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직위(항공교통본부장) 안내 자료 |
2022. 6.
국 토 교 통 부 |
Ⅰ. 항공교통본부 일반현황
□ 조직 및 정원
ㅇ (기구) 책임운영기관으로 본부 7과 및 1 소속기관(인천항공교통관제소)
ㅇ (정원) 338명(본부 196명, 인천항공교통관제소 142명)
항공교통본부(338) |
|||||||||||||||||||||||||||||||||||||||||||||
운영지원과 (12) |
항공교통안전과 (8) |
항공교통조정과 (42) |
항공관제과 (99) |
공역정보과 (10) |
시설운영과 (11) |
항공위성항법센터 (14) |
|||||||||||||||||||||||||||||||||||||||
책임운영기관업무 인사·재정업무 |
항공교통업무 안전관리업무 |
항공교통 흐름관리 업무 |
항공기 관제, 경보업무 |
국가공역관리, 항공정보업무 |
항행시설운영, 관리, 지도감독 |
위성항법 정보제공 위성보정 시설관리 |
|||||||||||||||||||||||||||||||||||||||
인천항공교통관제소 |
|||||||||||||||||||||||||||||||||||||||||||||
운영지원과 (7) |
항공관제과 (99) |
항공정보과 (29) |
통신전자과 (7) |
||||||||||||||||||||||||||||||||||||||||||
기획·운영·재정업무 |
항공기 관제, 경보업무 |
항공정보업무 |
항행시설운영, 관리, 지도감독 |
||||||||||||||||||||||||||||||||||||||||||
□ 업무관련 법령 등
ㅇ (법령) 항공안전법, 항공사업법, 공항시설법 및 각 법령 시행령 시행규칙, 책임운영기관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ㅇ (행정규칙) 항공교통업무 우발계획 수립지침(훈령), 공역관리규정(고시), 항공교통업무기준, 항공교통업무 운영 및 관리규정(고시), 항공교통관제절차(고시), 항공교통흐름관리업무 운영규정(고시), 항공기 수색‧구조 지원계획(고시), 항행안전시설 관리 및 운영규정(고시) 등
□ 예산 : ‘22년 기준, 총 372억원(일반회계 203억, 특별회계 169억)
- 1 -
Ⅱ. 항공교통본부장 주요 업무 내용
1 |
직제상 규정 |
□ 비행정보구역의 항공기 관제 및 경보에 관한 사항
□ 항공로·비행정보구역의 비행정보 및 항공정보의 제공
□ 항공기 수색구조업무의 지원 및 협조
□ 공역 사용에 대한 검토와 조정 및 승인
□ 항공교통 흐름관리에 관한 사항
□ 항공로관제 및 항공교통흐름관리 시설 및 장비의 신설과 개량 및 유지보수
2 |
주요 추진업무 |
예방중심의 항공교통 안전관리체계 구축
ㅇ 항공교통업무 안전성과 측정을 위한 매년 안전성과지표(SPI)‧성과목표 설정 및 주기적인 모니터링 실시
ㅇ 중요변경사항 안전평가(항공로 신설 등), 위험도평가(HOTSPOT 지역), 안전검토 및 내부 안전감사 등을 통한 예방활동을 강화
국가공역의 효율적 관리 및 운영
ㅇ 다양한 공역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 안전하고 효과적 공역활용을 위한 공역의 신설ㆍ변경ㆍ폐지 등 조정 및 협조에 관한업무
ㅇ 항공교통량 증가에 대비, 원활한 항공교통흐름 확보, 운항 효율성 제고 등 항공교통발전의 기반 마련을 위한 항공로 개발지원 등
- 2 -
한국형 항공교통흐름관리 체계 고도화
ㅇ 우리나라의 항공교통흐름 특성에 부합하는 항공교통흐름관리 체계 정립을 위해 아태지역내 항공교통흐름관리 협력그룹 간 협업 강화
비행정보구역 내 항공기에 대한 항공교통관제 업무 제공
ㅇ 관할공역 내 항공로를 운항하는 계기비행 항공기에 대한 허가 발부, 항공안전 확보를 위한 항공기간 분리 및 경보업무의 제공
ㅇ 항공교통, 기상상황 등 운항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관한 정보의 제공 및 국내ㆍ외 항공교통관제기관 간 비행정보의 교환 등
비행정보, 항공정보의 제공 및 수색구조업무의 지원
ㅇ 비행정보구역을 운항하는 항공기에 대한 비행계획서의 접수, 처리
ㅇ 항공정보간행물(AIP), 항공고시보(NOTAM)의 발간업무 협조 및 항공지도의 제작, 배포 등 항공기의 안전 운항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
