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모저모_홍보자료2020의 조회 테이블로작성자,작성일,조회수,기관분류,기관명,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소방청] 전기차 보유자라면 필독! 자동차 사고 화재 예방 행동요령
2023-10-30
기관분류중앙행정기관 기관명소방청 작성자김강준 조회수72
작성자김강준
작성일2023-10-30
조회수72

 

지구 온난화로 인해

친환경 차량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오른 요즘!

전기자동차 보유자가 늘어나면서

관련 사건사고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데요.

전기자동차가 친환경적인 이유는

연료를 태우는 엔진이 없어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진 : 국립소방연구원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하지만 엔진 대신 장착한 배터리에서

화재가 일어날 경우 800도까지

급속도로 온도가 높아지고,

다방향으로 불이 붙어 잘 꺼지지 않아

진압을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위 사진을 보면 4초만에 옆차량까지

불이 옮겨 붙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진 : 0825 보도자료 전기차 화재 올해 상반기 42건 발행, 소방청

소방청 자료를 살펴보니

2020년 이후부터 올해 6월까지

전기자동차 화재 발생 건수는

총 121건으로 나타났습니다.

매년 2배가량 증가하고 있는건데요.

연도별 화재를 살펴보니

인명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 : 픽사베이

전기자동차 화재 발생 요인으로

배터리에 불이 붙는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과하게

충전하거나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화재가 발생하게됩니다.

전기차 화재가 발생하는 장소로는

일반도로가 가장 많았고, 이어 주차장,

고속도로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사진 : 세종소방본부 제공

전기자동차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주의점들을 안내 드립니다.

1. 충전소 주변 흡연 절대 금지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주변에서 흡연을 하면 안됩니다.

담뱃재가 충전선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진 : 픽사베이

2. 날씨에 따라 전기차 관리하기

무더위가 지속되는 여름에는

배터리가 열을 받아 발화할 수 있습니다.

전기자동차가 햇볕에

장기간 노출되지 않도록

그늘에 주차해주세요.

또한 태풍이나 폭우가 예상될 경우

감전사고 발생이 우려되므로

실내에 있는 충전시설을 이용해주세요.

침수 위험이 있다면 바로 시동을 끄고

대피해야 합니다.

3. 충전 중 스파크 주의

전기자동차 충전 중 찌릿 반짝한

스파크가 튀었다면 즉시

긴급전원을 차단해야합니다.

사고가 날 경우 행동요령을 안내드립니다.

 

 

사진 : 픽사베이

1. 신고 시 전기자동차임을 알리기

일반차량과 전기자동차는

화재 원인이 다릅니다.

따라서 119 신고시

전기자동차 사고임을 꼭 밝혀주세요.

2. 대피하기

급속도로 열받는 전기자동차 배터리는

배터리 내부 전해액이 누출되어

화상의 위험이 매우 큽니다.

차량 내부에서 연기가 나거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전기자동차에서

멀리 떨어져야하며,

주변 사람들에게도 빠르게

대피 안내해야합니다.

 

 

 

사진 :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 / 경산소방서 제공

소방청은 2022년 4월부터

전기자동차 화재를 연구한 끝에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를 만들어

전국 소방서에 배포했습니다.

전기자동차의 구조와 화재특성,

대응장비와 대응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데요.

전기차 화재 대응장비로는

상방향 방사장치, 질식소화덮개,

이동식 소화수조, 이동식 컨테이너와

감전 방지를 위한 보호장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화재 사고들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재난 환경에 맞춰

대응방식과 장비를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국민뿐만 아니라 소방관들의 안전을 위해

사고 대응 훈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국민들께서는 전기차 사고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예방하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