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직위 안내 자료

-  한국농수산대학교총장 -







2024. 8.








 


기관 일반현황

□ 조직 및 정원

○ 조직 : 1처 3과, 5학부 18전공, 8부속시설, 2법인

 


○ 정원 : 126명(임기제 고위공무원 1, 교육직 70, 일반직 55)


(단위: 명 / ‘24.8. 현재)

합계

고위

공무원

(임기제)

교육직

일반직

소계

교수

조교

소계

4급

5급

6급 이하

전문

경력관

관리

운영

124

1

70

57

13

55

2

9

40

2

2

□ 소관 법령

○ 「한국농수산대학교 설치법」(법률 제18537호)

○ 「책임운영기관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법률 제18537호)

○ 「한국농수산대학교 기본운영규정」(한국농수산대학교훈령 제39호)

□ 예산 : (‘23) 35,428백만원 → (’24) 36,770(증 1,342, 3.8%)

(단위 : 백만원)

사업명

’23

(A)

’24

(B)

증감

(B- A)


%

일반회계

35,428

36,770

1,342

3.8

한국농수산대학인건비(책임운영)

9,976

10,041

65

0.7

한국농수산대학기본경비(책임운영, 총액인건비 대상)

410

450

40

9.8

한국농수산대학기본경비(책임운영, 총액인건비 비대상)

3

3

-

-

한국농수산대학교육운영(책임운영)

23,541

21,068

△198

△0.8

전공심화과정운영(책임운영, 수입대체)

310

311

1

0.3

한국농수산대학정보화교육운영(정보화)

1,188

2,622

1,434

120.7


□ 부지 및 시설

○ 부지 면적: 385,016㎡, 시설 면적: 80,998㎡

○ 세부 현황

(단위 : ㎡)

시설명

대지

건물

비고

385,016

80,998

51개 동

본관 및 강당


24,980

본관, 교육관(3개동), 대강당, 도서관

기 숙 사 (4동)


22,540

583실 (2인실, 1,166명 규모)

후생복지시설


7,820

학생회관(식당), 체육관, 테니스로커룸

실습시설


24,942

PTC온실, 실습장 등 실습시설

기타시설


716

수위실(2개동), 통합전기실, 시설관리실

교육연구시설지

269,404


교육동 및 실습동 등

체육시설지

14,878


운동장, 테니스장

교통시설지

44,219


도로 및 주차장

녹지시설지

56,515


자연녹지시설(공원)


주요 업무현황

1 

정예 후계 농어업 인력 양성을 위한 학생 교육


□ 현황 

○ 교육과정 : 1학년(학교) + 2학년(국내‧외 실습농장‧어장) + 3학년(학교)

1학년

학부 기초소양(1학기)과 전공별 농어업교과목(2학기) 교육


2학년

국내외 선진농어장 파견실습을 통한 현장교육


3학년

영어농정착을 위한 문제해결식교육 및 창업설계


전공심화과정

학사학위 수여를 위한 전공심화과정(2010년 신설)

○ 입학정원 : 4개 학부(18개 전공) 570명

(단위 : 명)

