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직위안내자료 

(목포대 산학연구과장)









2022.  10.




교 육 부

Ⅰ. 기관 일반현황


□ 조직 및 정원

구      분

대학 소속 교직원

산학협력단 법인 직원

보직 교수

4급

6급

7급

조교

대학회계 무기계약

책  임

연구원

선  임

연구원

주  임

연구원

연구원

계약직

목포대학교

산학연구처

(산학협력단)

2

1

1

1

1

1

8

3

3

2

8

31

※직속센터(창업부육센터) 인원(2명) 미포함


□ 2022년 예산 : 50,930백만 원

(단위 : 백만 원)

구 분

산학협력단회계

국책연구 및 R&D연구 수주액

47,076

간접비수익

3,309

전입 및 기부금수익

1

운영외 수익

527

투자 및 재무활동

17

합   계

50,930


□ 관련법령

○ 목포대학교학칙

○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정관



Ⅱ. 산학연구과장 주요 업무 내용

1


산학연구과 운영 총괄

□ 현   황 

○ 목포대학교 산학연구처 산학연구과는 대학의 연구 및 산학협력 총괄부서로 학칙에 따라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법인)과 대학 내 산학연 관련 사업부서를 운영하고 있음

주요 내용

○ 산학협력 정책방향 진단에 따른 국책 및 R&D연구비 수주 및 관리

○ 산학연구처 및 산학협력단 회계 지출관 및 수입금출납, 예산·결산 업무

○ 대학의 산학협력 계약 체결·이행 및 산·학·연 협력사업

○ 지식재산권 취득·관리 등 기술사업화 촉진 및 창업지원

○ 대학 학술연구진흥 사업(교원 연구력 향상) 등


2


회계 및 조직관리

□ 현   황 

○ 2021년도 산학협력단회계 결산액은 50,758백만 원이며, 국책사업 연구비는 31,850백만원(62.7%), 용역사업(지자체포함) 연구비는 18,908백만원(37.3%)임

○ 장사무로는 산학기획팀과 총무인사팀, 재무회계팀 연구관리1, 2팀, 연구진흥팀, 기술경영팀, 연구보안정보화팀, 감사부(연구감사팀)가 있으며, 감사팀은 겸무 형태로 운영 

⇒ 직속센터로 창업보육센터를 두고 있음

□ 주요 내용

산학연구처 및 산학협력단회계 ‘지출관’ 및 ‘수입금출납’, ‘물품운용관’ 업무 수행

-  산학연구처 및 산학협력단 회계 예산 및 결산 업무

-  산학협력단 간접비회계 집행·관리

-  대학 연구비 중앙관리

-  산학연구처 소관 대학회계 관리

-  산학연구처 및 산학협력단 재산·물품·세무관리

○ 조직관리

-  산학연구처 및 산학협력단 직원에 대한 인사 관리

-  산학연구처 및 산학협력단 직원 처우개선

-  산학연구처 및 산학협력단 직원 교육 및 훈련


3


지식재산 창출 및 기술이전

□ 현   황

○ 2021년 기준, 국내특허 출원 95건, 등록 44건, 국제특허 출원 8건, 기술이전 64건, 기술이전 수입료는 230백만원 정도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음


