여


□ 데이터기반 행정 활성화 추진


데이터기반 행정 활성화를 위한 추진기반 조성 및 조직·인력·전역량 강화 추진

* 데이터기반 행정을 위한 청 내 협의체 구성, 데이터역량진단 교육활동 등


청 정책현안 해결을 위한 실효성 있는 데이터 분석·활용 과제 발굴

* 청본부 대상 데이터 분석·활용과제 발굴 및 우수사례집 발간 


 국방분야 공동활용 데이터 발굴 및 등록 확대 

* 관련 기관 간 간담회 및 수요조사를 통한 공동활용 데이 발굴 및 등록 


□ 정보시스템 성과관리 및 정보화사업 지원


청 전체 정보시스템의 운영 성과 측정 및 정비

* 개발이후 3년 경과 시스템의 성과측정 및 후속조치(유지, 기능고도화, 재개발, 폐기)


 정보화사업 전담지원으로 사업 완성도 제고

* 정보화 사업에 전담 컨설팅인력을 지정 사업계획에서 시험평가까지 전순기 지원


사이버 침해 위협대응 예방 활동 강화


지속적인 사이버 공격에 대비해 정보시스템 취약점 점검 및 조치

* 응용체계(청 홈페이지, 업무포털 등) 취약점 점검·조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사이버 침해 예방 활동 추진

* 자체/외부전문가에 의한 취약점 점검, 해킹메일 대응 훈련 등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