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장

[개방형직위] 직위안내자료






2022. 10.








 

Ⅰ. 기관 일반현황


 조직 : 4부 16과 1센터 4연구소


국립산림과학원장

미래산림 전략연구부

산림환경 보전연구부

산림생명

자원연구부

임산자원이용

연구부

운영지원과

연구기획과



I
C
T



산림정책연구과

국제산림연구과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산림생태연구과

도시숲연구과

산불·산사태연구과

산림병해충연구과

산림생명정보연구과

임목자원연구과

산림특용자원연구과

산림미생물연구과

목재산업연구과

목재공학연구과

임산소재연구과

산림기술경영연구소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정원 : 253명

(단위: 명, %)

구 분

임기제

고위공무원

연구관

고위공무원

연구직

일반직

연구관

연구사

정원(명)

253

2

3

187

66

121

61

비율(%)

100

0.8

1.2

73.8

26

47.8

24.1


 예산 : 946억원

 주요 세출 예산 : 사업비 706억원, 기본경비 32억원, 인건비 208억원


 소관 규정

 국립산림과학원 기본운영규정 등 36개

-  훈령 10개, 예규 17개, 지침 9개

- 1 -

Ⅱ.국립산림과학원장 주요 업무 내용

1

산림과학 중장기 기술개발계획(TRM)의 효과적 추진

□ 현 황 

○ 기관의 비전(과학기술 혁신으로 미래 산림가치를 창출하는 국민의 연구기관) 달성을 위해 ʻ산림가치 선순환과 국민행복에 기여하는 산림과학 연구ʼ의 미션을 수행

□ 주요 내용

산림생태계 보전‧복원 및 생태계서비스 기반 구축

-  산림생물다양성 평가‧보전 및 관리 체계 고도화

-  산림생태계의 특성 구명 및 생태적 산림관리 기술 개발

-  DMZ 및 백두대간 등 훼손지 산림복원 기술 개발

-  도서 및 난·아열대 산림생태계의 보전·관리 및 활용 기술 개발

○ 산림자원 선순환체계 구축 및 산림경영 활성화

-  산지관리·산촌진흥 전략 개발 및 산림계획제도 개선

-  산림산업 활성화 연구 및 산림산업 동향조사 확대

-  용재수종 개량 및 우량종묘 생산기술 개발

-  목재자원 조성·육성 및 수확기술 개발

○ 숲 기반 국민복지 공간 및 기능 확대

-  도시숲 기능의 유지·증진 기술 개발

-  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 및 보건·의료 융합 산림치유 고도화 기술 개발

○ 산림재해 및 산림병해충의 과학적 관리체계 고도화

-  산불·산사태 등 산림재해 예방 및 대응기술 연구

-  산림병해충 발생예측 및 피해 저감 기술 개발

- 2 -

○ 신기후체제 대응 및 국제·북한 산림협력 강화

-  산림·임업부문 기후위기 대응 정책 및 기술 개발

-  산림탄소흡수 증진 기반 연구

-  국제 및 한반도 산림협력 대응 연구

-  ICT 융·복합 디지털 산림관리 기반 연구

산림생명자원을 이용한 임업소득 증대 및 산업화 활용

-  산림생명자원 바이오정보 활용기반 구축 연구

-  산림생명자원 이용 약용소재 발굴 및 활용기술 연구

-  산림생명자원 이용 기능성 생활소재 발굴 및 활용기술 연구

-  임업소득 창출을 위한 산림특용자원 육성 및 관리기술 개발

최적 가공기술을 활용한 목재이용 증진

-  목재산업 활성화를 위한 목재수요 확대 기반 구축

-  목재의 부가가치 증진을 위한 첨단 가공기술 연구

-  첨단기술 융합을 통한 목재기반 미래소재 개발

-  목재 순환이용을 통한 탄소저장 및 대체 효과 분석


2

책임운영기관으로서의 효율적 조직 운영‧관리

□ 현 황 

○ 2001년부터 연구형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어 운영

기관 운영목표

• 국가연구기관으로서 산림부문 공익성 향상(공공기술 개발‧지원)

