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직위 안내 자료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평가연구부장 - |
2022. 6.
Ⅰ. 식품의약품안전처 일반현황
1
주요 임무
□ 국민의 건강 보호를 위한 식품‧의약품 등 안전관리 컨트롤타워
ㅇ 위해식품 관리, 식중독 예방 및 수입식품 검사 등 먹거리 안전 확보
ㅇ 의약품(바이오), 의료기기 등 제조‧수입허가, 안전 및 품질관리
ㅇ 식품・의약품 등의 인체에 대한 위해성평가 및 기준‧규격 검사
2
기구 및 조직
□ 본부 : 1관 7국 2기획관 51과 2팀
□ 소속기관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6개 지방청, 2센터 17검사소
- 2 -
3
정원 및 현원
ㅇ 본부 660명(680.5), 평가원 459명(433.5), 지방청 912명(842.5)
- 정무직 1, 일반직 1,240, 연구직 773, 관리운영직 23, 별정직 1
※ 여성 1,175명(현원 대비 59.5%), 장애인 79명(정원 대비 3.9%)
4
예산 현황
□ ‘22년도 예산 : 6,640억원 편성
ㅇ 규모 : (’21) 6,110 → (’22) 6,640억원 (530억, 8.7%↑)
구분 |
총계 |
사업비 |
기본적 경비 |
||||||
일반사업 |
R&D사업 |
정보화사업 |
ODA사업 |
소계 |
인건비 |
기본경비 |
소계 |
||
’21년 |
6,110 |
3,026 |
1,186 |
232 |
45 |
4,489 |
1,453 |
168 |
1,621 |
‘22년 |
6,640 |
3,294 |
1,340 |
262 |
63 |
4,959 |
1,494 |
187 |
1,681 |
- 3 -
Ⅱ. 독성평가연구부 현황 및 업무내용
1
독성평가연구부 일반현황
○ 조직 및 정원
- 5개 과, 45명(공무원)
* 고위공무원(1명), 과장(5명), 연구관(11명), 연구사(17명), 일반직(11명)
* 무기 계약직 등 공무직 근로자 90여명
○ 예산
- ’22년 총예산: 약 306억원
* 안전성평가기술개발연구사업 등 R&D 예산: 240억원
* 국가실험동물관리 등 일반예산: 66억원
○ 조직도
독성평가연구부 |
|||||||||||||||||||||||||
독성연구과 |
특수독성과 |
약리연구과 |
임상연구과 |
실험동물자원과 |
|||||||||||||||||||||
- 4 -
2
주요 업무내용
○ 식품·의약품 등의 독성평가 및 기술개발 연구
- 식품·의약품 등의 현안물질의 독성시험·평가 연구
- 독성정보 DB구축 및 독성시험 자료 생산
- 첨단 안전성 평가 기술개발 연구 및 국제협력
○ 동물대체시험법 개발·검증 및 비임상시험관리기준 지원
- 동물대체시험법 개발 및 검증 연구
- 한국동물대체시험법검증센터 운영 및 국제협력
- 의약품 및 의료기기 비임상시험실시기관 실태조사
○ 의약품 등의 약리연구 및 마약류 유해성 평가
- 국제 수준의 마약류 유해성 평가 체계 구축
- 의약품 안전사용을 위한 맞춤형 정보 제공
- 마약류 시험·분석 역량 강화 협의체 운영
○ 의약품 임상시험 연구 및 임상 중개기술 개발 연구
- 임상시험 평가기준 및 임상시험관리기준, 맞춤약물평가
- 임상 적용에 필요한 중개기술에 관한 기술 지원 및 조사·연구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생명윤리위원회 운영
○ 실험동물 공급·보존 및 실험동물자원은행 운영
- 국산 실험동물 종(種) 보존 및 활용 기반 구축
- 국제 수준의 실험동물실 운영 및 실험동물자원은행 운영
- 질환모델동물 개발 및 분양
- 5 -
