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직위 안내 자료 (지방자치인재개발원 국제교육협력과) |
2022. 11.
|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 |
Ⅰ. 기관 일반현황
□ 기구 / 정원 : 2부 6과 2센터 / 111명
지방자치인재개발원 |
||||||||||||||||||||||||||||||||||||||||||||||||||||||||||||||
기 획 부 |
교 수 부 |
원내교수(4) |
||||||||||||||||||||||||||||||||||||||||||||||||||||||||||||
|
|
|||||||||||||||||||||||||||||||||||||||||||||||||||||||||||||
행 정 지원과 |
기 획 협력과 |
국제교육 협 력 과 |
교 육 총괄과 |
지방의정연수센터 |
정책리더 양 성 과 |
전문역량 교 육 과 |
지방자치 역량센터 |
|||||||||||||||||||||||||||||||||||||||||||||||||||||||
□ 연 혁
지방행정연수원 |
⇨ |
국가전문행정연수원 |
⇨ |
자치인력개발원 |
⇨ |
・’65.9. 도봉구 출범 ・’78.1. 수원 이전 |
지방혁신인력개발원 |
⇨ |
지방행정연수원 |
⇨ |
지방자치인재개발원 |
・’08.2. 명칭 변경 ・’13.8. 전북혁신도시 이전 * ‘15.12.7. 개원 50주년 행사 개최 |
・‘17.7.26. 행정안전부 조직개편 |
□ 주요 기능 및 법적 근거
○ (기능) 자치단체 공무원 등 자치행정분야 종사자 교육훈련 사무 관장
- 지방 중견간부 이상 장기과정, 지방5급 승진예정자 대상 기본과정, 지방의정연수, 시책‧전문과정, 시도 국‧과장급 후보자 역량평가‧교육 등
- 외국공무원 연수를 통한 행정한류 확산 및 국내‧외 교육기관 교류‧협력
○ (근거) 「지방공무원법」 제75조, 「지방공무원 교육훈련법」 제8조 등
▸「지방공무원법」 제75조(훈련기관) 교육부,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에 공무원의 교육훈련 기관을 둘 수 있다. ▸「지방공무원 교육훈련법」 제8조(교육훈련기관) ③ 5급 이상 지방공무원(5급 승진후보자를 포함한다)에 대한 교육훈련 (중략) 행정안전부장관 소속으로 설치한 전문교육훈련기관에서 실시한다. |
□ 예산 현황('22년) : 20,672백만원
인건비
30%
기본
경비
4%
주요사업비
66%
- 환경개선유지 : 4,268백만원
- 교육운영 : 1,009백만원
- 교육운영(ODA) : 238백만원
- 정보화 : 1,113백만원
- 수입대체경비 : 6,930백만원
○ 인 건 비 : 6,198백만원
○ 기본경비 : 916백만원
- 1 -
Ⅱ. 국제교육협력과 일반현황
일반 현황 |
조직 및 정원 |
○ 인 력 : 11명 - 4급 1, 4‧5급 1, 5급 2, 6급 1, 7급 1, 8급 2, 9급 2, 전문임기제 2
|
||||||||||||||||||||||||||||||||||||||||||
법령·기준 및 예산 |
○ 업무 관련 법령 및 기준 - (인사혁신처) 공무원 인재개발법 - (인사혁신처) 공무원 인재개발법 시행령 - (지방인사제도과) 지방공무원 교육훈련법 - (지방인사제도과) 지방공무원 교육훈련법 시행령 - (지방인사제도과)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운영지침 - (교육총괄과) 지방자치인재개발원 강사선정 및 수당지급규정 ○ ‘22년도 소관 예산 : 929백만원 - 외국지방공무원교육운영(ODA) : 238백만원 - 지방자치인재개발원교육운영(국제교류협력 활성화) : 106백만원 - 글로벌리더 교육과정(수입대체경비) : 447백만원 - 외국공무원위탁교육(수입대체경비) : 138백만원 |
|||||||||||||||||||||||||||||||||||||||||||
주요 업무 |
