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직위 안내자료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전략기획과장)









2024. 5. 




환 경 부


1. 기관 개요


ㅇ (최초설립) 1978년 7월  ※ 보건사회부 소속 연구소 → 환경청 소속(’80.1) 


ㅇ (조직) 5부·17과·5연구소·4센터










원      장
























































환경건강

연구부


기후대기

연구부


물환경

연구부


환경자원

연구부 


환경기반

연구부




















환경보건

연구과


대기환경

연구과


물환경평가연구과 


자원순환

연구과


생활환경

연구과




4

위해성평가

연구과


지구환경

연구과


유역총량

연구과


폐자원에너지

연구과


상하수도

연구과

화학물질

연구과


대기공학

연구과


물환경공학연구과


자연환경

연구과


환경측정

분석센터




가습기살균제

보건센터


대기질통합예보센터






토양지하수

연구과









환경위성

센터










ㅇ (인원) 402명(고공단 6, 연구관 130, 연구사 195, 기술·행정직 71)


※ 연구원(무기계약직)은 700여명 근무


ㅇ (예산) ’24년 93,500백만원(’23년 97,129백만원 대비 △3.7%)

(단위 : 백만원)

구 분

‘22년결산

‘23년예산

‘24년예산

증감

합 계

94,830

97,129

93,500

△3,629(△3.7%)

과학원 운영

10,594

10,337

10,757

420(4.1%)

환경시험연구

52,833

54,622

49,507

△5,115(△9.4%)

인건비

29,798

30,373

31,379

1,006(3.3%)

기본경비

1,604

1,766

1,826

60(3.4%)

※ 환경부에서 과학원으로 재배정 예산 ‘22년 1,412억원, ’23년 1,474억원

2. 연구전략기획과장 주요업무※ 정원 13명(연구직 6, 행정·기술직 7)


ㅇ 주요 업무계획 수립, 국회관련 업무, 조직·정원 관리에 관한 사항


-  연간 과학원 업무계획 수립·관리, 국정감사 등 국회 대응, 과학원 고시(71건), 예규(87건) 등 법령관리, 조직개편 및 인력확보 등


ㅇ 중기재정계획 및 세입·세출 예산 편성 및 결산


-  과학원의 중기 재정계획 수립, 과학원에서 수행하는 연구사업 및 기관 운영 예산 편성·집행·결산 등 추진


ㅇ 연구사업 계획 수립·조정 및 성과평가


-  과학원 자체 연구사업과 외부 용역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와 연구결과에 대한 평가를 추진하고, 연구직 공무원의 성과평가 총괄


ㅇ 대국민 홍보 및 대외협력 업무 추진


-  과학원 연구성과를 요약한 원보 및 각종 홍보책자 취합·발간, 론보도에 대한 대응 총괄, 한- 일- 중 환경과학원장 회의, 대외기관 업무협약 등 추진


ㅇ 환경연구 정보화 추진 관련 기술지원 및 종합 조정


-  과학원 홈페이지 관리 및 각 부서에서 운영중인 정보시스템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정부의 정보화시책 추진, 보안 및 환경데이터 개방·활용 등 정보화 업무 추진


3. 당면과제


ㅇ ‘25년도 국립환경과학원 연구개발 예산안 수립 및 관계기관 심의 대응


ㅇ ’24년도 국립환경과학원 성과관리시행계획 수립 및 환경부 제출


ㅇ 과기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와 관련하여 과학원 연구성과에 대한 종합평가에 대응


ㅇ 국립환경과학원 중장기 환경연구 로드맵(‘26~’30) 수립


ㅇ 국립환경과학원 연구혁신을 위한 효율적 조직체계 구축 방안 마련


ㅇ 동아시아 환경현안 논의를 위한 한- 일- 중 환경과학원장회의 개최(4분기)


ㅇ 각종 환경연구 데이터 시스템 관리 및 정보보안 등 정보화업무의 체계적 수행을 위한 기반 마련 등


4. 주요 인재상


과학원 연구전략기획과장은 환경부의 기획재정담당관과 유사한 역할을하는 직위로 환경정책 추진과 연계한 국가환경연구사업의 방향과목표를 설정하고, 연구사업에 대한 예·결산, 평가·심사분석 및 전반적인 조직관리 등을 총괄하는 직위임


※ 환경부 소속·산하기관 R&D 성과연계, 공동사업 발굴 등을 위한 협의체 운영


따라서, 국내외 환경 이슈와 환경부의 정책방향 전반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조정역량, 대내외 소통이 필수적이며, 연구사업에 대한 예산·조직 확보를 위해 과기부, 기재부, 환경부, 행안부 등 일반행정가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여야 함


ㅇ 환경분야 조사·연구에 관한 해박한 지식과 국내·외 정책동향 및기술수준 등을 종합·파악하여 대응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 필요


ㅇ 아울러, 조직·인력 및 예산 등의 자원을 배분·조정·관리하고 정보데이터 관리 및 행정 전반에 관한 이론적·실무적 지식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