Ⅲ. 독성평가연구부장 당면현안과제
1
첨단 안전성평가기술 연구 및 독성평가 지원
○ 첨단 안전성평가기술 인프라 구축
-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기반 독성예측기술 개발
- 인체모사장기(오가노이드) 활용한 새로운 독성평가법 개발
* 오가노이드 활용 독성평가법의 국제적(OECD 등) 시험법 등재 추진
- mRNA 플랫폼 기반 백신/치료제의 독성평가 시험법 개발
- 사람의 리얼월드데이터(대사체 및 질환정보 등)를 활용한 약물의 독성평가 연구
○ 미래지향형 안전성 연구를 위한 국내·외 협력 강화
- 안전성분야 최고의 국내기관 간 협력사업 발굴
- 새롭게 개발된 독성시험법의 국제 조화를 위한 국제협력 활동
○ 독성평가를 위한 독성정보DB 구축 및 독성시험 자료 생산
- 생활 속 유해물질 독성정보DB 구축
- 인체위해우려 물질의 독성시험자료 생산 및 평가
2
동물대체시험법 활용 확산 및 비임상시험 기술지원
○ 비임상시험실시기관(GLP)의 관리 및 지원체계 강화
- ’22년 OECD GLP 평가단 현지 방문평가 대응
- 식품 분야 독성시험 관리 제도화 추진
* 법적근거가 부족한 건기식, 식품원료(첨가물 포함) 등의 GLP제도 개선으로 보다 과학적인 안전관리
- 국내 비임상시험 분야 전문인력 역량 강화
- 6 -
○ 비동물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및 국제협력
- 국내 개발 동물대체시험법의 OECD 가이드라인 등재 추진
- 동물대체시험법검증센터 국제협력(ICATM) 활동 강화
○ 국내 동물대체시험법 협력 체계 구축
- 동물대체시험법검증센터의 컨트롤타워 근거 마련
- 국내 동물대체시험법 가이드라인 도입 및 기술지원
3
마약류 안전관리 정책지원 및 차세대 안전성약리 연구
○ 마약류 최신 평가기법 도입 및 의존성 평가를 통한 지정 지원
- 영장류를 이용한 마약류 평가법 개발, 마약류 지정 법률개정안 제안
○ 의약품 안전성약리 최신 평가기술 개발
- 심혈관계 안전성약리 시험법 확립
○ 신종마약류 및 오남용 의약품에 대한 안전 정보 제공
- 신종마약류 출현 대비 마약류 통합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4
한국인 임상시험 평가기술 개발 및 지원
○ 정밀의료 등 신기술 활용 임상 중개기술 개발
- 개인 맞춤 의약품 사용을 위한 약물 부작용 생체지표 발굴 연구
- 실사용정보(RWD/RWE)를 활용한 안전성 유효성 평가 연구
○ 취약·민감계층을 위한 의약품평가기술 및 안전정보 제공
- 안전성 이슈 의약품의 적정 용법용량 제안 및 약물유전정보 등 제공
○ 최신 임상시험 평가기술 개발 연구 및 임상시험 안전관리 개선
- 국제조화를 고려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선진화 개발 연구
- 임상시험 안전사용 지원을 위한 평가원생명윤리위원회(IRB) 운영
- 7 -
5
국산 실험동물자원 활용 확대 및 관리 선진화
○ 실험동물 품질관리 및 동물실험시설 운영·지원
- 국제기준에 따른 실험동물 사육 및 관리 표준작업서 제・개정
- 국내 동물실험시설 등 지도·점검
○ 바이오의약품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생명연구자원 기반 강화
- 평가원 개발 일반동물, 질환모델동물 등 공급
○ 생명연구자원 재활용을 위한 실험동물자원은행 운영 기반 강화
- 실험동물 유래자원 및 평가원 식의약 연구자원 수집·분양
- 디지털 독성병리 조직 및 빅데이터베이스 등 식의약 연구자원 확보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