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대메뉴 바로 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자료

Home > 새소식 > 언론 보도자료 > 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의 조회 테이블로 제목,담당자,작성일,조회수,첨부파일,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목 (정보화담당관) 정부 인사행정 전 과정, 디지털화된다
담당자 작성일 2022-06-02 조회수 1155
담당자
작성일2022-06-02
조회수1155
첨부파일 220603 (정보화담당관) 정부 인사행정 전 과정, 디지털화된다.pdf 다운로드(다운로드 60 회)    바로보기 220603 (정보화담당관) 정부 인사행정 전 과정, 디지털화된다.hwpx 다운로드(다운로드 72 회)    바로보기

□ 새정부 국정과제인 '공정과 책임에 기반한 역량있는 공직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정부 인사행정 전 과정이 디지털로 통합된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 이하 인사처)는 '3세대 전자인사관리시스템(e-사람)' 목표계획을 설계하기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사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인사처는 이날 착수보고회를 개최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업 추진계획과 수행방안을 공유하고, 공직 인사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 이번 전략계획 수립을 통해 인사처는 데이터를 활용한 인사행정이 가능하도록 노후화된 현 시스템을 미래형으로 재설계한다.
 
 ○시스템은 인재 확보부터 퇴직까지 인사행정 전 과정을 디지털로 통합 처리하고, 수작업 업무를 자동화(RPA : Robotic Process Automation)하는 등 빠르고 정확한 업무처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예정이다.
 
○ 또 상시 성과관리 시스템을 통해 수시로 성과와 보완점에 대한 의견(피드백)을 주고 받아 직원의 성과향상을 돕는 등 실적에 기반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성과관리도 지원한다.

 

 ○ 개인에게는 인공지능 채팅로봇(AI챗봇)이 경력 단계별로 필요한 정보를 알아서 알려주는 '먼저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재택, 유연근무 등 다양해진 근무 형태에서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업무환경을 실현한다.

 

□ 특히, 정부 중점 과제인 디지털기반(플랫폼)정부 추진에 맞춰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인 인사관리와 정책수립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한다.
 
 ○인사처는 정보화전략계획 수립에 이어 2024년부터 3개년간 본격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2026년에는 전 부처가 3세대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확산시켜나갈 계획이다.

 

□ 이정민 기획조정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디지털 인사 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3세대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의 밑그림이 그려지게 될 것"이라며 "데이터 기반의 인사관리, 인사정책을 수립해 '일 잘하는 정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한편,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은 74개 중앙행정기관(한시위원회 포함) 38만 명이 사용하고 있는 국가공무원 인사, 복무, 급여를 담당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지난 2000년 공무원 인사기록의 전산화를 위해 최초 구축된 이후, 2011년 현 시스템(2세대)으로 발전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콘텐츠 담당부서 :
대변인실
전화 :
044-201-8045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