학부

전공

전형

합계 

수시 1차

수시 2차

일반

농수산

사회통합

지역균형

일반

합계

242

138

20

40

130

570

작물

산림

식량작물

12

10

5

10

35

150

특용작물

14

7

버섯

14

7

산림

12

6

조경

12

6

원예

채소

12

10

5

10

42

150

원예환경시스템

13

9

과수

18

10

화훼

14

7

축산

한우

14

8

5

10

30

135

낙농

9

5

양돈

12

6

가금

12

6

말산업반려동물

12

6

농수산

융합

농수산푸드테크

16

8

5

10

23

135

농수산비즈니스

14

10

산업곤충

12

5

수산양식

20

12

□ 주요 내용

○ 국정과제, 미래 사회변화, 신산업 수요 등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

○ 학생 중심의 내실 있는 학사 운영 및 교내외 실험‧실습 교육 강화

○ 현장 실무교육 가능 우수 교수 확보

○ 재학생 창업역량을 위한 특강, 현장실습 및 견학 교육과정 강화

○ 전공·작목별 특성을 고려, 실무능력 배양을 위한 맞춤형 국내‧외 장기현장실습 교육과정 운영

2

학생의 전문 농어업기술의 실천능력 배양


□ 현황 

○ 우리나라 최고의 실무중심 대학으로 실무‧실습‧현장 중심교육 강화로 차별화된 농수산 인재 양성

□ 주요 내용

○ 첨단실습 교육장 확충으로 실무‧실습‧현장 중심 교육 강화

○ 실무중심 현장 적응 능력 배양을 위한 장기현장실습 내실 운영

-  교육과정 : 2학년(2개 학기) 8과목 40학점 이수

-  교육기간 : 8개월 원칙, 필요한 경우 전공별로 2개월 범위 내 계절학기 운영

-  실습 우수사례 발굴 확산 : 실습일지 콘테스트, 현장교수 지도 수기 공모 등

○ 정기적인 실습생·현장교수 의견 수렴을 통한 개선 과제 발굴

-  실습생·현장 교수 만족도 측정, 실습 개선 의견 수렴 및 반영

○ 미래트렌드를 반영한 교과목 개발 및 지역사회 리더 역량 교육 강화

○ 실무능력 배양을 위하여 국내‧외 장기현장실습을 하고 있으며, 졸업생의 성공적인 영농‧영착 강화를 위하여 지속 지원

<국내‧외 연수 현황 >

구분

합계

국내 장기현장실습

국내 장기현장실습생 단기해외연수

국외 장기현장실습

인원(명)

882

483

389

10

○ ’97년 개교 이래 7,424명의 졸업생 배출, 전체 졸업생의 83.1% 영농·영어 종사(’23년 기준) 

 졸업생의 안정적인 농어촌 정착 유도로 미래 농수산업 성장에 기여

□ 주요 내용

○ 신속한 영농 정착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드림이’ 서비스 운영 

○ 취·창업, 승계 등 정착유형별 차별화된 지원 프로그램 강화

-  취업·창업 : 품목별 연구모임 조직화, 우수 아이디어 공모, 교육과정 운영 

-  승계 : 법률·세무·경영 컨설팅 지원 강화 등

○ 한농대 총동문회, (사)한농대 청년연합회 등 네트워크 강화

○ 졸업생 학비지원 조건 이행 여부 점검 및 심층 관리 

4

농어업인과 농어업 관련 기관‧단체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


□ 현황 

○ 급격한 농어업 환경변화 대응을 위하여 학교가 보유한 전문인력을 활용한 평생 영농교육 서비스 제공 

○ 지자체 연계 등을 통해 다양한 수요층에 적합한 교육과정 확대 추진

□ 주요 내용

○ 평생교육 일환으로서 일반인 대상 농업교육 편성 및 개발

○ 농업 현장 실무형 인재 육성, 농업마이스터 대학 및 최고경영자과정 운영

○ 기업‧유관 기관 등 산학연 협력 프로그램 확대

5

산학협력 촉진에 필요한 사업


□ 현황 

○ `04년 산학협력단 법인이 설립되었으며, 연구지원 등 사업 수행을 통한 대학의 특성화 및 선진화에 기여

□ 주요 내용

○ 연구지원 전담 인력 충원, 업무체계 개선 등을 통한 연구 행정 서비스 개선 및 효율화 추진

○ 국가 R&D 과제 간접비율 상향에 따른 연구 수요 부응을 위한 연구관리시스템 운영 및 연구지원 상시 모니터링

6

기타 대학의 운영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


□ 현황

○ 대학 미래 경쟁력 강화 및 전문 농어업경영인 양성을 위한 기반 구축

□ 주요 내용

○ 다변화하는 교육수요 대응 및 교육과정 강화를 위한 교육체계 개편

○ 디지털 농업 인재 육성을 위한 첨단 실습환경 조성

○ 청년농 육성 활성화를 위한 비학위 평생교육과정 강화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위한 졸업생의 영농‧영어 정착지원 강화

○ 수준 높은 교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안전하고 쾌적한 캠퍼스 조성


당면 현안 과제

1

내실 있는 학사운영 및 학생중심 교육 지원 체계 마련


□ 현황 

○ 학생 전공선택권 확대를 위한 학부제 운영(‘22~)* 및 미래 농식품 산업을 뒷받침하기 위한 전공(학과) 개편(’23.7.)**

* 4개 학부(작물산림, 원예, 축산, 농수산융합) 18개 전공 운영 

** (’23) 말산업, 농수산가공 → (’24) 말산업반려동물, 농수산푸드테크 

□ 주요 내용

○ (교육과정 개편) 미래 농어업·신산업 수요 대응 교육과정 개편

-  과목 신설, 필수 및 선택과목 조정, 학점조정, 유사 과목 통합 등 

○ (제도 개선) 편입학 및 개도국 청년농 지원을 위한 학칙 및 시행세칙 규정 개정 

-  편입생 수업연한 구분, 국외 학생(개도국 청년농) 학위 수여 근거 등

* 편입학 모집정원 62명, 개도국 청년농 선발인원 4명(캄보디아 2, 라오스 1, 베트남 1) 

○ (역량 강화) 재학생 핵심 및 창업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확대

-  졸업논문(농업경영·회계) 시스템 개선 용역(7월∼) 및 비교과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방안 용역(5월∼)