○ 외국공무원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 국내초청 등 위탁교육 과정 운영 ○ 교육훈련에 관한 국제기구 및 외국교육기관과의 교류협력 ○ 교육훈련프로그램 및 지방자치인재개발원에 대한 국제홍보 ○ 지방공무원 국제화역량 강화과정의 운영 ○ 외국어 교육과정의 운영에 관한 사항 ○ 국외 교육훈련자료의 수집·조사 및 보급 |
|||||||||||||||||||||||||||||||||||||||||||
중점 추진과제 |
○ 외국공무원 교육과정(자체, KOICA 위탁) 운영 ○ 지자체 공무원 국제 전문역량 강화 ○ 국제교류협력 및 네트워크 |
- 2 -
Ⅲ. 국제교육협력과 주요 업무 내용
1 |
외국공무원 교육과정 운영 |
□ 추진방향
○ 수원국 요청 주제에 대한 강의 및 기관방문 등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 운영으로 개도국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이행에 기여
○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개도국 지방공무원 역량 강화
□ 주요내용
○ 외국공무원 교육과정 연간 교육훈련계획 수립
- 자체 및 KOICA 위탁 교육과정 신설·유지·폐지 등 연간 계획 마련
○ 자체 외국공무원 교육과정 기획·운영
- 사업 추진 및 예산 편성을 위한 무상원조시행계획 수립
- 연간 교육훈련계획에 따른 교육과정 세부계획 수립 및 운영
- 회계 정산, 결과보고서 작성, 연수생 만족도 분석 및 개선점 도출
○ KOICA 위탁 외국공무원 교육과정 기획·운영
- 정부부처 제안 및 글로벌 연수 공모 등을 통한 과정 신설
- KOICA와 협업을 통한 교육과정 세부계획 수립 및 운영
- 회계 정산, 결과보고서 작성, 연수생 만족도 분석 및 개선점 도출
○ 수료생 사후관리(e- 뉴스레터 발간, SNS 수시 홍보 등) 추진
- 3 -
2 |
국제 교류협력 활성화 |
□ 추진방향
○ 외국 정부 및 교육훈련기관과 협업을 통한 공무원 교육훈련분야 경험 공유 및 신규 교육수요 창출 등 포용적 협력 강화
○ 외국공무원 교육과정 수료생과의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한국의 행정ㆍ정책 동향 등을 소개하여 행정한류 확산에 기여
□ 주요내용
○ 한·중 세미나 개최(매년)
- 중국 칭화대와 MOU 체결에 따라 매년 양국 기관이 교차 개최
- 한·중 양국의 공동현안에 대한 주제 선정 후 전문가 발표·토론을 통한 해결방안 모색 및 정책대안 제시
○ LOGODI 글로벌 포럼 개최(매년)
- 외국공무원 교육훈련기관장을 초청하여 교육훈련 분야 관련 경험 공유 및 발전 방안 모색(‘19년도 최초 개최, 12개국+α 참여)
○ 지방행정 관련 국제기구(IASIA, UCLG, EROPA), 회의 등 참석
- 공무원교육훈련 최신정보 습득, 인재원 홍보, 신규 교육수요 확보 추진
○ 국제교육협력 관련 자료(영문) 제작 추진(필요시)
- e- book, 인쇄물, 포토슬라이드 등 제작을 통해 국제교육협력 관련 사업성과와 경험 기록·공유
○ 외국 정부 및 교육기관 간 협력을 위한 MOU 추진
○ 한국의 최신정책 공유 및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e- 뉴스레터 발간 및 e- 연하장 발송, 인재원 영문 홈페이지 및 SNS 홍보 추진
- 4 -
3 |
국제전문과정 운영 |
□ 배 경
○ 글로벌 이슈 및 트렌드 분석을 통해 국제사회에 대한 이해도 증진
○ 우리나라를 둘러싼 국제정세의 파악으로 지자체 공무원의 국제화 역량 강화 및 대외적·개방적 인식 제고
□ 주요내용
○ 연간 교육훈련계획 수립
- 전년도 과정 운영성과 분석을 통한 과정 신설·유지·폐지 등 연간 교육훈련계획 마련
○ 교육과정 기획 및 운영 준비
- 교과목 구성 및 강사 선정 등 교육과정 세부계획 수립
- 지자체 등 대상 교육생 모집공고 및 확정통보, 입교 안내
- 강의자료 검토, 교재 제작 등 과정 운영을 위한 세부사항 준비
○ 교육과정 운영
- 교육생 출결관리 및 건의사항 처리 등 원활한 교육환경 제공