• 책임운영기관으로서 기관운영의 효율성 향상(재정 건전성 제고)

• 산림 종합연구기관으로서 대국민서비스 향상(연구성과 사회 환원)

- 3 -

□ 주요 내용

○ 협력지향 조직문화를 위한 성과평가 제도 및 합리적 보상체계 강화

○ 효율적 조직 운영 및 직원 역량 개발을 통한 기관의 성과 향상

 근무여건 개선 및 복지향상 추진으로 활기찬 조직문화 정착

○ 국민 수요·사회적 가치 관점의 대국민서비스 성과 강화 


3

과학적 근거기반 정책 지원 및 맞춤형 성과확산 체계 강화

□ 현 황 

○ 산림과학 연구성과에 기반한 산림정책 개발을 지원하고, 현장심의 실용연구 추진 및 소통채널 다양화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주요 내용

○ 산림정책 수요 대응 및 산림분야 국정과제의 원활한 추진을 지원하는 과학적 증거 기반 산림과학 지원 체계 강화

○ 관련 기관・학회・단체와의 유기적인 협조체계 구축으로 융・복합 연구 및 실용적 성과 창출 강화

○ 산림과학기술 연구 성과 확산을 위해 소통채널 다양화

○ 임업의 산업화를 위한 기술 수요자와 현장 중심의 산림과학 실용기술 확산 제고

○ 산림과학기술 연구 성과의 맞춤형 보급 및 정보 개방 확대


- 4 -

Ⅲ.국립산림과학원장 당면 현안 과제


1

산림생태계 보전·복원 및 생태계서비스 기반 구축

○ 산림생물다양성 평가·보전 및 관리체계 고도화

-  자생 산림수종 유전다양성 평가 및 보호구역 지정‧관리 연구

-  구상나무 숲의 유전다양성을 고려한 복원‧관리 기술 개발

-  산림종자 보존, 비파괴 특성평가 기술 및 현지 외 보존 전략 연구

○ 산림생태계의 특성 구명 및 생태적 산림관리 기술 개발

-  산림생태계 장기 변화예측 및 생태정보 활용기반 확대

-  산림생태계서비스 정보 활용체계 구축 및 산림관리 적용방안 모색

○ DMZ 및 백두대간 등 훼손지 산림복원 기술 개발

-  산림훼손지의 효과적인 산림복원 기술 개발 및 정책지원 확대

-  백두대간‧정맥의 권역별 지향성 설정 확대 및 관리방안 도출

-  산림토양환경 변화 모니터링 및 개량‧개선 기술 개발

-  물환경 보전 및 재해 대응력 강화를 위한 산림 물관리 연구 확대

○ 도서 및 난·아열대 산림생태계의 보전・관리 및 활용 기술 개발

-  도서산림의 생태적 기능 증진을 위한 평가체계 및 관리기반 구축

-  난‧아열대 산림생명자원의 지속가능한 보전 및 활용기반 마련

-  제주 특이 산림생태계 보전기술 개발 및 생태계서비스 가치 발굴


2

산림자원 선순환체계 구축 및 산림경영 활성화

○ 산지관리·산촌진흥 전략 개발 및 산림계획제도 개선방안 제시

-  산지의 보전‧이용 적성평가를 통한 산지관리체계 개선(안) 제시

-  지역주도 산촌진흥 정책 추진 및 임업경영주체 육성방안 연구

-  산림기본계획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제시

- 5 -

○ 산림산업 활성화 연구 및 산림산업동향조사 확대 추진

-  산림산업 근로조건 실태 분석을 통한 산림산업 노동특성 분석

-  임업통상의 영향 분석을 위한 임산물 교역모형 고도화

-  󰡔임업경제동향조사󰡕 연구를 󰡔산림산업동향조사󰡕로 확대 추진

○ 용재수종 개량 및 우량종묘 생산기술 개발

-  육종기간 단축 및 육종효율 제고를 위한 가속육종 기술 고도화

-  탄소흡수능 및 환경기능성 증진 수종 육성 연구 강화

-  우량묘목의 안정적 생산‧활용을 위한 스마트 양묘 및 조림기술 개발

목재자원 조성·육성 및 수확기술 개발

-  경제림 육성 및 장령림 관리기술 개발

-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목재생산 및 효율적 경영기반 구축기술 개발