□ 주요 내용

○ 대학 우수 지식재산 발굴 및 기술이전 사업화 수행

○ 센터(사업단) 및 연구시설에 대한 집중 관리

○ 대학 연구 실적물의 지식재산 등 연계

Ⅲ. 산학연구과 주요 현안 과제


1


산학협력 고도화를 통한 산학협력 중점기관화

□ 배경 및 필요성

지역 주력‧신산업 연관 사업 유치 및 지역사회 수요를 반영한 산학협력 체제 고도화를 통한 산학협력 중점기관화 추진

-  대학 보유 연구인력ㆍ기술ㆍ인프라를 활용한 지역특화 산학연협력

-  지역특화 산업체 맞춤형 교육 및 주력ㆍ신산업 고용창출 기여

▻ 역할: 기업지원 ➠ 창업ㆍ취업 확대 ➡ 일자리창출 ➡ 지역 상생발전


□ 주요 추진내용

○ 대학중심의 산학연관 거버넌스 협의체 구축 운영

-  지역협력협의체: 목포대+전라남도(시‧군 포함)+연구기관+기업지원기관

-  지역현안 문제 해결(지역협력 프로젝트)을 통해 지역발전 견인

○ 특성화된(지역산업기반) 산학융합캠퍼스* 인프라 고도화

* 신해양산업단지, 에너지밸리산업단지, 남악캠퍼스, 목포캠퍼스 등

-  전방위 맞춤형 기업지원 인프라(인력, 장비, 교육, 기업지원 등) 구축

○ 집중협업센터(ICC/RCC)를 통한 기업과 지역사회 동반성장 견인

-  ICC: 농수산스마트시스템, 친환경스마트운송기계, 스마트에너지, 해상풍력

-  RCC: 글로벌셀링, 남도문예르네상스, 농촌활성화

▻ 가족회사 및 산학협력 기업과의 산학협력 강화 → 유료가족회사, 취업연계, 산학공동연구, 창업, 벤처 지원사업 유치

○ 산학협력정보담당관 제도 도입 및 운영

-  대학 산학협력 인적ㆍ물적 자원 정보 통합관리 체계 구축 및 활용 지원

2


정부부처사업 수주 확대를 통한 대학 재정 확충

□ 배경 및 필요성

○ 추진 필요성 및 목적

-  학령인구 감소 및 대학 구조조정에 따른 학생정원 감소로 지속적 대학 재정악화의 심화

-  국가 연구개발사업 아이디어 발굴‧제안 및 지역특화 연구사업을 유치를 통한 대학재정 확충 및 R&D 연구력 제고

○ 추진 방법

-  산학연구과 내 “산학기획팀” 중심으로 정부사업 유치 지원 강화
※ 2021년도 연구비 수주액: 417억원


□ 주요 추진내용 

○ LINC3.0 사업 및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RLRC)사업 운영 

-  2022년도LINC3.0 및 RLRC 사업의 선정에 따라 지역 산학협력, 바이오 산업분야 연구 선도

○ 국책사업 및 연구비 유치 확대를 위한 특화지원시스템 구축

-  정부사업 제안과제 발굴 및 사업 유치 지원 강화

-  중앙정부 및 지자체 정책개발 사업 기획 지원

-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 사업 등 에너지, 첨단바이오신약, 반도체 분야 신규과제 유치 추진(산학기획팀 전담 지원)

-  지역기업 및 지역사회와의 산학공동연구, 지역협력프로젝트 지원

(LINC3.0사업단 지원)




3


연구자 지원 강화 및 제도 개선 

□ 배경 및 필요성

○ 추진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자의 연구 의욕 고취 및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연구 환경 조성

-  연구지원 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한 전문교육 이수관리 제도화 

○ 추진방법

-  연구지원제도 개선, 연구지원 서비스 강화, 우수연구자 지원 확대


□ 주요 추진내용

○ 연구자 지원 강화를 위한 연구지원제도 개선

-  대학 연구력 강화를 위한 연구실적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 마련

-  연구지원 강화 (행정지원, 연구지원 인력 전문역량 강화 등)

-  대학 연구 지원체계 정비를 위한 제규정 개선

○ 교내 연구지원 서비스 강화

-  교내 지원 각종 ‘학술연구지원사업’의 효율적 지원 및 관리

-  연구 환경 개선 비용, 연구활동 제경비 등의 우수연구자 지원 확대

○ 연구지원 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한 전문교육 지원

-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자격증 취득과정 교육 실시 매년 1회

-  산학연구과 직원 교육: 연구비 지원 전문기관 교육, 외부교육, 이러닝교육, 전문강사 초빙 교육 등 연간 40시간

4


기술사업화 및 창업지원 확대 

□ 배경 및 필요성

○ 추진 필요성 및 목적

-  우수기술 사업화 및 기술지주회사 운영을 통한 산학협력단 재원 확보

-  지식재산권 발굴 및 보호 활동 강화를 통한 우수기술 확보, 기술이전 확대

○ 추진방법

-  기술지주회사 사업 참여 및 지원,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 참여


□ 주요 추진내용 

○ ㈜전남지역대학연합창업기술지주 공동 참여

-  참여기관: 전라남도, 전남TP, 목포대, 순천대, 동신대, 목포해양대, 전남도립대, 전남과학대학

-  설립일: 2018. 11. 13

-  현황: 자회사 설립 19개, 매출 200억, 고용창출 140명

-  목포대학교 출자금액: 총 300,000천원(연 60,000천원)

○ 지식재산권 발굴 및 우수기술 마케팅 활용 기술이전 실적 증대

-  보유 지식재산권의 등급 평가 및 우수기술 목록 작성

-  연구비 수주 및 논문실적 우수 교수 집중 관리

-  지역 및 전국단위 기술마케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