-  농업경영·회계 교육, Chat GPT, 정책자금, 농지 등 교육 추진 


2

미래수요 반영, 현장 중심 교육체계 개편


□ 현황 

○ 학부제 운영 및 미래수요 반영을 위한 디지털 교육과정 개편

○ 장기현장실습 유연화 등 제도 개선 및 실습생 안전 관리·지도

□ 주요 내용

○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반영한 디지털 농수산업 교육

-  농산업 트렌드를 반영하여 학부·전공별 디지털 교과목 개편 추진

○ 창업 및 현장실무 능력을 갖춘 농수산인재 양성

○ 장기현장실습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 실습 효율화를 위한 규정 개정

-  교수- 학습(Teaching- Learning) 중심 실습풍토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

-  현장실습 제도 유연화로 학습 중심의 현장실습 운영 전환

○ 장기현장실습 교육과정 정보화 시스템 개편

-  디지털 정보화 기반 스마트 실습 지원 체계 구축 등 실습교육 효율화

3

체계적인 졸업생 영농‧영어 정착지원 강화


□ 현황 

○ 영농·영어 정착 초기부터 성장까지 체계적인 정착지원을 위한 한농대·지자체·유관기관 연계 종합 지원 체계 마련 필요 

□ 주요 내용

○ 수요자 요구 및 창업 애로사항을 반영한 정보제공·교육 정착 지원 프로그램 체계화

-  (창업 지원) 유형‧정착 단계별 성공적인 창업 유도를 위한 지원 확대

* 우수과제 공모사업, 컨설팅, 경영 실습 임대농장 등 창업 단계별 연계지원

** 스마트팜, 드론, 농기계, 빅데이터, 농산물 가공, 사회적 농업, 법인설립 등 

-  (정보제공) 정보드림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총동문회·학생회 홍보 강화

-  (교육) 트렌드 변화, 수요자 요구에 부응한 현장실습 교육과정 마련

-  (컨설팅) 신규 창업 및 현장 애로 해소를 위한 컨설팅·현장기술 지원 내실화

4

꿈과 열정이 있는 우수인재 신입생 모집


□ 현황 

○ ‘25학년도 신입생 570명(4개 학부 190, 18개 전공 380) 모집

(단위 : 명)

구분

합계

수시 1차

수시 2차


일반

농수산

사회통합

지역균형

일반

모집단위

-

-

전공

전공

학부

학부

학부

모집인원

570

440

242

138

20

40

130

-  수시 1차에 고교 졸업(예정)자뿐만 아니라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는 자(검정고시 합격자·외국고 졸업자)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일반전형 신설

-  기존 농수산인재전형*은 농수산고 졸업(예정)자만 지원할 수 있는’농수산전형‘으로 변경

* (농수산인재전형) 농수산고 및 전국 읍·면 지역 소재 고교 졸업(예정)자 모두 지원 가능

□ 주요 내용

○ 찾아가는 입시설명회, 입시 관련 사이트 및 프로그램 광고를 통해고교 현장 중심 입시홍보 추진

* 기타 외부 광고 포함 대학 인지도 홍보는 기획조정과 주도하에 추진

○ 2025학년도 전형 일정

구분

수시 1차

(일반/농수산/사회통합/지역균형)

수시 2차

(일반)

원서접수

’24.9.9.∼10.2.

’24.10.7.∼10.18.

1차 합격자 발표

’24.10.30.

’24.11.27.

면접평가

’24.11.4.∼11.8.

’24.12.2.∼12.6.

최종 합격자 발표

’24.11.20.

’24.12.18.

합격자 등록

’24.11.20.∼11.22.

’24.12.18.∼12.20.

5

다양한 수요층을 위한 평생교육 강화


□ 현황 

○ 일 학습 병행·미래농산업 CEO 과정,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 등 대학의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 청년층의 농어업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일반 농어업인·예비 귀농‧귀촌인 등 다양한 수요층을 위한 평생교육 강화 필요

□ 주요 내용

○ 지자체 연계를 통해 지역 자원을 활용하여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교육과정 확대

○ 농어업인 및 예비 귀농인, 일반인 등 수요자 특성과 수준에 맞춘교육과정 개발

< 수요자별 교육과정(안) >

대상


교육과정


자원


비고




(교육수준)







(기초)


(심화)

(+ɑ)

















농어업인 및

예비 귀농인


일 학습 병행

직장인 귀농‧귀촌

도시농업

미래농산업 CEO

마이스터대학



대학 중심


기존














일반인

기초교육


별도 교육과정 신설

(장수군 농군사관학교, 

전주시 미래농업 청년리더, 

전북시민대학)



지역

연계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