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
인사혁신처
2016년 업무보고 인사혁신 Never Ending Story

공무원 인재개발 체계 재정립

  • 글씨 크게

    글씨 작게

    화면 인쇄

  • share

    내용을 구글플러스로 가져가기

    내용을 카카오스토리로 가져가기

국가 전체적인 교육자원 공동활용을 통해
인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직급별 교육 및 자기개발 학습 강화로 공무원 역량 제고

인사혁신의 확산 및 실천. 공직 다양성 제고 및 개방 확대
  • 민간 우수인재 공직진입 확대

    민간전문가 임용확대
    부처별 경력재방형 지정률 38%(15' 12월), 50%으로 오름

    적극적 인재발굴
    경력개방형 직위 개수 165개(15' 12월),약 218개로 오름

  • 공무원 인재의 국가적 활용강화

    범정부적 인사교류 활성화
    인사,홍보,전산 등 전문분야 교류확대
    '15년 20개 패키지 80개 직위 에서 '16년 30개 패키지 120개 직위로 증가

    민간근무 확대
    민간근무휴직 직위 6개 ('15년) 에서 57개 ('16년)로 증가

    국제기구 진출 활성화
    65개 직위('15년)에서 85개 직위('16년)로 증가

  • 채용절차 개선

    공채시험 과목 개편
    필수,선택과목(현행) 에서
    직무 능력(NCS) 중심의 평가, 9급 시험부터 단계적으로 시험과목 정비로
    기본과목 + 직무역량과목 으로 개편

    5급공채 정규임용절차 강화
    필기,면접시험(현행)에서
    이미용전 교육 및 시보기간 중 평가를 반영, 정규심용심사위원회 결정으로
    필기,면접시험+교육성적+시보근무 평가+정규임용심사위로 개편

  • 청년일자리 창출 및 사회통합형 채용 확대

    채용인원확대
    -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해 국가공무원 공채 및 경채 선발인원을 확대
    공채 4,810명('15년)에서 5,372명('16년)으로 증가
    인사혁신처 주관 경채 886명('15년)에서 1,016명('16명)으로 증가

    사회통합형 채용 확대
    장애인,저소득층 358명('15년)에서 387명('16년)으로 증가
    지역인재7,9급 255명('15년)에서 270명('16년)으로 증가

    시간선택제 활성화
    채용규모 377명('15년)에서 466명('16년)으로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