3

숲 기반 국민복지 공간 및 기능 확대

○ 도시숲 기능의 유지·증진기술 개발

-  도시숲 조성 주요 수종의 대기오염 저감효과 구명

-  도시권역 환경개선 기능 증대를 위한 도시숲 조성‧관리기술 개발

-  도시숲 가치의 대국민 인식 증진기술 개발

-  관측시스템에 기반한 도시숲 이산화탄소 흡수 추정

-  도시권역 산림생태계의 자연성 보전 및 증진기술 개발

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 및 보건·의료 융합 산림치유 고도화 기술 개발

-  산림복지서비스에 의한 국민 삶의 질 평가 기반의 정책 방안 마련

-  국가숲길 운영관리 협력체계 제시 및 지역활성화 실증연구 기반 구축

-  실감기술을 활용한 산림교육 적용성 분석 및 개발 방향 제시

-  산림문화 활용 가치 창출 및 산림관광 활성화를 위한 전략 개발

-  치유기능 증진을 위한 산림관리 및 빅데이터 기반 산림치유 구현

- 6 -

4

산림재해 및 산림병해충의 과학적 관리체계 고도화

○ 산불·산사태 등 산림재해 예방 및 대응기술 연구 

-  대형산불 피해저감을 위한 예방‧대응 기술 및 위험예보체계 구축

-  산사태 예측기술 및 산림유역단위 토사재해 피해저감 기술 개발

 산림병해충 발생예측 및 피해저감 기술 개발

-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특성 및 체계적 관리기술 개발

-  외래‧돌발 병해충 발생‧정착‧확산 특성 구명

-  생활권 수목 병해충 발생특성 및 피해저감 기술 개발

-  PLS 대응 주요 임산물 병해충 발생조사 및 친환경 방제법 개발


5

신기후체제 대응 및 국제·북한 산림협력 강화

산림·임업부문 기후위기 대응 정책 및 기술 개발

-  임업‧산림분야 기후변화 영향 실태조사 및 영향‧취약성 평가

-  소나무림의 취약성 평가 및 기후변화 적응 임분관리 방안 제안

○ 국제 및 한반도 산림협력 대응 연구

-  산림분야 글로벌 이슈의 국내 이행방안 개발

-  국제산림 이슈 선도를 위한 정책 지원 및 ODA 모델 개발

-  남북산림협력 현안 대응 및 중‧장기 협력 방안 개발

 ICT 융·복합 디지털 산림관리 기반 연구

-  지능형 산림정보 구축을 위한 ICT 및 IoT 활용기술 개발

-  국가 산림자원통계 및 도시 산림(수목) 평가체계 개선방안 연구

-  산악지역 영향예보 및 국민공감 맞춤형 산악기상 콘텐츠 개발

-  농림위성 산림특화 검보정‧활용산출물 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


- 7 -

6

산림생명자원을 이용한 임업소득 증대 및 산업화 활용

 산림생명자원 바이오정보 활용기반 구축 연구

-  산림생명자원 유전특성 구명 및 바이오지문 분석기술 개발

-  기능성 유전체 교정 임목개발 및 클론묘 대량생산 체계 개선

 산림생명자원 이용 약용소재 발굴 및 활용기술 연구

-  산림약용자원 발굴, 수집, 보존 및 천연물 물질지도 작성

-  주요 산림약용자원의 신품종 육성 및 기능성 소재 대량 생산

-  산양삼 친환경 재배 및 품질관리 표준화

 산림생명자원 이용 기능성 생활소재 발굴 및 활용기술 연구

-  상록성 참나무류 유용 대사체를 활용한 피부재생 천연소재 개발

-  전통한지 제조공정 수립 및 닥나무 증식기술 개발

-  유용 산림자원을 활용한 기능성 홈케어 모발건강 생활소재 개발

 임업소득 창출을 위한 산림특용자원 육성 및 관리기술 개발

-  산림과수‧산채류 연구대상 품목 확대 및 표준재배 현장 실증연구

-  임산물 수확후 품질관리 기술 개발 및 현장 적용 연구

