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력개방형 직위 안내 자료 (우정사업본부 보험위험관리과장) |
|
2025. 4.
Ⅰ. 우정사업본부 일반현황
□ 조직 및 정원
○ 조직
- 우정사업본부, 직할관서 3개, 지방우정청 9개, 우체국 등 3,338국
|
* 우체국 현황
*우편취급국 (민간위탁): 823국 |
□ ‘25년도 세출 예산 : 64,687억원
□ 소관법령
○ 우정사업 운영을 위한 8개 법률 운용
분야 |
경 영 |
우 편 |
금 융 |
법률 |
① 우정사업 운영에 관한 특례법 |
② 우편법 ③ 우체국창구업무의 위탁에 관한 법률 ④ 별정우체국법 |
⑤ 우체국예금‧보험에 관한 법률 ⑥ 우체국보험특별회계법 ⑦ 우편환법 ⑧ 우편대체법 |
Ⅱ. 보험위험관리과장 주요 업무 내용
1 |
|
일반 현황 |
< 우정사업본부 조직도 : 1실 3단 26과(관) >
|
구 분 |
4급 |
5급 |
6급 |
7∙8급 |
총계 |
|||||
정원(현원) |
1 |
(1) |
4 |
(4) |
6 |
(6) |
2 |
(2) |
13 |
(13) |
보험위험관리과 (보험위험관리과장 1명) |
|||
리스크총괄 담당(3명) |
신용·시장리스크담당 (3명) |
자산배분·성과관리담당 (4명) |
부채·ALM리스크담당 (2명) |
행정사무관 1명 행정주사 2명 |
행정사무관 1명 행정주사 2명 |
행정사무관 1명 행정주사 1명 행정주사보 2명 |
행정사무관 1명 행정주사 1명 |
법률명 |
주요내용 |
우정사업 운영에 관한 특례법 |
○ (목적) 우정사업의 조직, 인사, 예산 및 운영 등에 관한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우정사업의 경영합리화를 도모하여 우정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국가경제의 발전에 이바지 ○ (구성) 정의, 우정사업총괄기관의 경영실적 등 평가, 경영합리화계획, 경영의 자율성 보장, 회계의 구분, 인사교류, 직원의 채용 등 <하위법령> ○ 우정사업운영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 |
우편법 |
○ (목적) 우편 이용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하여 공평하고 적정한 우편 역무를 제공함으로써 공공의 복지증진에 이바지 ○ (구성) 정의, 경영주체와 사업의 독점, 우편물 등의 비밀보장, 우편물의 검역 및 압류거부권, 보편적 우편역무의 제공 등 <하위법령> ○ 우편법 시행령 ○ 우편법 시행규칙 |
우체국예금‧보험에 관한 법률 |
○ (목적) 신용있는 예금·보험사업을 운영하게 함으로써 국민 경제생활의 안정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 ○ (구성) 정의, 국가의 지급 책임, 업무취급의 제한, 예금‧보험의 증대활동, 예금자금의 운용, 청약의 승낙, 보상금의 지급, 수급권의 보호 등 <하위법령> ○ 우체국예금‧보험에 관한 법률 시행령 ○ 우체국예금‧보험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
□ 보험위험관리과장 소관 규정
구 분 |
명 칭 |
비 고 |
예규(1) |
o 우체국보험 리스크관리 규정 |
위험관리 |
지침(1) |
o 우체국보험 부문별 리스크관리 지침 |
위험관리 |
2 |
|
주요내용 |
보험위험관리과장은 우체국보험의 경영상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우체국보험의 안정성 및 지속적 성장을 확보하고, 전략적 자산배분 계획 수립 및 고위험 상품 관리 강화를 통해 안정적 투자기반을 마련 |
□ 우체국보험 통합 리스크 관리 업무
❍ 우체국보험 리스크 관리 기본계획 및 한도 운용계획 수립·시행
❍ 통합 및 개별 리스크 한도 설정
❍ 우체국보험 자산·부채 종합관리(ALM)
❍ 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리스크 점검 및 조치계획 수립
□ 우체국보험 재무건전성 관리 업무
❍ 위험기준자기자본(RBC) 비율 관리계획 수립·시행
❍ RBC 비율 현황 분석 및 관리시스템 등 개선방안 마련
❍ 위험기준 경영실태평가제도(RAAS) 자체평가 실시
❍ 위기상황분석(Stress Test) 실시
□ 고위험 투자자산 리스크 관리 업무
❍ 고위험 상품군 투자 전·후 리스크 분석
❍ 구조화상품, 대체투자상품 관리 현황 분석
❍ 대체투자자산 핵심관리지표(KRI*) 관리·운영 및 공정가치 평가·검증
* 수익배수, 내부수익률(IRR), NAV Ratio
□ 자금운용 성과관리 및 전략적 자산배분 업무
❍ 전략적 자산배분 및 중장기 자산배분계획 수립
❍ 우체국보험 적립금 자산군 및 벤치마크 관리
❍ 보험적립금 운용성과 분석
Ⅲ . 보험위험관리과장 당면 현안 과제
□ 지속가능한 보험사업 성장을 위한 자본적정성 확보
❍ RBC비율의 안정적 제고를 위한 관리 및 실행방안 추진
- 자산듀레이션, 금리부자산 비중, 신용·시장 위험도 및 금리연동형 비중 등에 대한 종합관리로 적정 건전성 비율 유지
❍ 보험업 규제환경 변화에 대비한 대응 전략 수립·추진
- 규제 변화에 따른 영향 분석, 리스크 부문별 중점 대응 전략 수립, 중장기 인프라 구축 방안, 조직·인력 운영계획 등 마련
- 부채 현금흐름 추정 정교화, 가정관리 정합성 개선, 규제·실질 리스크 관리 강화 등을 통해 가치경영 지원
□ 금융시장 변화에 안정적 대응을 위한 리스크 설정·운영
❍ (금리리스크) 부채공정가치 관리체계 구축을 통한 ALM 종합관리 수준 제고, 금리하락에 대비한 전략적 리스크 관리 등
❍ (시장리스크) 리스크 한도 설정 및 운영을 통해 국내외 주가, 환율 등 시장 변동성 확대에 탄력적 대응
❍ (신용리스크) 주요 산업군·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사전 대응력 제고, 요구자본 감축을 위한 대체자산 관리 방안 마련 및 시행 등
❍ (보험리스크) 보험영업 전략을 고려한 리스크 산출 정교화 및 규제 변화에 대응한 분석 지표 확대 등 분석체계 강화
□ 경영목표 달성 기여를 위한 체계적인 자산배분 전략 수립
❍ 적정 건전성 확보, 부채 부담이자 안정적 대응 및 자산군별 상관관계 등을 고려한 전략적 자산배분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