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모저모_홍보자료2020의 조회 테이블로작성자,작성일,조회수,기관분류,기관명,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과기정통부] 보이스 피싱, 인공지능으로 막아낸다!!!
2023-07-21
기관분류중앙행정기관 기관명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작성자박철용 조회수303
작성자박철용
작성일2023-07-21
조회수303

특별한 이슈 없이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종종 걸려오는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은 그날의 기분을 망치게 할 만큼 불쾌한 일입니다.

보이스피싱범은 태연하게 공권력을 사칭하며, 선의와 믿음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속이는 범죄를 저지르는데요.

악의를 가진 그들을 엄하게 벌하길 바라는 마음은 모두가 같겠지만 지금도 보이스피싱이 계속해서 발생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하지만 이번 달부터 보이스피싱 대응 조치를 강화한다는 소식이 들리며,

많은 사람이 더욱 안심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제도적 발판이 마련될 예정입니다.

● 교묘하게 발전하는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

 

이제는 황당한 보이스피싱 연락을 누구나 한 번쯤 받아봤을 정도로 보이스피싱이 흔하게 일어나고 있는데요.

지난 5년간 발생한 보이스피싱 건수는 약 16만 6천여 건으로 그로 인한 피해 금액은 3조 원 이상이라고 합니다.

현재 가장 보편적인 보이스피싱 유형으로는 가족이나 친지의 전화번호를 사칭하거나 공권력을 사칭하는 수법이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휴대폰이 고장나 다른 휴대폰으로 연락한다는 식으로 접근하여 악성 앱 설치나 대리 결제, 계좌이체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후자의 경우 경찰이나 검찰, 금융기관 종사자로 속여 수사에 협조하라며 겁을 주고, 결국 금품 갈취까지 이어지는 악독한 수법입니다.

이제는 보이스피싱 위험에 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사람들이 쉽게 알아차리자 더욱 교묘해진 방법으로 변화하여 더욱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데요.

전화를 가로챌 수 있는 악성 앱을 이용해 여러 명의 보이스피싱범이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경우도 있으며,

물품 판매대금을 단순히 전달해 주는 아르바이트라고 속여 일반인을 범죄에 가담하도록 하는 경우도 생겼습니다.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달았을 땐 이미 늦은 경우가 많아 사전에 더욱 유의하고 조심해야 하는데요. 

 

최근에는 아무리 방어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해도 막기 힘든 신종 보이스피싱 수법이 등장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바로 목소리 위조 인공지능을 악용한 수법입니다.

전화기 너머로 가까운 사람의 목소리가 들려온다면 아무리 의심이 많은 사람이라도 범죄를 알아채기가 쉽지 않을 텐데요.

음성 합성 AI는 몇 초의 음성샘플만으로도 긴 문장의 음성 파일을 합성할 수 있습니다.

SNS상에서도 A가수가 부르는 B가수의 곡이라며 인공지능을 이용해 특정 가수의 목소리를 구현하는 경우를 찾아볼 수 있는데,

보이스피싱 집단은 이를 범죄에 악용하고 있는 것이죠. 

 

●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보이스피싱 피해를 줄이기 위해 통신사와 협력하여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였는데요.

이번 달부터 보이스피싱에 이용되는 대포폰 개통을 긴밀히 추적하고,

보이스피싱에 가담한 기록이 있는 명의자 정보를 통신사 간 공유하여 추가 범죄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울러 전화번호를 도용해 해외 로밍 형태로 수신하는 경우 이를 자동차단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국제전화 발신 표시를 개선해 전화번호 11자리가 정확히 같은 경우에만 저장된 이름으로 표시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갤럭시 기종의 경우 보이스피싱 문자를 받은 즉시 휴대전화로 신고할 수 있는 간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이열치열, 인공지능 악용에는 인공지능 선용으로 대응하다

 

보이스피싱 피해 증가세를 둔화시키고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행정안전부에서는 보이스피싱 집단의 목소리를 판별할 수 있는 보이스피싱 음성분석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AI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기술로, 실제 보이스피싱범의 음성데이터를 학습시켜 범죄자 목소리 판별 알고리즘을 만든 것인데요.

국과수와 경찰청은 해당 모델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꼬리물기로 이어지는 보이스피싱의 고리를 끊어내는 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보이스피싱의 궁극적인 목표인 금품 갈취를 방지하기 위해 금융권에서도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금융권 종사자의 기지가 보이스피싱 위험에 노출된 시민을 구한 사례를 많이 볼 수 있는 것처럼

금융업계에서도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반의 보이스피싱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는 은행이 많아졌습니다.

KB국민은행은 작년에 개발한 AI 기반 보이스피싱 차세대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고객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보이스피싱 피해자로 예상될 경우 500만 원 이상의 현금 출금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IBK기업은행도 인공지능 기반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해 고객의 금융거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유선 안내를 진행하는 등 큰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으로 보이스피싱 범죄가 고도화되었다면, 마찬가지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시스템으로 보이스피싱을 예방하면 됩니다.

꼬리가 길면 잡히고, 모든 범죄는 꼬리가 긴 법입니다.

선의를 가진 사람들이 더욱 살기 좋은 환경이 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기술과 제도를 기반으로 보이스피싱 범죄를 뿌리 뽑아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