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대메뉴 바로 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자주하는 질문

Home > 공무원 인사제도 > 자주하는 질문

자주하는 질문

카테고리를 선택하세요. 더 많은 정보는 유사민원검색이동

전체 586(현재 29페이지 / 총 40 페이지)

[질문](국외장기) 고위공무원 및 과장급 직무훈련 연령요건은 어떻게 되는지요?
[답변]

ㅇ 고위공무원 직무훈련 : '16.12.31 현재 만53세 이하(1963. 1. 1 이후 출생자)


ㅇ 과장급 직무훈련 :  '16.12.31 현재 만50세 이하(1966. 1. 1 이후 출생자)

[질문](선물신고) 선물신고규정 위반자에 대한 제재조치는 무엇인지?
[답변]

공직자윤리법 제15조를 위반하여 외국에서 받은 선물 또는 외국인에게 받은 선물을 신고 또는 인도하지 아니한 자는 공직자윤리위원회의 결정에 의하여 해임 또는 징계의결 요구대상이 됨(공직자윤리법 제22조)

[질문](선물신고) 공직자가 직무와 관련하여 외국으로부터 선물 수령시 대처방법은?
[답변]

공직자가 직무와 관련하여 외국(인)으로부터 선물 수령 시


 - 시장가액이 10만원(미화 100달러) 이상이거나 시장가액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지체없이 선물수령신고서를 작성하여 소속기관 및 단체(감사담당부서)에 제출하여야 함


 - 이때, 시장가액을 알 수 없으나 누가 보아도 10만원 미만으로 보이는 선물은 신고서 제출 필요 없음

[질문](국내교육) 사이버대학교 교육비 지원요건은 무엇인가요?
[답변]

ㅁ 사이버대학교 지원대상 


    - 학사학위를 미 취득한 국가공무원


    - 공무원 인재개발법시행령 제32조의 요건을 갖춘자, 연령.직렬.직급.경력 등은 제한없되, 교원.군인.군무원은 제외


ㅁ 지원방식 : 반기별 사후 지급(교육생이 자비로 한 학기를 마친 후 지급기준 충족시 학비 지원)


ㅁ 지원내용 : 직전학기 등록급


    - 사이버대에서 '정원 외 산업체 위탁전형' 으로 신.편입학한 국가공무원에 대해서 입학금 면제 및 등록금 50% 감면 혜택 (구 안행부 업무협약 '12.6.8)


    - 감면액 제외 후 개인부담액 50% 금액 범위 내에서 지원    * 계절학기, 특강, 현장실습비 등은 개인부담


ㅁ 지원요건 :


    - 산업체 위탁전형으로 입학.편입한 자


    - 15학점이상 취득하고 평균성적 88점 이상을 받은 재학생


    - 중도포기 방지 위해 다음 학기 등록한 재학생에 한해 등록금 지원


* 산업체 위탁전형으로 국비지원을 받다가 중도에 포기하여 자퇴한 경우 향후, 사이버대학 지원 대상에서 제외, 휴직 중에는 사이버대에 다녀도 등록금을 지급하지 않음

[질문](선물신고) 선물신고 대상 선물은?
[답변]

선물 수령 당시 증정한 국가 또는 외국인이 속한 국가의 시가로 미국 화폐 100달러 이상이거나 국내 시가 10만원 이상인 선물이 선물신고 대상임(공직자윤리법시행령 제28조)

[질문](선물신고) 선물신고 의무자 누구인지?
[답변]

선물신고 의무자는 공무원(지방의회의원 포함) 또는 공직유관단체의 임직원(가족 포함)임

[질문](선물신고) 선물평가단 구성은?
[답변]

ㅇ 평가단은 단장, 부단장, 간사를 포함하여 7인 내외로 구성하되, 과장급 3명을 포함하고 단장은 감사담당관, 간사는 윤리업무담당계장으로 한다.


ㅇ 평가단은 선물신고관리부서(감사담당관실) 및 총무과 물품관리 직원 등으로 구성한다.(필요시 외부위원 포함)

[질문](국외단기) 국외단기 훈련대상자의 자격요건은 어떻게 되는지요?
[답변]

ㅇ 공무원인재개발법시행령 제32조 및 공무원인재개발업무처리지침의 규정에 의한 요건을 갖춘자


    - 징계처분을 받은 자는 그 처분이 종료된 날부터 1년 이상이 경과된 자


    - 2016.12.31일 현재 만 55세 이하('61.1.1이후 출생자)인 자로서 실 근무경력 2년 이상인 국가공무원


    - 일정 어학요건을 구비한 자(2인 이상의 훈련은 1/2 이상)


    - 2016.12.31일 현재 국외훈련 파견종료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자


 


ㅇ 기타 개인훈련 요건


   - 2016.12.31일 현재 6개월 이상의 장기국내훈련 중인 자는 제외


   - 단기 개인훈련 또는 1년 이상 국외장기훈련 경험자는 훈련종료일로부터 파견 전일 현재 5년 이상 경과자만 해당


 


ㅇ 어학요건


  - 영어권 : TOEFL 530점(CBT 197점, iBT71점), 서울대·한국외국어대·부산외국어대 어학검정 60점, 영국문화원 IELTS 5.5점, G-Telp(Level 2) 70점,


              TOEIC 675점, TEPS 600점 이상                  * i-TEPS 232점 이상(400점), 155점 이상(300점)


  - 비영어권 : 서울대·한국외국어대·부산외국어대 어학검정 60점 이상

[질문](교육여비) 근무지외 교육훈련 기관에 비합숙인 경우, 운임, 숙박비, 식비를 <기준표>상 정액지급(증빙서류 불필요)로 되어 있습니다. 이럴경우 증빙서류 없이 정액으로 지급하여도 되는지요?
[답변]

질의하신 내용으로 보아 근무지외 교육훈련기관에 입교하는 경우로 여비(운임, 숙박비, 일비, 식비) 정액 지급시 증빙서류 첨부 여부에 관하여 문의주신 것으로 보여집니다.


