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직위(연구원장)

안내 자료









2023. 9.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Ⅰ. 기관 일반현황


조직 : 1과 4실 1센터 28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기획과


안전연구실


방재연구실


재난정보연구실


재난원인조사실


지진방재센터












운영지원팀


안전사업조정팀


재난저감연구팀


위성정보연구팀


조사기획팀


지진방재연구팀

회계관리팀

재난회복연구팀

데이터융합연구팀

안전기술연구팀

사고조사팀

지진대책연구팀

연구기획팀


기후영향분석팀

재난통신연구팀





지역안전연구팀

원인분석팀

지진위험연구팀

성과관리팀

해안재난연구팀

공간정보연구팀


국제협력팀





생활안전연구팀

조사기술팀

지진정보분석팀

국가통합가뭄센터

정보기술서비스팀

시설관리팀







※ R&D 관리‧평가센터, 사회재난연구센터, 방재기준평가센터 임시 운영

정원 : 89명

○ 원장, 실과장 6명(3·4급1, 개방형1, 연구관4)

○ 연구관 27명, 연구사 40명, 일반직 13명(5급4, 6급3, 7급4, 8급2)

※ 공무직(연구원) 118명, 공무직(시설‧일반 등) 22명, 전문임기제 9명, 청원경찰 10명

□ 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세부사업

사업

성격

’23년

예산

비  고

합 계


30,331


인건비

경상비

7,881


기본경비, 기본경비(총액)

경상비

454


재난안전관리업무지원기술개발

R&D

16,468

연구과제 수행, 실험시설 운영 등

재난안전연구개발사업관리

R&D

1,059

행안부 재난안전 출연금 R&D 사업의 관리‧운영

재난안전신기술해외보급

ODA

2,041

∘필리핀, 피지 지원 등

재난안전연구원운영

일반

1,494

∘청사 시설‧장비 유지관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전산운영

정보화

520

연구원 전산운영 및 유지관리

재난안전정책서비스

일반

414

∘재난피해회복모니터링, 
빅데이터 분석 현업지원 등 

Ⅱ. 연구원장 주요 업무 내용

□ 현황 및 주요 내용

○ 재난안전 현업 중심의 과학기술개발

-  지진위험성을 고려한 지진방재 대응체계 기반 구축

-  재난‧사고 조사 신뢰도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  재난안전분야 지식베이스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  재난관리 대응력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 과학기술 기반 전문 정책서비스

-   첨단기술 기반 가뭄 전주기 예측기술 개발

-   재해영향평가 제도의 전문검토 지원

-   신종 재난위험요소 발굴 및 사전 대비체계 구축 지원

-   재난안전 역량 확보를 위한 정책 지원 강화

○ 재난으로부터 보호받는 국민생활안전 연구

-  실증실험기반 설계기준 개선 및 체험프로그램 운영

-  도시단위 대규모 재난대피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안전취약계층 맞춤형 재난안전 지원기술 개발

-  안전취약계층 재난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 대내·외 협력 활성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  위성자료의 활용성 강화를 위한 협업 강화

-  UNESCAP/WMO 태풍위원회 ODA 사업 등 국제협력 강화를 

 통한 글로벌 위상 제고

-  재난안전 R&D 총괄기관으로서 전문관리체계 확보

-  신뢰받고 일하고 싶은 연구원을 위한 운영 내실화

Ⅲ. 연구원장 당면 현안 과제

1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기능강화 혁신방안 추진

□ 현황 및 내용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1.27.)」지원을 위해 재난안전 정책지원 및 현장중심 R&D 확대를 위한 기능 강화 추진


○ (혁신방안) 신종재난위험 발굴·분석 / 시도연구원 협력체계 구축 / 현장중심 R&D 체계 개선 / 국제교류·협력(ODA 등) 확대

2


신종재난위험요소 발굴‧평가 체계 강화

□ 현황 및 내용

○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23.1.27.)」 ‘새로운 위험 상시 발굴‧예측 및 대응체계 마련’을 위해 신종재난위험분석센터 설치(’23.2.20., ’24년 정규조직)

○ 빅데이터, 전문가 네트워크, 현장조사 등을 통해 전방위적 위험요소 발굴및 ‘위험요소 평가선정 위원회’ 운영으로 관리가 시급한 위험요소 선별(분기별)

3


「안전취약계층」맞춤형 재난안전 지원기술 개발

□ 현황 및 내용

○ 안전분야 넛지 디자인 활용방안 검토 및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안전취약계층 맞춤형 평가방법 개선방안 연구

○ 안전취약계층을 고려한 사회재난 및 안전사고 분야 그래픽 심볼(안) 개발

○ 안전디자인 활용성 강화 및 표준화를 위한 응용형 디자인 적용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