ㅇ 유사시, 신속한 항공기 수색구조 지원을 위한 관련부처, 기관 간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및 합동훈련의 실시 등
항행안전시설 품질강화로 안정적 시설 운용
ㅇ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주기적 점검 등 품질강화를 통해 장애를 사전에 예방하고 시설 운영의 신뢰성 확보 등 항행안전 서비스 제고
ㅇ 국제 항공환경의 변화와 항공교통수요의 증가에 대비, 새로운 항공기술의 활용을 통한 新 감시시스템 구축 등 항공인프라의 조성
비정상 상황 발생 시 위기대응능력 강화
ㅇ 인천·대구ACC 관제시스템 장애발생 대비 상호 보완(Back- up)업무 수행을 통해 무중단 항공관제 서비스 제공
- 3 -
Ⅲ. 항공교통본부장 당면 현안 과제
1 |
효율성을 고려한 항공교통안전의 강화 |
□ 항공관제분야의 안전강화를 위한 체계적 안전계획의 수립 및 다양한 활동의 실시 등 통합 안전관리체계 구축
□ 항공사고 발생 시, 신속한 수색구조 투입을 통해 골든타임 확보 및 항공안전망 구축을 위한 유관기관 간 긴밀한 협력체계 강화
□ 항공교통량의 지속 증가에 따라 항공기간 안전확보 및 신속한 항공교통흐름 유지를 위한 체계적 흐름관리 방안 수립
□ 항공교통량의 확대에 따라 지연감소, 혼잡완화 및 원활한 항공교통흐름 유지 등 동북아 항공교통발전을 위한 국제협력체계 강화 등
2 |
2030 미래 국가공역발전 계획 수립 |
□ 항공교통량(연간 6%↑) 증가 및 최근 제주남단 코리도(A593) 관리주체 일원화 논의 등 급격한 공역관리 환경변화에 적기대응 필요
□ 공역의 약 50.5%가 軍, 民은 37.3% 사용하고 있어 증가하는 항공교통량에 비해 공역 부족, 인천국제공항 4활주로 운영대비 등 공역운영체계 정비 필요
□ 소관업무의 전문성・효율성 등 고려, 전 분야 포함하여 편성한 「2030 미래 국가공역 발전계획 수립 TF」운영을 통한 추진계획 수립
- 4 -
□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공역사용 원칙에 부합하고, 효율적인 공역사용을 통한 항공기 안전분리 확보, 입·출항 항공기의 정시성 개선
3 |
항행안전시설 정보보안 능력 강화 |
□ 항행안전시설의 장애발생은 국민의 안전한 항공교통 이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항행안전시설 운용 안정화 필요
□ ICT기반의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항공안전의 새로운 위협요소로 내‧외부의 사이버 위협 사전 방어 및 대응능력 향상 필요
□ ICT기반 항공교통관제시스템의 정보보안 취약점을 분석‧평가하여 정보보안 강화를 위한 보호대책 수립 및 사이버 공격 방어 훈련 실시
4 |
지역사회와 상생·발전하는 사회적 가치 실현 |
□ 신설 조직인 항공교통본부의 지역사회 정착 및 상생‧발전을 위한 사회적 가치 실현으로 Up- grade 된 공직문화 조성
□ 정부혁신 종합 추진계획에 의해 사회적 가치 창출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지역사회의 청소년 및 항공분야 전공 대학생 대상 진로탐색 기회 제공
□ 사회적 소외자 지원, 지역사회 봉사활동 등을 통해 지역사회에 우리 본부 위상 제고 및 지역사회 상생・발전 도모
□ 지역사회 내 청소년 및 대학생 대상 진로 탐색 활동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 내 우리 본부 인지도 제고 및 사회적 가치실현
- 5 -
5 |
환경변화를 대비한 기관 및 구성원의 역량강화 |
□ 국내외 항공정책의 변화, 항공기술의 발전 등 항공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항공교통관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관제사 역량강화
□ 조종사와 관제사간 원활한 무선교신을 통해 항공안전 확보 및 국제 업무능력의 배양을 위한 항공영어전문교육관의 활성화
□ 홍보매체의 다변화 및 홍보소재의 발굴 등 관제소의 대국민 이미지 제고 및 역량강화를 위한 홍보강화 방안 마련
□ 조직내 갈등의 해소 및 소통의 문화 정착을 통해 개인가치를 존중하고 상호협력의 분위기 조성을 위한 창조적 조직문화 확립 등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