[공무원 인재개발 업무처리지침] - 교육훈련비 지급- 교육훈련 여비 - 나. 여비의 지급방법 규정에 의하면 근무지외 교육훈련기관에 입교하는 경우의 운임과 숙박비는 위탁기관장이 아래와 같이 지급방법를 결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정액지급)  증빙서류 불요,        ( 실비정산)  증빙서류 필요


따라서, 정액지급의 경우는 증빙서류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  국가법령정보센터-행정규칙-공무원 인재개발 업무처리지침 참조

[질문](선물신고) 선물신고제도의 목적은?
[답변]

공직자는 직무와 관련하여 직.간접을 불문하고 사례 .증여 또는 향응을 수수할 수 없으나(국가공무원법 제61조제1항, 청렴의 의무), 외교 및 국제 관례상 외국(외국인)으로부터 받는 선물은 거절하기 어려우므로 직무와 관련하여 선물을 받은 경우 이를 신고토록 하여 공직자의 윤리를 확립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음

[질문](PETI) 시스템 사용시 사용가능한 인증서는?
[답변]

PETI 시스템 사용시 사용가능한 인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행정전자서명인증서(GPKI)


  - 인증서 발급기관 : 행정자치부, 교육부, 검찰청, 대법원, 국방부, 병무청에서 발급하는 행정업무를 위한 개인 인증서


2. 공인인증서(NPKI)


  - 공인인증기관에서 발급하는 인증서로 범용, 인터넷뱅팅용, 금융거래용으로 발급된 인증서

[질문]사회복무요원으로 군 복무기간 산입이 21개월만 승인된 사유는 무엇인지?
[답변]

공무원연금법 시행령 제16조의2 및 병역법 시행령 제151조에 의거하여, 사회복무요원의 복무기간은 2011.2.26.이전 소집자는 24개월,  2011.2.27. 이후 소집자는 21개월이 인정됩니다.


 ※단, 의무복무기간 미만으로 근무한 경우에는 실 복무한 기간만 인정됨

[질문]영어능력검정시험의 인정기준은?
[답변]

당해연도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포함)의 제1차시험 및 7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의 영어과목을 대체하는 영어능력검정시험 성적은 최종시험 시행예정일(면접시험 최종일)로부터 역산하여 3년이 되는 해의 1월 1일 이후에 실시된 시험으로서 필기시험 전일까지 점수가 발표된 시험 중 공무원임용시험령 별표3에서 정한 기준점수 이상인 성적에 한해 인정됩니다.



즉, 2018년은 2015년 1월 1일 이후에 실시된 시험으로서 5급 및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의 필기시험 전날까지 발표된 성적만 인정됩니다. 다만, 영어시험 주관기관(토익위원회, 텝스위원회 등)에서 자체적으로 인정하는 영어성적 유효기간이 2년이므로 자체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사이버국가고시센터(http://gosi.kr)를 통해 사전등록을 해주신 성적만 유효기간이 연장(2년→3년)되어 적용됩니다.


 또한, 원서접수 이후부터 필기시험 전날까지 발표된 성적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전일 18:00 전까지 사이버국가고시센터를 통해 취득한 성적을 등록하여 주셔야 유효하게 인정됩니다.

[질문]내년도 공채시험 선발직렬 및 인원은 언제쯤 결정되는지?
[답변]

내년도 공개경쟁채용시험의 선발예정직렬 및 인원은 올해 하반기에 실시하는 부처별 수요조사(예상결원 및 공채 선발예정인원 등) 결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각 부처는 금년도말 기준의 직렬별 정·현원, 휴직, 별도정원 등의 인력운영 상황 등을 토대로 내년도에 공개경쟁채용시험을 통해 선발할 예상인력 수요를 산정해 인사혁신처에 통보합니다.


인사혁신처에서는 이 수요조사 결과를 토대로 내년도 국가공무원 충원계획을 금년도 12월 말경에 확정하고 이를 ‘내년도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계획’에 반영하여 공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선발예정직렬 및 인원은 매년 1월 1일에 발표되는 시험계획 공고문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질문]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에서도 자격증 소지나 거주지 제한규정을 두는 경우가 있는데 어떤 경우인지?
[답변]

채용시험 종류에 관계없이 사서·수의·해양수산·의무·약무·간호·항공·시설(지적)·전산·운전·간호조무·조리직렬은 담당직무의 전문성·특수성을 고려하여 응시에 필요한 자격증을 별도 규정(공무원임용시험령 제18조 및 별표5)하고 있습니다.


 위 직렬 중 인사혁신처가 주관하는 공개경쟁채용시험에 포함된 직렬은 전산직렬뿐입니다. 또한, 공무원임용시험령 제2조에 의거 정부 인력의 안정적인 충원 및 사회적약자 배려차원에서 실시되는 지역별 구분모집, 장애인 구분모집에서는 별도의 응시요건을 정하여 공고하고 있습니다.


 지역별 구분모집은 일정기준의 거주지 제한요건(2018.1.1.을 포함하여 1월 1일 전 또는 후로 연속하여 3개월 이상 해당지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을 두고 있으며, 장애인 구분모집은 응시자가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장애인으로 유효하게 등록되거나, 상이등급기준에 해당하는 자로서 유효하게 결정·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통합검색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