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2020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
작성대상년도:2019년
인사혁신처 로고
02
균형인사 제도와 통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다양성 보고서"
2018년 최초발간, 수록대상을 지속 확대하여 2020년부터는 339개 공공기관의 기관별 균형인사 통계 수록!
- 2018년 중앙
- 2019년 중앙+지자체
- 2020년 중앙+지자체+공공기관
인사혁신처 로고
03
인사혁신처 로고
분야별 주요통계를 살펴볼까요?
04
여성관리자 임용목표 모든 영역 초과 달성!
(단위:%)
부처 및 기관의 연도별 여성관리자 임용 수치와 목표
연도, 중앙부처(고위공무원), 중앙부처(본부과장급), 지자체(지방과장급), 공공기관(임원)으로 구분한 표
연도 \ 구분 | 중앙부처(고위공무원) | 중앙부처(본부과장급) | 지자체(지방과장급) | 공공기관(임원) |
'18년 |
6.7 |
17.5 |
15.6 |
17.9 |
'19년 |
7.9 (목표지수 7.2) |
20.8 (목표지수 18.4) |
17.8 (목표지수 15.9) |
21.1 (목표지수 18.4) |
05
정부위원회 여성 참여율
중앙·지자체의 정부위원회 여성참가율 증가, 지자체는 최초로 법정기준인 40% 초과 달성!
(단위:%)
부처 및 기관의 연도별 정부위원회 여성참가율 및 목표
연도, 중앙부처, 지자체로 구분한 표
연도 \ 구분 | 중앙부처 | 지자체 |
'18년 |
41.9 |
39.8 |
'19년 |
43.0 (목표지수 40.0) |
41.4 (목표지수 40.0) |
06
장애인 고용률 현황
중앙·지방·공공기관 모두 장애인 고용률 증가, 의무고용률 상승*에도 불구하고 중앙·지자체 목표치 초과달성 *의무고용률:'18년 3.2% → '19년 3.4%
(단위:%)
부처 및 기관의 연도별 장애인 고용률 현황
연도,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으로 구분한 표
연도 \ 구분 | 중앙부처 | 지자체 | 공공기관 |
'18년 |
3.43 |
3.95 |
3.16 |
'19년 |
3.56 |
3.99 |
3.33 |
07
장애인 근무지원사업 지원 규모
장애인의 효육적인 업무수행을 지원하는 근무지원사업* 지원 규모는 모든 영역에서 빠르게 증가! *보조공학기기 및 근로지원인 지원
(단위:%)
부처 및 기관의 연도별 장애인 근무지원사업 지원 규모
연도,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으로 구분한 표
연도 \ 구분 | 중앙부처 | 지자체 | 공공기관 |
'18년 |
5억 |
13.5억 |
6.09억 |
'19년 |
7.89억 |
21.4억 |
21.54억 |
08
지역인재 선발인원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인재 선발은 중앙·지자체·공공기관 모든 영역에서 증가
(단위:%)
부처 및 기관의 연도별 지역인재 선발인원
연도,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으로 구분한 표
연도 \ 구분 | 중앙부처 | 지자체 | 공공기관 |
'18년 |
310 |
239 |
1,423 |
'19년 |
350 |
309 |
1,527 |
09
이공계 공무원 현황
고위공무원 및 지자체 5급 이상 관리자 중 이공계 공무원 비율 등 전년 대비 증가
(단위:%)
부처 및 기관의 연도별 이공계 공무원 현황
연도, 중앙부처(고위공무원), 중앙부처(5급 신규채용), 지자체(5급 이상 관리자)로 구분한 표
연도 \ 구분 | 중앙부처(고위공무원) | 중앙부처(5급 신규채용) | 지자체(5급 이상 관리자) |
'18년 |
22.1 |
32.3 |
43.8 |
'19년 |
22.5 |
32.7 |
45.0 |
10
공공부문 균형인사 추진 현황 공개로 정책의 투명성·책임성을 높이고 사회적 가치 확산에 기여하겠습니다!
인사혁신처 로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