-  자생종을 활용한 조경수 및 밀원자원 개발과 가치증진 연구

-  산림미생물 자원의 가치 발굴 및 활용 기반 구축


7

최적 가공기술을 활용한 목재이용 증진

 목재산업 활성화를 위한 목재수요 확대 기반 구축

-  품질표시제도와 한국산업표준의 산업계 영향분석 및 개선

-  목재 가치증진을 위한 빅데이터 관리 및 목재문화 확산방안 수립

-  국산 목재 대량수요 창출을 위한 도시목조화 시범모델 구현 및 평가

- 8 -

 목재의 부가가치 증진을 위한 첨단 가공기술 연구

-  목재의 신수요 창출을 위한 장수명 이용기술 개발

-  첨단기술 활용 공학목재 개발 및 목조주택 설계 기술 고도화

-  대형‧고층 목조건축 요소기술 개발 및 주거환경 연구

○ 첨단기술 융합을 통한 목재기반 미래소재 개발

-  바이오플라스틱 소재화 공정 개발 및 융‧복합 연구 강화

-  국산 목재 펄프 자원을 활용한 플라스틱 대체 소재화 기술 개발

-  탄화 목재제품의 표준분석법 정립 및 친환경 착화제 개발

-  임산자원의 유용성분 변환기술 고도화 및 산업화 기반 마련

○ 목재 순환이용을 통한 탄소저장 및 대체 효과 분석

-  보드류 생산공정 전과정 목록 작성 및 제품 수명 예측모델 개발

-  목재제품의 탄소대체 요소 발굴, 산출방법론 정립 및 효과 검증

- 9 -

별 첨

산림청 조직도

□ 산림청 : 2관 3국 24과 4팀, 11개 소속기관

청  장

※ 2관 3국 24과 4팀

대 변 인

차  장

기  획

조정관

국제산림

협력관

산림산업

정책국

산  림

복지국

산  림

보호국

기획재정담당관

혁신행정담당관

법무감사담당관

국제협력담당관

해외자원담당관

임업통상팀

남북산림협력팀

산림자원과

산업

사유림

국유림경영과

산림일자리창업팀

산림복지정책과

산림휴양등산과

산림교육치유과

도시숲경관과

산지정책과

정원팀

산불방지과

산사태방지과

병해충

방제과

산림생태복원과

수목원조성사업단

국  립

수목원

산  림

교육원

산림항공

본부

국립산림

품종관리센터

지  방

산림청(5)

고위공무원단 :

북부ㆍ동부ㆍ남부

3‧4급: 중부ㆍ서

산림

리소

(11)

국유림관리소

(27)

연구지원  

연구기획팀

전시교육연구과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정원식물자원과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광릉숲보전센터

교육기획과

재해방지교육과

항공정비과

항공안전과

기획운영팀

산림재해안전과

산림경영과

4급 : 춘천ㆍ홍천

 평창‧영주

4‧5급 : 서울ㆍ수원ㆍ

양산ㆍ부여ㆍ영암

5급 : 기타



국립산림

과학원

국립자연

휴양림관리소

미래산림

전략연구부

산림환경

보전연구부

산림생명자원

연구부

임산자원

이용연구부

산림기술경영

연구소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아열대산림연구소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운영지원과

연구기획과

산림

I

C

T

연구센터

산림정책연구과

국제산림연구과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산림생태연구과

도시숲연구과

산불산사태연구과

산림병해충연구과

산림생명정보연구과

임목자원연구과

산림특용자원연구과

산림미생물연구과

목재산업연구과

목재공학연구과

임산소재연구과

행 정 지 원 과

휴양사업과



(4)

북부

동부

남부

서부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