○ 과정정산 및 결과보고
- 회계 정산, 결과보고서 작성, 교육 만족도 분석 및 개선점 도출
※ 2022년 국제전문과정 운영
과 정 명 |
일 정 |
인 원 |
국제통상 역량강화 |
3.30.(수) ~ 4.1.(금) |
45명 |
한반도와 이웃나라 정세 이해(미국러시아편) |
7.6.(수) ~ 7.8.(금) |
117명 |
알고 ISSUE? 국제 ISSUE! |
9.21.(수) ~ 9.23.(금) |
82명 |
중국, 당신의 생각을 리셋하라 |
11.30.(수)~12.2.(금) |
40명(예정) |
- 5 -
4 |
글로벌리더과정(장기교육) 운영 |
□ 추진방향
○ 국제업무 실무, 영어 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으로 지방자치 2.0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
□ 주요내용
< 과정 준비 >
○ 차기 교육대상자 선발(8월초 ~ 10월말)
- 선발계획 송부(행안부) → 인터뷰(인재원) → 대상자 결정(행안부)
○ 차년도 교육운영계획 수립(매년 말)
- 전년도 종합평가 및 분석, 교육생·강사진 의견수렴, 운영진 업무연찬 등을 통해 과정 설계, 중점 추진방향 등 결정
< 과정 운영 >
○ 세션별 교육운영계획 수립
- 1~3세션 분야별 교과편성 및 강사 선정, 강사 섭외, 교재 인쇄 등
○ 입교식 및 자기변화훈련 실시
○ 학업성적, 연수생활 등 과정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평가운영계획 수립
○ 국외연수 추진 및 연수결과 발표회 개최
- 세부운영계획 마련 및 국외훈련심의위원회, 연수결과 발표회 등
○ 원외학습 운영 등
- 국제회의헹사 참관, 봉사활동, 지역문화체험 등
< 과정 정리 >
○ 교육생 평가결과 및 교육생 수료결과 통보(지자체)
- 6 -
Ⅳ. 국제교육협력과장 중점 추진 과제
1 |
외국공무원 교육과정 운영 |
○ 코로나 일상 회복에 따라 초청 연수 및 현지 방문교육을 원칙으로 하되, 해당국과 협의하여 운영
- (추진시기) 연중
- (’23년 계획) ① 몽골 NAOG교수단 및 군수 역량강화 과정, ② 개도국 지방행정과정, ③ 라오스 현지방문교육, ④ 캄보디아 지방공무원 인적자원 개발(3차), ⑤ 에티오피아 역량강화(3차), ⑥ 키르기스스탄 공무원 및 교수요원 역량강화(1차)
- (주요내용)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개도국 지방공무원 역량 강화
2 |
지자체 공무원 국제 전문역량 강화 |
○ 글로벌리더과정(장기) 운영
- (추진시기) 매년(10개월 과정)
- (대 상) 지자체 5, 6급 공무원 20~30여 명 ※'23년: 25명
- (주요내용) 국제업무 추진을 위한 전문직무 역량 강화, 국제 실무 중심 영어능력 배양, 국제 환경 변화에 능동적 대응을 위한 글로벌 소양 함양
○ 지자체 국제업무 실무역량강화과정 신설 운영
- (추진시기) 연중(1회)
- (대 상) 지방 4급 이하 공무원 30여 명
- (주요내용) 지자체 공무원의 글로벌 마인드 함양, 국제개발협력에 관한 이해 제고 및 국제업무 실무 실습
- 7 -
○ 국제전문과정 운영
- (추진시기) 연중(3회)
- (대 상) 행안부 및 지방 4급 이하 공무원 및 공공기관 직원 각 50여 명
- (’23년 계획) ① 국제통상 역량강화, ② 알고ISSUE? 국제ISSUE! ③ 중국, “당신의 생각을 리셋하라”
3 |
국제교류협력 및 네트워크 구축 |
○ 제17회 「한‧중 세미나」 개최
- 양국 현안 관련 주제 선정, 발표·토론 전문가 섭외, 운영계획 수립 등
○ 2023 LOGODI 글로벌 포럼 개최
- 참가여부 조사 및 연수생 선정, 커리큘럼 구성, 기본계획 수립 등
○ UCLG- ASPAC 연례회의, IASIA 연례회의, EROPA 연례회의 참석
○ 외국 정부 및 교육기관 간 협력을 위한 MOU 추진 및 관리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